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미-
dc.creator박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3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30-
dc.description.abstractWith 1945 as a momentum, the art approached the new direction which is difficult to predict. This change of fine art is caused from the World War I1 partially. Then, the fine art after war came to make the new and unprecedented expression. This was progressed, while J.P. Sartre professed his philosophical creed, 'Existence precedes essence.' and emphasized the originality of artist in his speed, in 1946. That is,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became the subjects of work.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manufacture came to be made by concentrating the interest on the engineering. And, in expressing the existing thing extremely, much shock and discord were caused in the society attitude. While the modern fine art is showing the extreme pluralistic nature like this, it is being achieved the clear progress at one direction at least. That is, it is said that the fine art is spreading to the mass by getting out of the exclusive possession by the minority gradually and changes as the medium to meet the continuous movement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 of spectator inside. Artist are creating the new language which will be communicated among people. The aspect of modern fine art came to recognize the transfiguration of economical and cultural mode of life of gigantic mass, like the word of French critic, Pierre Resta, ''If the artist abandon the vague role which is the adventurer of frontline and the independent producer, the artist in the future society will perform their own role well as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good use of leisure." After all, the art is the social product which is not what exists by being far from the society, and the art is the reflection of society life. So,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compresses the discrepancy and opposition in the society into two kinds largely, under the proposition, 'Art is the reflection of society life.' First, this researcher is to explain the contents as the mutual understanding for the formation of sympathy between ego (art view) and world view in large part an between ego ( or work) and others (spectator or society) in small part. Second is the part about the form language to be able to apply above contents concretely as the methodological side. Then, this researcher tries to discuss about the introduction and use of photo technique for the figure nature as the mutual understanding method and about the orthodox nature and the present nature from the structural viewpoint. In conclusion, this researcher tries to study the situation up to now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by studying and analyzing my work.;1945년을 계기로 예술은 예측하기 어려운 새로운 방향으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미술의 변화는 부분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으로부터 기인되는데 전후의 미술은 새롭고 전례 없는 표현을 하게 되었다. 이는 1946년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라는 쟝.폴. 사르트르(J.P. Sartre)의 연설에서 '존재는 본질에 앞선다'는 그의 철학적 신조가 공언되면서 예술가의 독창성(originality)이 더욱 강조되었다. 즉, 개별성과 유일무이성(uniqueness)이 작품의 주제가 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실험적 제작을 하게 되었으며, 기존의 것을 극단적으로 표현함에 있어 예술가에 대한 사회 태도에 있어 숱한 충격과 불화를 야기시켰다. 이렇듯 현대미술은 극단적인 다원성을 띠고 있는데 반해 적어도 한 방향에서는 뚜렷한 진보를 이루어 오고 있다. 즉, 미술이 점차로 소수에 의한 전유물에서 벗어나 대중에게로 확산되어 가고 관람자 내면의 생리적, 심리적 변화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부응하는 매개체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미술가들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소통될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최전방의 모험자요, 독립된 생산자라는 애매한 역할을 단념해 버린다면 미래 사회에 있어서의 미술가들은 여가 선용을 위한 담당자로서 자기 역할을 잘 수행해 나갈 것이다'라는 프랑스 평론가 레스타니(Pierre Restany)의 말처럼 현대미술의 양상은 거대한 대중의 경제적, 문화적 생태의 변모를 인지하게 되었다. 결국, 예술이란 사회와 동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닌 사회적 생산물이며 예술은 사회생활의 반영인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예술이 사회생활의 반영이란 명제 하에 사회 안의 모순과 대립을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하여 첫째, 크게는 자아(예술관)와 세계(관), 그리고 작게는 자아(혹은 작품)와 타자(관람자 혹은 사회) 간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소통으로서의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둘째, 방법적. 측면으로서 위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형식 언어에 관한 부분인데, 그 소통 방식으로써 형상성을 위한 사진 기법 도용과 전통성과 현재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인 작품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상황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본론 = 3 A. 내용적 연구 = 3 1. 자아와 세계와의 관계 = 3 2. 객관적 현실의 이해 = 5 B. 방법적 연구 = 8 1. 현재에 내포된 전통 = 8 2. 사진을 통한 보편적 형상 = 10 C. 본인 작품 분석 = 13 Ⅲ. 결론 = 27 참고문헌 = 29 ABSTRACT = 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44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재인식-
dc.subject현실-
dc.subject형상화-
dc.title재인식된 현실의 형상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Figure Nature through the New Understanding of Actuality-
dc.format.pagevii, 3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