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75 Download: 0

지역사회의 문화발전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Title
지역사회의 문화발전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Authors
홍정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Keywords
지역사회문화발전사회교육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급격한 현대 사회의 변화는 우리에게 신속하게 적응하고 변화에 대처할 것을 요구한다. 특히 정치 제도적으로 지방자치가 본격 실시됨에 따라 지역사회의 산업, 경제, 사회, 문화등 전반에 걸쳐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정부가 지역 문화 활성화를 목표로 문화 발전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즈음 지방자치의 실시는 지역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지역문화 발전을 가속시키고, 이에 대한 지역민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동안 문화의 발전 양상은 도시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왔다. 지역의 문화시설은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었고, 지역사회의 발전이 물질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정신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교육이 지역발전에 있어서 주민을 능동적인 발전의 참여자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방법으로 대두되면서 사회교육을 통한 지역주민 의 정신교육을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지역 문화를 발전시키고 지역 주민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위해 사회교육 활동 이 지역사회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리라 본다. 이러한 취지를 가지고 본 연구는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해 사회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한 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 주민의 문화 수준 향상을 위해 대상, 연령, 지역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지역 주민의 지역사회와 문화에 대한 인식을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이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와 지역 문화 발전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 여성이 인식의 정도가 높았으며 미래에 마라는 기대 수준도 여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개전 사항으로 남녀 모두 문화시설 및 공간 확충, 사회교육 프로그램 확대를 지적하였다. 또한 강좌, 독서, 역사에 관련된 문화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지역사회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세 미만이 지역문화 발전 수준이 낮다는 응답을 가장 높게 하였다. 지역 문화 발전에 대한 현재상태와 희망정도의 인식에서는 연령이 증가할 수록 지역 문화 발전에 대한 인식 정도가 극히 낮고 희망 정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차이가 없이 사회교육 책임 기관으로 정부, 지방 단체를 선호하였고 개선점으로 문화시설과 공간 확충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인식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고졸 이하 집단이 문화 발전 수준이 낮다고 응답하였다. 문화 발전을 위해서는 고졸과 대졸 집단 모두 문화시설 및 공간 확충을 개선점으로 선택하였고 대졸 이상의 경우 문화 관련 사회교육 프로그램 확대에 높은 통계치를 나타내었다. 현재상태와 미래에 대한 지역 문화 발전의 요구 수준은 대졸 이상 집단이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학력이 높을 수록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이나 발전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이다. 넷째, 사회교육 프로그램 참여 회수에 있어서는 참여 회수와 관계없이 지역 문화 수준이 낮다고 보았고 참여 회수가 많을 수록 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확대시킬 것을 개선 사항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제 영역에 있어서도 참여 경험이 많을 수록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를 교육 책임 기관으로 답하였다. 현재 각 지역이나 중앙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 관련 프로그램은 지역의 특성이나 학습자의 요구와 능력 등에 따라 기관마다 따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문화 관련 행사나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중앙에 편중되어 있고 지역의 문화관련 프로그램과 행사의 빈곤, 문화시설과 공간 부족으로 지역사회의 문화 센터로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 문화거점이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지역민이 문화에 대한 관심은 있으나 참여기회가 없어서 지역문화 발전 수준이 낮아진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 다양한 문화 관련 사회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개인적으로는 삶의 질 향상과 국가적으로는 민족문화 발전의 토대로서 지역문화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활성화 방안으로서 첫째, 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전개할 수 있는 시설 및 공간이 확충되어야 하며, 기존의 문화시설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연령, 성별, 프로그램 참여 회수등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문화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지속적인 관심과 배려로 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역의 문화 활동에 대한 활발한 재정적인 투자와 교육적 지원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적극 앞장서야 한다. 넷째,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사회교육 전문 담당자와 지역의 인적자원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 문화 관련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지방 문화관련 단체, 자치단체 및 정부가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 장기적인 사회교육 프로그램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As social education has become one of methods to lead to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local development, the important of spiritual education for residents is also emphasized through social education. Therefore, social education activity will play a part in local development for the cultur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which social education offers and develops for the improvement of residents' cultural level. To achieve that goal, I studied residents' recognition about region and cultu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recognition about local community and local development differed depending on sex. Women had higher recognition, and they also expected more on the future. Secondly, the recognition was made difference by age. Below the age of 25 answered the level of local development is low most. The older residents are, the lower the recognition about cultural development is. Thirdly, the recognition was also made difference by educational level. The study suggests that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demand more about the local development. Fourthly, more participating people pointed than cultural program should be expanded. Most of cultural activities and social education programs are focused on the center and cultural facilities and space are also in need, so I suggest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as follows. Firstly, more space and facilities for cultural programs should be secured, and the rest cultural facilities are also efficiently used. Secondly, proper programs for each age, sex should be provided. And thirdly, governments or local autonomy groups should make efforts for local cultural activity with financial investment and educational suppor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of social education program. I finally suggest local culture groups, autonomy groups or governments should make a long term plan for social education program and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