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한국 춤에 나타난 신명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 춤에 나타난 신명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hinmyung Demonstrated Korean Dance
Authors
유미희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무용전공
Keywords
한국신명민속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신령과의 합일을 통해 도달하는 성취감과 해방감을 그 내용으로 출발하는 한국인의 신명은 고대 제의풍습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춤은 신명을 일으키는 주요 수단의 하나였다. 민중은 강강술래의 나선 윤무, 무속춤의 도무와 회무, 농악춤의 상모놀이와 두레의 춤, 그리고 탈춤의 사위춤, 깨끼춤, 배김새춤과 같은 폭넓은 도약의 춤속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가벼운 동적인 도무와 희무, 그리고 답무와 같은 단순한 동작의 반복을 통해 신명을 경험했으며 그속에 참여함으로써 신명의 장을 창조하였다. 신명의 장 속에서 집단적인 춤을 통해 통일된 의식으로 혼연일체가 되는 가운데 그들은 공동의 문제를 인식하였으며 거기서 생활상의 고통이나 응어리를 풀었다. 민속춤에 나타난 신명은 농경사회 속에서 공동으로 벽사진경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풍요로운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삶의 축복을 본질로 한 것이며 그것은 사회성원들로 하여금 일체감을 통해 그들을 통합시키는 집단표상으로서 공동체를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본 논문은 민속춤에 나타난 집단적 신명이 삶과 직결되어 새로운 생명을 창출하는 생생한 인간체험으로서 단지 흥청거리고 노는 눈앞에만 보이는 현상, 관념적인 영기만이 아니라 함께 하는 공동체 의식임을 규명하고 있다. 이러한 의도하에 그 방법으로는 문헌을 중심으로 하여 Ⅱ장에서는 신명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그 기능을 중심으로 하여 신명의 본질에 대해 살펴본 후 Ⅲ장에서는 신명과 춤의 연관성을, 그리고 Ⅳ장에서는 한국춤의 원류가 되고 있는 민속춤 중에 강강술래, 무속춤, 농악춤, 탈춤을 소재로 하여 춤 속에 나타난 신명의 구체적인 양상이 집단적 신명으로 나타남으로써 민속춤이 가지고 있는 신명의 정신, 기능에 중점을 두어 오늘날의 창작 무용 상황과의 연관 속에서 결론을 맺고 있다. 신명난 춤을 통해 보는자와 추는자의 구별없이 평등한 인간관계에서 일체감을 느끼는 가운데 공동체가 되게하고 풍요로운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우리의 신명은 무용예술가가 공동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자신과 관중의 신명을 일치시켜 나와 너가 대동된 우리의 만남의 장을 제공한다는 점에 본 논문의 핵심이 있다. 따라서 신명난 춤을 통해 춤 공동체를 결성하여 예술로서의 참 기능을 발휘하는데 신명의 정신은 그 중요한 정신적 바탕으로서 창작무용을 지향하고 있는 오늘날의 무용인들이 재고해 볼 문제로 대두된다.;Shinmyung of Korean begins with sense of achievement and emancipation which can be felt by unifying with a divine spirit. It was made through custom of ancient memorial service and dance was one of the means to stimulate Shinmyung. To participate in the common problems by the medium of "folk dance" such as "gang-gang-su-wollae", "shaman dance", "farmers'dance" and "masque dance" enabled people to create the place of Shinmyung and then to form a resulting perfect whole. While doing so, they recognized their common problems and solved their pains and stress of life in the place. This thesis makes it clear that collective Shinmyung demonstrated in folk dance is community consciousness as a vivid human experience creating a new life, in stead of just a visible phenomenon, that is, conceptional soul only playing merrily. Through exciting dance, it makes to be a unified group while feeling sense to be one in an equal human relationship without distinguisting between people who see and dance themsevles. Sinmyung that desires to realize abundant society begins at the common problems of dance artist corresponding dancers themselves with their audience and offers the place where the unified being "we" can meet. Accordingly, the spirit of Shinmyung becomes a significant problem that should be considered over by today's dancers, trying to form a dance community through exciting dance and to develop Creative Dance as an important spiritual backgrou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