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맹지영-
dc.creator맹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9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4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906-
dc.description.abstract급속한 사회변화와 학교교육의 한계성으로 인한 사회교육의 필요성이 삶의 질 측면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사회교육은 사회교육기관의 교육에 참여함으로서 이루어지는데 그 중의 하나로서 학원교육은 아동의 삶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다.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의 학원교육이 가능하겠지만, 음악은 아동의 지적·정의적·정서적·사회적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성인이 되어 안정되고 건전한 정신을 갖게 하고, 행복하고 만족한 삶을 살아가는 기초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그 교육열이 높아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악교육에의 열의는 음악학원의 등장을 낳게 하였다. 음악학원은 학교교육의 보충적 기능과 취미·교양교육 및 여가활동, 문화생활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의 음악학원교육은 양적으로는 확대되었으나 질적으로는 예전이나 별 차이가 없으므로 이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악교육의 질적 창상을 위해 학원음악교육에 대한 아동 및 학부모의 요구를 알아보고, 참여하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음악학원이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활성화되어 사회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가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연구는 분당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고학년 아동과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한 자료 총 320부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외 음악교육 참여에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문화생활 정도는 아동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학부모의 SES에 따른 차이와 아동의 학교외 음악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차이는 아동, 학부모 모두 참여하는 경우에 음악문화생활을 많이 하고 있었다. 셋째, 아동, 학부모 모두 음악이 아동의 정서·사회성·음악적 소양 등의 계발 등에 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반응의 경향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교외 음악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었고, 아동보다는 학부모의 인식이 더 긍정적이었다. 넷째, 음악학원교육 참여이유에서 아동은 음악적 소질을 키우기 위해서 학부모는 취미와 교양을 위해서였으나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음악학원교육에의 부모관심도는 아동, 학부모의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아동과 학부모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음악학원의 시설·환경의 개선점 및 만족도에 대해서 아동, 학부모의 특성에 따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아동의 음악학원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현재보다 자유롭고 부담스럽지 않은 음악교육에의 교육요구가 많았다. 학부모의 자녀를 위한 음악학원 교육요구도는 SES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더 많은 교육시간, 횟수 둥을 선호하였다. 아동의 교육요구도와 학부모의 자녀를 위한 교육요구도를 비교해 보면, 학부모의 교육요구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학원음악교육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음악에 대한 아동과 학부모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 아동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아동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음악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문화생활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음악학원은 아동 개개인의 요구와 학부모의 교육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음악교육을 위한 가정, 학교, 학원의 연계를 도모하여 부모교육과 음악학원의 학교음악교육 참여의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다섯째, 음악학원의 시설 및 환경을 정비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듦으로서 음악학원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즐겁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음악학원 강사의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수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사회교육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사회교육전문요원화 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음악학원의 영세성을 탈피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고 수익의 일부를 학원에 재투자하여 학원개방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to develop private music istitutes to conduct socio-educational functions. For this goal, this study reviews literature and investigates the survey data for elementary-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vts living in Bundang. The results of the servey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are more actively envolved into the lessons given by private music institutes. The rates for the children who are taking lessons from private music institut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SES(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parents. Second, childrens' gender difference and parents ' SES affects the rates for the children who are taking lessons from private music insitutes. Third, female students are more positive about the effectiveness of music education, but parents' SES does not affect cognizance of effectiveness of music education. Forth, music education does not depend on children's gender. However is posivitively related with parents' SES: the standard of living of music is higher than that of parents whose children are not involved into such lessons. Fifth, with respect to the music education given by private music institutes, parents show higher demand than children, but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this study has sever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parents ' understanding of music should be considered. Second, the oppotunities of musical life should be expanded. Third, private music institutes should develop their special programs suitable to children and parents' needs. Fourth, music education needs cooperation among family, private music institutes and schools. Fifth, private music institutes should be well equipped with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Sixth, teachers of private music institutes are to be re-educated as a specialist in socisal education and should improve their educational quality. Seventh, private music institutes need government subsidies to survive under UR-er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아동기의 음악교육 = 4 B. 아동의 음악교육이론과 교육요구 = 13 C. 학교와 학원에서의 음악교육 = 21 Ⅲ. 연구 문제 및 방법 = 29 A. 연구문제 = 29 B. 연구모형 = 31 C. 지역적 특성 = 32 D. 연구대상 및 방법 = 33 E. 질문지의 구성 = 34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36 A. 아동과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 = 36 B. 음악교육 상황 = 38 C. 음악학원교육 현황 = 49 D. 음악학원 교육요구 = 64 E. 아동과 학부모의 음악교육 인식도의 상관관계 = 79 Ⅴ. 결론 및 제언 = 81 A. 결론 = 81 B. 제언 = 83 참고문헌 = 87 부록 = 93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176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학원음악교육-
dc.subject이동-
dc.subject학부모-
dc.subject분당-
dc.subject신도시-
dc.title학원음악교육에 대한 이동 및 학부모의 요구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eds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about music education in the private music institutes-
dc.format.pageviii, 10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