View : 5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윤주-
dc.creator배윤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8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5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08-
dc.description.abstract정신적인 것은 분석적으로 연구되어질 수 없으며 이것은 다만 예감되고 체험될 뿐^(1)이라는 바실리 칸딘스키(Vasily Kandinsky)의 말처럼 선(禪)의 세계는 어떠한 언어 체계로도 설명될 수 없는 오직 깨달음으로만이 다다를 수 있는 침묵의 세계이다. 본 연구는 침묵으로만이 마음이 통하는 세계 즉,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합하는 세계인 선의 세계에 이르기 위한 수련 과정으로서의 표현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수련 행위란 스스로 인내하며 다스려서 해방의 경지에 이르러 무한한 자유를 얻고자 하는 정신 수양의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자신은 비워지고 행위의 흔적은 시각적인 언어로 남게 된다. 본 연구는 표현주체와 관조자의 두가지 입장에서 진행되며, 이론적 근거로 내용적 배경인 선의 세계와 미술사적 배경인 추상미술과 선의 관련성을 논하였고, 수련 과정으로서의 표현을 모색하였으며, 표현된 작품 7점을 이론적 배경 및 표현 방법에 근거하여 해설하였다. Ⅲ장 수련 과정으로서의 표현에서는 수련 행위가 시작된 계기를 밝히고, 존재와의 우연한 만남으로 경험하게 된 무(無)의 체험으로부터 시작되어 선의 세계로 향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진행된다. 수련 과정으로서 모색한 표현 행위는 첫째, 무의식적·의식적으로 행해지는 직관적 행위와 그 행위의 반복에 대하여, 둘째, 표현 기법으로 꼴라쥬(Collage) 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작품 7점을 통하여 나타난 수련 과정으로서의 표현은 다음과 같다. 무의식적으로 찢고 쪼개는 직관적 행위는 표현욕구를 억제하는 금욕적인 수련의 과정이며, 벽과 판넬에 의식적으로 행해지는 직관적 행위를 반복적으로 이행함으로써 끝없는 자기 수련의 세계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행위의 반복은 스스로를 인내하는 극기(克己)의 방법으로서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은 비워지고 행위는 표현의 세계로 드러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게 되는 모든 행위의 흔적들은 가공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짐으로써 앞으로도 계속되어질 수련 과정의 진행을 시사한다. 표현기법으로 도입된 꼴라쥬 기법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행위에 의하여 몰입의 수단이 되었으며 붙여진 나무 조각들은 음영 효과로 인한 착시 현상으로 살아 흐르는 것같은 시각적 효과가 나타났고, 이러한 효과와 함께 무의식과 의식이 융합을 이루며 무한으로 향하는 흐름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표현의 절제로 비워진 여백은 붙여진 나무 조각들에 시각이 집중 되도록 작용하며 점차 집중되었던 시각은 보이지 않는 여백의 침묵 속으로 이끌리어 측량할 수 없는 무한의 공간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무한의 세계로 이끄는 여백의 작용은 내부적 공간을 확장시켜서 외부와 연속된 공간을 표출한다.;Kandinsky said, "Mental things cannot be studied by analytical methods, but they can only be felt spiritually and experienced". Similarly, the world of meditation is a realm of silence which can't be explained by any kind of linguistic systems, and rather can be reached only by spiritual enlighte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y of expression as a disciplining behavior which is required to reach the world of meditation or an area of immediate communication through mind and silence. The disciplining behavior is a process of mental practice which is to acquire an endless freedom, a state of liberation, through self-discipline and self-control. After continuous practice, the selfness is emptied and finally the behavior remain as a form of visible language.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from the standpoint of both the expression subject and the contemplator: As a theoretical basis, w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meditation as a background of contents and the abstract art as a background of art history. We investigated the way of expression as a disciplining behavior. The seven art works were explained on the basis of bo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way of expression. In section 3 discussing the way of expression as a disciplining behavior, the momentum of starting a disciplining behavior is described such that it starts from the experience of nonexistence which can be felt from an accidental encounter with existence, and proceeds as a continuous effort toward the world of meditation. The way of expression as a disciplining behavior is sought after as follows: Firstly,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conducted intuitive behavior or its repetition. Secondly, Collage technique as an expression way. The seven art works of this study showed the way of expression as a disciplining behavior, as follows: Unconsciously tearing behavior, which is an intuitive behavior, is a process of ascetic discipline repressing a desire for expression. Repetition of the intuitive behavior performed consciously on the wall and panel leads to the world of an endless self-discipling. Through this, the selfness if emptied and the behavior is revealed as a world of expression. Marks from all the related behavior are left in the state of not being adorned, showing the progress stages and implying that they are on the way of discipline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Collage technique used as an expression way became a tool for absorption by repetitively and continuously performed behavior. The glued pieces of wood made shadow and caused an optical illusion effect, leading to a visible effect as if it moves and flows. With this effect, collage technique was expressed as a stream, uniting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oward the infinite. Our eyesight is centralized on those glued pieces of wood due to the unfilled space resulted from repressing expression. And gradually, the concentrated eyesight is leaded into the solitude of an invisible blank space, yielding an immeasurable and unlimited spaciousness. This function of the unfilled space leading to the world of infinitude expands the internal space and represents the space connecting to the outer wor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2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禪의 세계 = 4 B. 추상미술과 禪 = 7 Ⅲ. 수련 과정으로서의 표현 = 19 A. 직관적 행위와 행위의 반복 = 22 B. 꼴라쥬(Collage) 기법 = 24 Ⅳ. 작품해설 = 29 Ⅴ.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113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세계-
dc.subject정신-
dc.subject표현-
dc.title禪의 세계를 향한 정신의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련 과정으로서의 표현 행위-
dc.title.translatedStudy in expression of cultivation towards the world of meditation-
dc.format.pageviii, 5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소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