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졍크아트를 도입한 현대자수의 질감표현 연구

Title
졍크아트를 도입한 현대자수의 질감표현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n Expression of Texture of Modern Embroidery Introducing Junk Art
Authors
이보련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졍크아트현대자수질감표현Junk Ar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미술은 시간상의 개념이 아니라 작품의 성격, 경향의 현대성을 의미한다. 오늘날 현대 미술의 흐름은 쟝르의 파괴, 종합 예술의 추구로 나아가고 있으며 현대 미술을 유도한 꼴라쥬와 오브제의 표현은 다양한 재료의 사용을 통하여 화면의 '시각적 개념 추구'에서 '촉각적 개념 추구'의 상황으로 바꾸어 놓은 주된 원인이었고, 이와 같은 배경 아래 현대의 작가들은 자신이 원하는 표현의 형상화를 위하여 이미 주어진 관념적 조건들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실험정신과 다양한 재료의 선택을 하고 있다. 현대 미술의 전반적인 경향인 테크닉의 한계 탈피와 작가의 이념, 사회 의식의 반영, 질감 추구의 근원적 시작은 바우하우스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재료와 질감에 대한 연구는 꼴라쥬를 기점으로 앗상블라쥬, 오브제, 정크 아트를 통하여 미술 영역 간의 탈 쟝르화의 기점이 되었다. 이와 같이 탈 쟝르화와 종합 예술 추구의 동 시대적 요구에 대한 부응은 어떠한 예술 쟝르를 막론하고 당면 과제일 것이며 현대 자수 역시 묘사적이고 기법을 통한 한정된 질감 표현에서 벗어나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나가려는 노력이 더욱 구체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술 재료에 적합 하지 않은 물체는 없다'라는 전제와 눈에 띄는 대상, 특히 도시문명의 버려진 것들인 고물, 폐물등의 잡동사니들을 화면에 도입한 졍크 아트를 표현 소재와 재료 선택에 적용하고 가죽, 삼베, 황마, 푸대천, 파이프, 링겔바늘, 골판지, 빨대등의 재료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화면에 직접 도입함으로써 부조적이고 혼합 매체적인 질감 강조 표현과 트렌스파렌시(transperancy: 투명성), 오패큐(opaque: 불투명성) 효과, 원색을 사용한 프린트(print) 기법, 퀼팅(Quilting)기법을 이용한 이중 염색 방법으로 작품을 보는 시점과 거리 변화에 따른 여러 측면의 질감의 강조와 공간 이미지 표현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졍크 아트는 오늘날 크게 대두되는 환경 조각, 폐품을 이용한 환경 보호 작품들로 발전하여 현대 사회의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표현한 작품들로 발전 해 오고 있다. 이론적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 외 문헌과 작품 사진을 통하여 정리하고 원색을 사용한 프린트 기법, 침염, 트렌시파렌시, 오패큐 효과를 통해 염색을 한 후 졍크 아트를 바탕으로 복합 재료를 다섯 작품의 표현에 도입 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 소재는 사진 기법과 형상 스케치를 통해 실물 재현의 방법이 아닌 화면의 이미지 합성, 생략, 과장 방법을 통하여 표현한 화면을 재료에 의한 혼합매체적 질감 표현에 촛점을 맞추었다. 질감의 강조를 위하여 기존의 견사가 아닌 면사, 마사, 모사, 린넨사, 비닐사, 노끈등을 직접 염색하여 사용하였으며 다섯 작품의 시점을 달리하여 화면의 공간 변화와 시점에 따른 질감의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각 작품의 제작과 연구 과정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되었다. 첫째, 재료의 한계에서 벗어난 졍크 아트를 표현 소재와 재료 선택에 도입하여 각 재료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질감들의 혼합, 상호작용의 변용으로 자수 작품 화면에 질감 표현이 강조되었다. 둘째, 졍크 아트는 표현 소재와 재료에 있어서 도시의 버려진 재료, 폐물들을 주로 이용하므로 오늘날 크게 대두되고 있는 환경 문제와 결부되어 폐품을 이용한 환경 보호 작품들로 발전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현대 자수와 환경 문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였다. 셋째, 트렌스파렌시, 오패큐 효과를 자수의 염색 방법에 응용함으로서 보이는 화면의 대상들이 동시에 이중 구조를 지닌 중첩의 형태로 표출되어 공간의 깊이감 표현이 효과적이었다. 넷째, 자수 염색 방법에서 주로 사용되어온 침염, 파라핀염, 호염, 소금염등이 아닌 사진 이미지의 생략, 과장으로 표현한 형태를 원색을 사용한 프린트 기법을 이용하여 졍크 아트의 밝은 이미지를 적·청·황색의 강렬한 등간격 3색으로 변화시켜 보편적 기존 이미지 변화가 효과적으로 표현되었다. 다섯째, 주로 견사의 두께 변화로 화면을 메꾸는 방식의 기존 자수 표현에서 벗어나 버려진 재료를 혼합 매체화하여 화면에 도입함으로써 재료 자체가 가진 고유의 질감과 재료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작가가 의도하지 못했던 우연적인 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었다. 여섯째, 기존의 자수에서 주로 사용되어왔던 견사에서 탈피하여 면사, 마사, 모사 비닐사, 노끈등을 직접 염색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재료의 상호 교류작용을 통한 혼합 매체적 질감 강조 화면을 만들 수 있었다.;The modern art doesn’t mean the concept of time but the modernity of character or the tendency of works. Today, the flow of modern arts is making forward the destruction of genre & the pursuit of synthetic art and modern artists is doing the active experiment esprit and the choice of various material escaping from conceptual conditions already given for configuration of expression they want to and the usage of various material applied to Collage and Object, the beginning of modern arts is the main reason to make the visual texture concept of the screen into tactile one changed. The basic beginning casting off the limit of technique, the philosophy of artist, the reflection of social consciousness and the pursuit of texture can be found out at the Bauhaus and the research on material and texture came to the starting point escaping from the genre between art scope throughout Assemblage, Object, Junk Art based on Collage. Escaping from the genre and conforming to the contemporary demand on synthetic art pursuit will be a urgent subject, not to speak of any art genre and the efforts adjusting to epochal demand is being presented by escaping from the limited and descriptive texture expression with the technique at the modern embroidery.