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은아-
dc.creator손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38-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 미술은 다다이즘을 시작으로 보다 폭 넓게 전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 전통과 무제한의 자유를 추구했던 다다가 보여준 전위성은 20세기를 통틀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뒤샹(M. Duchamp; 1887∼1968)의 오브제(object) 출현 이후, 일상의 물체나 폐물도 예술 작품이 될 수 있게 되었으며, 반 전통을 지향하던 사상은 보다 개별적인 경향을 낳게 했다. 그리하여 현대 미술은 더욱 더 복잡해지면, 난해하며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1980년대 이후, 특히 기존의 형상이나 방법을 차용하거나 전통적인 방법과 주제로 회귀하는 이른바 전통에의 복귀 경향이 대두되었고, 절대적인 양식이 붕괴되는 등, 다양한 양식이 공존하는 다원주의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의 흐름속에서 본인은 전통의 양식을 수용함에 긍정적 자세를 취하며, 특정 양식을 추구하기 보다는 화면의 구성상 필요한 표현 양식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본인은 현대 산업 사회가 대량으로 배출해 내는 폐물들, 특히 폐고철물에 관심을 두고 있다. 우리의 생활 주변에 흔히 폐물들을 볼 수 있고, 본인은 바로 이러한 주변 환경속에서 작품의 소재를 발견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그것들의 형태, 색, 질감 등의 변화에 따라 다각도로 사진 촬영을 해둔 다음, 원하는 구도를 골라 화면에 재현하고, 그것을 좀 더 조형화시키기 위한 작업을 해 나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되어진 형상들은 본인의 일상적 경험을 통한 감성적 태도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며, 산업 사회속에서 찾을 수 있는 폐물의 미학적 측면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폐물을 순수한 재료로 채택하여 작업하는 정크 아티스트(Junk Artist)들, 특히 챔벌레인(John Chamberlain; 1927∼)과 세자르(Baladaccini Ce´sar: 1921∼) 등, 폐자동차를 이용한 작가들과의 비교 연구를 하기로 하겠고, 더불어 사진을 이용하여 전통의 표현 방법에 의한 정밀한 재현을 시도하였던 포토 리얼리즘(Photo Realism)의 작가 리차드 에스테스(Richard Estes; 1936∼)의 작품들도 본인의 작품 세계와 관련성을 지닌다고 보며, 그들에 관한 고찰도 병행하려 한다. 본 논문은 작품 제작의 연구로서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 그리고 본인 작품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 연구에서는 사실적 재현의 문제와 폐물 미학에 대해 서술하였고, 방법적 연구에서는 사진을 이용하여 화면의 소재를 구성하였음을 논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물성과 변화된 공간의 결합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끝으로 본인의 작품을 제시, 분석함으로써 작업에 대한 반성과 함께 앞으로의 모색 방향을 연구해 보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It is safe to say that the 20th Century art has its origin in Dadais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forwardness shown by Dadaism which pursued anti- tradition and unlimited freedom has had a big effect on art throughout the 20th century. Ever since the appearance of M. Duchamp's object, a normal object or even waste material became art works. Also, anti-traditionalism gave birth to a more individual trend. Thus, modern art went through a more complicated, difficult and various developments. Especially since the 1980's, a 'return to tradition's trend, which borrows conventional images or methods or it recurs to traditional methods and subjects, has emerged. Also pluralism began to take shape, which meant the fall of absolute forms and the co-existence of various forms. These circumstances have led me to affirmatively adopt traditonal form and selectively adopt a certain expression form, rather than pursuing a particular form. I am interested in the mass waste materials which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produces. We can easily discover these waste materials around us. I am trying to find the material for my work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fter finding the work material, photographs of the materials are taken from various angles depending on the change of its various aspects of form, color and texture. Then the photograph is reproduced on the screen, after which a modelling work is done. The image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mentioned processes represent my sentimental attitude toward normal experiences, and those images somehow indicate the possible esthetic aspect that could be found among industrial waste materials. A comparative research is made with Junk artists who utilize waste materials. Cases in point are John Chamberlain (1927-)and Baladaccini Ce'sar(1921~) who have used dumped cars. I also believe that the works of Photo Realism artist, such as Richard Estes(1936~), who has tried the accurate representation by traditional expression methods using photographs, are in a way related to my art works, and a study in this regard is made. This thesis is a research on the creative methods of my art work, which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study on contents, methodological aspect and finally the analysis of my works. In the study on contents, the problem of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aesthetics of waste materials are discussed. The methodological aspect deals with the use of photographs as screen constituent and the union of transformed space. Last of all, my own worlts are presented and analyzed. In reflecting my study, I view my research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a better and a more unique expression method of my work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내용적 연구 = 3 A. 사실적 재현 = 3 B. 현대 산업 사회의 폐기물-폐품 미학 = 6 Ⅲ. 방법적 연구 = 11 A. 사진의 간접적 이용 = 11 B. 다양한 물성과 변화된 공간의 결합 = 13 Ⅳ. 본인 작품 분석 = 15 Ⅴ. 결론 = 31 참고문헌 = 33 참고작품 = 35 ABSTRACT = 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33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재현-
dc.subject폐물-
dc.subject이미지-
dc.subject서양화-
dc.title사실적 재현에 의한 폐물(廢物)이미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Waste Material Omage Using Realistic Representation-
dc.format.pagevi, 3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