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5 Download: 0

韓國服飾을 모티브로한 造形 追求

Title
韓國服飾을 모티브로한 造形 追求
Other Titles
(A) pursuing modeling for korean traditional mode
Authors
禹定賢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한국의복모티브조형pursuing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現代의 한국화는 다양한 주제와 표현기법의 개발로 이에 따른 조형의식도 많은 변화를 가져옴으로서 多變化된 美感을 表出시키고 있다. 이렇게 現代라는 다양한 예술상의 교착의 한 가운데서 '무엇을 어떻게 그릴것인가' 라는 것은 작가에게 있어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그 표현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자신의 心像의 形象을 시각화 한다는 점에서 본인은 우선 작품내에서 客觀的 표현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관람자와의 소통성을 두는 것으로 형상을 나타내고 그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形象의 포착에서 작가는 直觀에 의해 사물이나 환경으로부터 '意味있는 秩序'를 발견해 낸다. 이 형상의 이미지는 다시 작가의 造形方法에 따라 화면상에 조합되고 배열되는데, 이는 작가의 개성속의 조형적 의지를통해 均衡있고 統一된 形이나 量塊에 대한 욕구에 의해 화면에서 재구성되고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는 것이다. 본인은, 작품 주제의 대상인 한복에서 취할 수 있었던 우리 전통의 순수한 미적감각과 조형적 요소들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이는 그대로의 再現이 아닌 주관에 의한 대상의 變形과 주제의 抒情的 이미지 추구로 나타난다. 또한 그 대상을 이용하여 화면을 재구성하여 공간을 조형화하여 나타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형추구의 과정에서 먼저 소재로 차용된 한복의 치마와 저고리에 나타나는 미적특징과 착용된 인물을 통해 나타나는 情緖와 抒情美를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화면의 구성방법에 있어서의 형태의 변형과 재구성의 방법에 대해 언급하고 이를 본인이 영향받은 구성적인 작품들을 통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표현방법의 기법적 연구로서 전통재료의 水墨의 潑墨용법과 화면공간의 조형에 이용된 꼴라류 기법과 전통문양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에서 형상의 추구와 화면내에서의 조형방법의 모색과정을 제작과정의 변모와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좀더 발전적인 작품 제작에 도움받고자 한다.;Modern korean painting shows various aesthetic emotions with its diverse development of subjects and also may changes in modeling concept followed. 'What and how to paint' will be a very important question for an artist in the middle of various artistic rules in mordern times. I tink an artistic work inside in that it visualizes the form of artist's image with a lot of expression ways. this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observers, shows and uses its image. In grasping the image, an artist finds a meaningful order with his instict, from the objet or enviroment. This image is combined and arranged in the painting, and it means that an artist restructues a balanced and united form or spirit by his modeling will and desire. I tried to express our traditional aesthetic sense and modeling factors in the objet of my work, Han-bok, and this appears not by the natural phenomena, but by the subjective transformation of emotional image. Also, I intended to form a space by using the objet and restructuring the picture. Accordingly, I examined aesthetic beauty appeared in Han-bok which I first employed as a material in the process of pursuing modeling art, and emotional beauty shown in characters wearing it. Next, I mentioned yhe transformation and restructuring of the form in the painting and explained some works which I was affected by. And, finally, I discribed how to use chinese ink, collage, and traditional pattern as a study on expression ways. On the basis of what I mentioned above, I'd like to examine the pursuit of the image and searching process in my work through the change and analysis of the production, and get some help with the production of developed work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