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3 Download: 0

한국무용 3단디딤걸음체 동작의 역학적 분석

Title
한국무용 3단디딤걸음체 동작의 역학적 분석
Other Titles
(A) kinetics analysis of the Samdan DiDim(three phase step) movement of Korean Dance
Authors
태혜신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한국무용3단디딤걸음체무용Korean Danc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의 기본보법인 동시에 독특하고 특징적인 움직임인 3단디딤걸음체 동작을 지면반력측정기(force- platform)로 분석하여 한국무용의 안정적인 발동작을 규명하고 발동작의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훈련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한 사람에게 사사받은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해서 숙련자(한국무용 경력 15년-45년)와 미숙련자(한국무용 경력 6개월-1년)를 각각 3명씩 선정하였고, 이들 6명의 피험자들에 반복적으로 시행한 시기 중에서 성공적으로 행한 3회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의 기본보법인 동시에 독특하고 특징적인 움직임인 3단디딤걸음체 동작을 지면반력측정기(force- platform)로 분석하여 한국무용의 안정적인 발동작을 규명하고 발동작의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훈련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한 사람에게 사사받은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해서 숙련자(한국무용 경력 15년-45년)와 미숙련자(한국무용 경력 6개월-1년)를 각각 3명씩 선정하였고, 이들 6명의 피험자들에 반복적으로 시행한 시기 중에서 성공적으로 행한 3회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은 장단의 길이와 숙련도로서, 장단은 길이에 따라서 장전(굿거리 장단의 4박자), 중전(굿거리 장단의 2박자), 세전(굿거리 장단의 1박자)의 3종류로 나누고, 숙련도는 경력에 따라서 숙련자(한국무용경력 15년-45년)와 미숙련자(한국무용경력 6개월-1년)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변인은 수직지면반력의 유형(pattern of vertical force), 디딤구간별 부하율(roading rate), 총접지시간(total contact-time), 3단디딤단계별 접지시간(contact-time) 그리고 힘벡터(force-vector) 등이다.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수직지면반력의 유형(Pattern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수직지면반력 유형의 숙련도별 차이는 ① 뒷꿈치를 믿는 구간부터 엄지발가락을 딛는 구간, ④ 발바닥 전체를 딛는 구간, ⑥ 지골만 딛고 있는 구간에서 가장 크게 났다. 2. 디딤구간별 부하율(Roading rate) 디딤구간별 부하율은 장단길이별, 숙련도별로 ① 뒷꿈치를 딛는 구간, ② 엄지발가락 관절을 딛는 구간, ⑥ 지골만 딛고 있는 구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총접지시간(Total Contact-Time) 총접지시간은 숙련자의 경우, 미숙련자에 비해 길다. 4. 3단디딤단계별 접지시간(Contact-Time) 3단디딤단계별 접지시간은 장단길이별, 숙련도별로 ② 엄지발가락 관절을 딛는 단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5. 힘 벡터(Force - Vector) 정중면에서 보는 힘벡터는 장단길이별, 숙련도별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관상면에서 보는 힘벡터는 장단길이별, 숙련도별로 ① 뒷꿈치를 딛는 구간부터 ③ 지골을 딛는 구간까지에서 그리고 ⑤ 뒷꿈치를 떼는 구간부터 ⑦ 지골을 떼는 구간까지에서 차이가 났다. 횡단면에서 보는 힘벡터는 장단길이별, 숙련도별로 ① 뒷꿈치를 떼는 구간부터 ⑦ 지골을 떼는 구간까지에서 큰 차이가 났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숙련자는 3단디딤걸음체 동작 수행시 장단의 빠르기에 상관없이 수직력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는 반면에 미숙련자는 장단이 빠를수록 수직력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왜냐하면 숙련자는 장단의 빠르기에 상관없이 ① 뒷꿈치를 딛는 구간부터 ② 엄지발가락 관절을 딛는 구간까지에서 체중이 발에 점점 실리면서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수직력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미숙련자는 장단이 빠를수록 이 구간에서 수직력이 증가하고. ④ 발바닥 전체를 딛는 구간에서 숙련자는 장단의 빠르기에 상관없이 수직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반면에 미숙련자는 장단이 빠를 수록 수직력의 증·감이 있으며, 또한 숙련자는 장단의 빠르기에 상관없이 ⑥ 지골만 딛고 있는 구간에서 접지면적이 좁아져 감소할 수 밖에 수직력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미숙련자는 장단이 빠를수록 이 구간에서 수직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3단디딤걸음체 동작의 수직력을 장단길이별로 자유로이 조절하기 위해서는 ① 뒷꿈치를 딛는 구간부터 ② 엄지발가락 관절을 딛는 동안에 수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뒤에 있는 발이 앞으로 이동하는 체중을 받쳐 주어야 하며 ⑥ 지골만 딛고 있는 구간에서는 수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골을 지그시 눌러주어야 한다. 2. 숙련자는 3단디딤걸음체 동작의 완성도가 높은 반면에 미숙련자는 동작의 완성도가 낮다. 왜냐하면 숙련자는 3단디딤단계 중 ② 엄지발가락 관절을 딛는 구간에서 접지시간이 미숙련자보다 길기 때문에 동작이 섬세하고 안정적으로, 그리고 우아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3단디딤걸음체 동작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② 엄지발가락 관절을 섬세하게 그리고 지그시 누르면서 딛어야 한다. 3. 숙련자는 무게중심이 비교적 앞 또는 뒤로 흔들리지 않는 반면에, 미숙련자는 무게중심이 ① 뒷꿈치를 딛는 구간부터 ③ 지골을 딛는 구간까지는 앞으로 밀리고 ⑤ 뒷꿈치를 떼는 구간부터 ⑦ 지골을 떼는 구간까지는 뒤로 밀린다. 왜냐하면 숙련자는 대부분의 구간에서 동작을 수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와 실제로 사용된 힘의 크기가 동일한 반면에 미숙련자는 동작을 수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가 많거나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게중심이 앞 또는 뒤로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는 ① 뒷꿈치를 딛는 구간부터 ③ 지골을 Ep는 구간까지에서 발목이 앞으로 밀리지 않고 수직을 유지해야 하며 ⑤ 뒷꿈치를 떼는 구간부터 ⑦ 지골을 떼는 구간까지에서는 발목을 앞으로 밀어주어야 한다. 5. 