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for emphasizing the space image and multiple texture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work and the distance change with dual dyeing method using the expression of relief and sensual sense of material emphasis, the effect of transparency and opaque, the original color print technique and Quilting technique by directly introducing to the screen using the material such as Leather, Hemp Cloth, Yellow Hemp, Pudaecheun, Pipe, Ringel Needle, Corrugated Cardboard, Straw, etc based on the premise of ‘there being nothing unsuitable to art material’ and Junk Art introducing prominent object, especially abandoned things of urban civilization, waste, susdries, curios to screen. This Junk Art has been being developed as a works expressing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sion of the modern society by developing it into the works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using the environmental sculpture, waste greatly risen today. We introduced the synthetic material into the expression of 5 works based on Junk Art after dyeing through silk screen technique of the original color. Gradual Dyeing, Transparency, Opaque technique by adjusting through foreign and domestic documents and work photo as a theoritical research method. The material on work creation is focused on multiplely expressing the screen on the sense of material by the material with the method of image composition of screen, omission, exaggeration which is not the method presenting the real thing through photo technique and shape scotch. Also, I used Cotton Yarn, Hemp Thread, Linen Thread, String, etc not existing Raw Silk Thread by directly dyeing for the emphasis of texture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change according to space change and viewpoint of screen differentiating from viewpoint of 5 works. We concluded as follows after research process and work manufacture. 1. The expression of texture was emphasized on the work screen of the modern embroidery during to mixing and changing the inherent sense of the material of each material through the introduction of Junk Art escaping from the limit of material. 2. The concept of Junk include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s a work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using the environmental sculpture, waste greatly risen today because it mainly uses the material abandoned at the city and waste. Therefore, you can make the access of art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 easy. 3. The expression of space depth than original dyeing background by expressed as a reiterated shape and simultaneously the object of screen seen on it has the dual structure by applying the effect of Transparency and Opaque in the embroidery dyeing. 4. The change of existing general image is effectively presented by changing the image of waste Junk Art shows using screen technique of original color silk not through Gradual Dyeing, Parapin Dyeing, Crude Salt, Salt Dyeing, etc having mainly used at embroidery but through composition of photo image. 5. You can expect texture effect of the contingency through the multiple interaction of the screen except for the intentional screen sense of the material of artist by mixedly and massively introducing the abandoned material of the waste of the modern industry society escaping from existing embroidery expression of the method filling the screen with the change of thicknesses of Raw Silk Thread. 6. By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cotton yarn, sizal yarn, wool, poly yarn and tape yarn, the unique textures and interactive emphasis of these textures and dyes affected a break-through from the traditional use of silk yarn in needle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