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직업유무에 따른 성인여성의 여가기능, 여가태도, 여가권태의 차이

Title
직업유무에 따른 성인여성의 여가기능, 여가태도, 여가권태의 차이
Other Titles
(The) Difference of Leisure Functioning,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Boredom as Perceived by Korearn Housewives and Working Wives
Authors
河知延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Keywords
직업유무성인여성여가기능여가태도여가권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유무에 따른 성인여성의 여가기능, 여가태도, 여가권태의 차이를 규명하고,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적 변인(연령, 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수입), 여가기능, 여가태도 변인이 여가권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연령을 고려하여 전업(專業)주부와 취업(就業)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스포츠 및 문화센터, 국민학교, 중·고등학교, 회사, 병원을 중심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방법은 유층집락무선표집(sta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성인여성 741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직업유무에 따른 성인여성의 여가기능, 여가태도, 여가권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기능척도(Leisure Diagnostic Battery : LDB)", "여가태도척도(Leisure Attitude Scale : LAS)", "여가권태척도(Leisure Boredom Scale : LBS)"를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한 주요 통계기법은 t-검정, 중분류분석(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직업유무에 따른 성인여성의 여가기능, 여가태도, 여가권태는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업주부가 취업주부보다 여가기능이 더 높으며, 보다 긍정적인 여가태도를 가지며, 여가권태는 더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변인(연령, 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수입)에 따른 여가기능의 차이에서 전업주부의 경우 수입과 교육수준이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입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여가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또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적 변인(연령, 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수입)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에서 취업주부의 경우 수입이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입이 많을수록 긍정적인 여가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적 변인(연령, 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수입)에 따른 여가권태의 차이에서 취업주부의 경우 수입이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입이 많을수록 여가권태는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적 변인(연령, 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수입), 여가기능, 여가태도 변인이 여가권태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검정한 결과, 취업주부와 전업주부 모두 여가기능과 정의적 여가태도가 가장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적 변인(연령, 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수입) 중 수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기능은 여가권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여가태도는 여가 권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isure functioning,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boredom between two contrasting female adult groups namely housewives and working wives and prob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as perceived by Korean adult women. The basis of analysis were mainly focused upon subjects's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cyc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in order to proportianate the sample size and total number of subjects utilized for this study were 741. The research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adopted from 3 different Korean versions of questionnares by the researcher herself and pretested prior to the actual investigation.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parts and they include Leisure Diagonistic Battery, Leisure Attitude Scale, Leisure Boredom Scale and the part for the background questions about the subject. The inventory was administered by adopting self-administered method. The primary statistic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following findings come to an end: 1.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leisure function,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boredom between housewives and working wives. Housewives perceived higher degree of leisure functioning and leisure attitude and lesser degree of leisure boredom. 2.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leisure function in terms of socio-economic status for the case of housewives. The housewives who have a higher level of SES obtained a higher degree of leisure functioning. 3.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leisure attitude in terms of socio-economic status for the case of working wives. The working wives who have a higher level of SES perceived leisure more positively. 4.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leisure boredom in terms of socio-economic status for the case of working wives. The working wives who have a higher level of SES seemed to overcome leisure boredom more easily. 5.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affecting leisure boredom appeared to be leisure functioning, affective domain of leisure attitude and leivel of income for both contrasting two groups. Based up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nd within limitations,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enhancement of women's leisure in gener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