숙련자는 3단디딤걸음체 동작 수행시 동작수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전·후 방향의 힘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는 반면에 미숙련자는 동작수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전·후 방향의 힘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왜냐하면 숙련자는 모든 구간에서 3단디딤걸음체의 진행방향인 앞방향으로 힘을 진행시키고 있는 반면에 미숙련자는 ⑤ 뒷꿈치를 떼는 구간부터 ⑦ 지골을 떼는 구간까지에서 힘을 뒷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3단디딤걸음체 동작수행시 동작수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전·후방향의 힘을 자유로이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간에서 힘이 앞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⑤ 뒷꿈치를 떼는 구간부터 ⑦ 지골을 떼는 구간까지에서 무게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면서 발목을 앞으로 밀어주어야 한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국무용 지도자와 학습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1. ① 뒷꿈치를 딛는 구간부터 ③ 지골을 딛는 구간까지에서는 뒤에 있는 발이 앞으로 이동하는 체중을 받쳐 줌으로써 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훈련을 해야 하며 동시에 무게중심이 앞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발목을 디딤단계에 따라서 앞으로 밀어줌으로써 수직을 만드는 훈련은 해야 한다. 2. ② 엄지발가락 관절을 딛는 구간에서는 엄지발가락 관절을 섬세하게 딛는 동시에 지그시 누르는 훈련을 해야 한다. 3. ④ 발바닥 전체를 딛는 구간에서는 발 전체가 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중족골을 수직으로 누르는 훈련을 해야 한다. 4. ⑤ 뒷꿈치를 때는 구간부터 ⑦ 지골을 떼는 구간까지에서는 힘이 동작수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발의 디딤단계에 따라서 발목을 앞으로 밀어주는 훈련을 해야 한다. 5. ⑥ 지골만 딛고 있는 구간에서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골을 지그시 눌러주는 훈련을 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mdan didim movement three phase steop, the basic walking manner of Korean dance and one unique and characteristic movement of Korean dance as well, with the force platform and to define stable foot movements for Korean dance and present concretely efficient, scientific ways of foot movement training. With the force platform, data related to such factors as the pattern of vertical force, loading rate by phase of step, total contact time, contact time of step by phase and force vector have been collected. And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pattern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In the case of experts, their patterns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ordinary walking, while unskilled ones' patterns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re similar to ordinary walking. Even the patterns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of unskilled dancers when they do Samdan didim movement are almost the same with ordinary walking. This difference of the pattern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by the levels of skill most clearly appears in such sections as 1) from a heel contact phase to a big toe contact phase, 4) a phase when entire sole of a foot steps and 6) a phalanx contact phase. 2. Loading rate by phase of steop. Roading rate by phase of step differs by the length or skill and is highest in 1) a heel contact phase., 2) a big toe contact phase and 6) a phalanx contact phase. 3. Total contact time. Total contact time is long in the case of skilled persons, while unskilled ones' total contact time is rather short. 4. Contact time by three phase steop. Contact time by three phase step differs by the length or skill and is longest in 2) a big toe contact phase. 5. Force - Vector. When seen from a front and center section, vector didn't differ by the length or skill. But seen from a upper section, vector differed by the length or skill in 1) from a heel stepping section to 3) a phalanx section and from 5) a heel take off section to 7) a phalanx take off section. The vector seen from a transverse section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length or skill in from 1) a hell take off section to 7) a phalanx take off section. Based on this result of analysis, I can suggest to instructors and students of dance as follows; 1. From 1) a heel stepping section to 3) a phalanx section, we must train our back ward foot to support the forward moving weight and thereby maintains power evenly, and at the same time we must train our ankles to move forward in accordance with step stages to be vertical so as to the center of our weight does not sway. 2. In 2) a big toe contact phase, stepping, sensitively with joints of big toe and smoothly pressing them altogether are demanded for training. 3. In 4) a section when entire sole of a foot steps, we must train ourselves that we can press our arches vertically to maintain evenly the power of entire foot. 4. From 5) a heel take off section to 7 ) a phalanx take off section, ankles must be trained in accordance with the step stages to let power move according to movement performing directions. 5. In 6) a phalanx contact phase, we must train ourselves that we can press phalanxes to maintain power even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