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양희-
dc.creator김양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7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9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4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91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o probe the effects of contribution of sport participation to leisur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urposefully selected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l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urrently employed and most of them resided in Seoul city area. A total of 333 response from the participant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y were age, sex, partner, income, education leve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sport particp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 g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It consisted of 54 questions : 12 items for demographic and social economic status, 13 item job satisfaction scale (Cronbach alpha valus = .725), 24 item leisure satisfaction scale(Cronbach alpha value = .95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alysis of covariate,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primary findings of the study were : (1) There existed a significant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sport part icipation group and no sport participation group. Sport participation group perceived higher degree of leisure satisfaction. (2) There existed a significant job satisfaction between sport participation group and no sport participation group. Sport participation group perceived higher degree of leisure satisfaction. (3) It was found that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Based up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nd within limitations,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employee in general.;본 연구는 직장 체육동호인 활동 활성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장 체육활동이 신체 및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여가만족도는 물론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킨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질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기업에서 이뤄지고 있는 직장 체육동호인 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여가만족과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6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직장의 일반 사무직 남녀 사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집락 무선 표집법을 이용해 총 333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배경 변인은 연령, 성별, 학력, 결혼 유무 등이었으며, 독립변인은 직장 체육동호인 활동의 참가 유무, 그리고 종속 변인은 여가만족과 직무만족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분석으로는 t-검정, ANCOVA, Correlation Analysis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 연구로 사용된 측정도구는 일반적인 인구통계적 변인에 관한 12문항, 여가참여 실태 5문항, 여가만족도 24문항, 직무만족도 13문항 등 총 5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직장인의 체육동호인 활동 참여집단이 비 참여집단에 비해 여가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의 체육동호인 활동 참여집단이 비 참여집단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과 여가만족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직장인의 직장 체육동호인 활동은 직장인들의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직장인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표목차 = ⅲ 그림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5 D. 변인과 가설 = 5 E.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직장인과 체육활동 = 8 1. 직장인의 개념과 특성 = 8 2. 직장에서의 체육동호인 활동과 그 효과 = 11 3. 직장 체육동호인 활동 = 20 B. 직무만족과 여가만족 = 22 1. 직무만족 = 22 2. 여가만족 = 24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측정도구 = 29 C. 조사절차 및 자료 처리 = 33 Ⅳ. 결과 = 35 Ⅴ. 논의 = 42 Ⅵ. 결론 및 제언 = 47 A. 결론 = 47 B.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 = 57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53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직장-
dc.subject체육동호-
dc.subject여가만족-
dc.subject직무만족-
dc.title직장 체육동호인 활동과 여가만족 및 직무만족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6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체육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체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