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자아실현성과 공동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Title
자아실현성과 공동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Husbang and Wife's Self-Actualization and Joint Decision-Making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자아실현성공동의사결정Self-ActualizationJoint Decision-Makin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남편과 부인의 자아실현성과 공동의사결정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합리적인 가정경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임의표본추출방법(Purposive Sampling)에 의해 서울시에 거주하며 한자녀 이상을 둔 206가구의 남편과 부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에는 빈도분석, 백분율, T-test, 분산분석(ANOVA), Scheffe-test등의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과 부인 모두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남편의 자아실현성에 부인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둘째, 가정내 의사결정 영역에서 의생활, 식생활과 같은 여성의 일로 간주된 영역은 부부중 어느 한편의 일방적 의사결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주생활, 경제생활, 자녀문제, 여가생활, 가족관계와 같은 영역은 부부공동의 의사결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의사결정에 대한 남편과 부인의 응답은 일치하였다. 세째, 남편과 부인의 자아실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남편의 경우 연령, 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남편의 직업, 취업동기였으며, 부인의 경우는 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소득, 남편의 직업, 취업동기 이었다. 네째, 남편과 부인의 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변수는 남편과 부인 모두 연령, 자녀수, 가족생활주기였다. 다섯째, 남편과 부인의 자아실현성과 공동의사결정과의 관계를 보면, 남편의 경우는 자아실현성이 공동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자아실현성이 높을수록 공동의사결정 정도가 높았으나, 부인의 경우는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니었다. 그러나 의사결정의 하위영역별로 보면 주생활, 자녀문제영역에서 자아실현형 일수록 공동의사결정 정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남편과 부인의 공동의사결정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상황변수와 자아실현성으로, 남편과 부인의 연령이 적고, 자녀수가 적으며, 자녀가 학력전아동기 이거나 자녀독립기일때 공동의사결정 정도가 높으며,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할수록 공동의사결정 정도가 높았다. 공동의사결정은 가정생활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며 합리적인 가정경영을 이루게한다. 그러므로 합리적인 가정경영을 위해서는 부부 공동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내용으로 하는 평생교육 program의 개발이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ing a basic of data for the more reasonable home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husbands and wives' self-actualization and degree of joint decision-mak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500 questionaire were distributed to the marital in seoul. The 412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OVA, Scheffe-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Over one and half of husbands and wives are try to be self-actualized. 2. The tendency of the husbands and wives decision-making was joint decision-making. 3. The important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husbands and wives' self-actualization, for husbands were age, life-cycle, job, employment motivation. And for wives were life-cycle, education, income, job, employment motivation. 4. The important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joint decision-making were age, number of child, life-cycle. 5. A marital joint decision-making level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husbands and wives' self-actualization. The higer level of husbands and wives' self-actualization, the higher degeee of marital joint decision ma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a marital joint decision-making is necessary in order to carry on happy home management and the reasonable home administ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