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과 운영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과 운영에 관한 조사연구
Authors
김효순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제6차 교육과정중학교 가정과가정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was an usual that a teacher who taught Home Economics wasn't in a boys' middle school till the 5th Educational curriculum. Because the boy students didn't learn Home Economics. But now we have some problems in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as both the girl students and the boy students need to learn Home Economics. First of all, It will be disscussed the problem of supply and demand for a Home Economics' teacher. Especially teaching by the teacher who majored other subjects will run counter to the speciality, will disturb the student's right to learn. We need to approach of research of literature for the middle shoo1 curriculums, teacher's satisfaction, teacher's speciality, teacher's license, teacher' training scool system and new - employment for Home Economics' teachers. So this study will show genaral cognition of Home Economics management by the teacher teaches Home Economics. And then we will compare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who majored the subjects with the satiafation of the teachers who majored other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will offer the basic data for the better of Home Economics by doing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Investigation contents are ① Indivisu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that theach Home Economics, ②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and assigned time, ③ Satisfaction for teaching, ④ Genaral cognition for the Home Economics, ⑤ T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⑥ The goal of Home Economics, ⑦ Teaching state of Home Economics and ⑧ Necessity of Home Economics teaching contents.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was 192 teachers of 91 middle shools. They were chosen at random sampling.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ns of SAS. In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genaral cognition of management of Home Economics were measured the rate of freqency of answer, the comparison the teacers who majored the subjects to the teachers who majored other subjects was measured crosstable and t-verification. The outcomes of this sty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y students and the girl students in middle schools study Home Economics for their compulsory subject in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but Home Economics teachers are not enough for boys' middle schools, and so a lot of the teachers majored other subjects(82%) are teaching their students. if this problem continue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which Home Economics will be a compulsory subject for both boys' and girls' high school, a lot of Home Economics' teachers will not enough for high scool boy students. Second, the teacher who teaches Home Economics understood inappropriation of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that has a lesson of lecture method for a shorter assinged time. Third, when the teachers who majored other subjects teach Home Economics, they didn't understand objects and contents of it. And the teacher have a lower self - confidence and a satisfaction of teaching Home Economics about the activities, the teaching of contents and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of Home Economics objectives. Fourth, the teachers majored other subjects are teaching without a correct understanding of Home Economics. And what is more, they didn't have enough training course, and so they didn't hav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when they teach their students the subject. It suggested that short teachers' training course which majored other subjects teachers want, or the itinerant teacher system in private middle school will be effective to solve the problem. And training college of teachers will import a new system to obtain qualification for major subject and minor subject or two major subjects to teach so that they can teach two subjects.;제 5차 교육과정까지는 남학생이 실질적으로 가정과목을 이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남자 중학교에서는 가정과 교사가 없었던 것이 관례였다. 이런 배경으로 가정과목이 남녀 공통 필수 교과목으로 바뀐 제 6차 교육과정에서는 가정과 교사의 수급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비전공 교사의 가정과목 담당지도는 교직의 전문성을 위배하는 것이며,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 해석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교사수급문제와 관련하여 교직의 전문성, 교육법에 근거한 교사자격, 교사 양성체제, 교사의 신규채용에 관하여 문헌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정된 제 6차 교육과정에서 가정 전공교사와 비전공 지원교사의 가정과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 가정교과를 지도할 때의 자신감, 만족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내용은 ① 개인의 배경자료, ② 가정과 교과 편제 및 시간배당, ③교과지도에 있어서의 자신감, ④ 가정교과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⑤ 제 6차 교육과정, ⑥ 가정과 목표, ⑦ 가정교과 지도 실태, ⑧ 가정과 교육 내용의 필요도로 구성되었다. 표집대상은 전국의 중학교 96개교의 교사 192명을 무작위 표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제 6차 교육과정에서 가정과 운영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응답빈도율로 측정하였고, 가정 전공 교사와 비전공 지원 교사간의 비교는 비모수 검증과 t검증으로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6차 교육과정부터 남녀 공통 필수 이수 교과로 바뀐 가정교과의 교사수급문제가 발생하여, 특히 비전공 지원 교사의 82%(41명)가 사립 남자 중학교에 치중되어 있어 사립 남자 중학교에서 교사 수급 문제가 심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이 고등학교 1학년까지 가정이 남녀 공통 필수 과목이 되는 제 7차 교육과정까지 확대될 경우, 남자 고등학교에서의 교사수급문제가 예견된다. 둘째, 가정교과 담당교사들은 대부분 가정과의 제 6차 교육과정 편제가 부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부적절한 이유로 대부분이 주당시수가 줄어들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수업 시수가 부족하여 강의 중심의 수업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비전공 지원 교사들은 가정과목을 가르칠 때, 가정과 목표와 내용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었으며, 가정교과 지도에 있어서 가정과와 관련된 활동 영역, 내용 지도 영역, 가정과 목표의 성취도에 대한 모든 면에서 가정전공 교사들보다 자신감이 낮았으며, 가정교과 지도에 대한 만족감도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비전공 지원 교사가 가정교과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전문성의 결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정교과에 대한 충분한 연수나 장학지도를 실시하거나 교사들의 희망에 따라 단기 교원 양성코스를 개설하여 가정과목을 대상으로 자격 연수를 실시한다. 또한 사립 중등학교에서는 순회교사 제도와 초빙교사 제도를 도입하여 학교간에 상호 지원한다. 교사 양성체제에서는 주전공외의 부전공 또는 복수 전공을 이수하여 복수 교과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는 방법 등을 도입해야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