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고등학교 소집단활동의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소집단활동의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ecializing Small Group Activity in High School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고등학교소집단활동전문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고등학교에서의 소집단활동은 훈련받지 못한 교사들에 의해 의례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학교 외부의 전문가들이 교사들을 원조하기 위하여 학교 내 활동에 개입하기도 쉽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학교 내 소집단활동이 본래의 목적을 다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소집단활동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효과적으로 청소년의 전인적인 성장과 복지를 도와야만 한다. 본질적으로 교사들이 소집단활동 지도에 대해 느끼는 부담감은 소집단활동이라는 장에서 교사가 느껴야 하는 무능력감과 무지일 것이다. 소집단활동은 수업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없으며 진행되어서도 안된다. 효과적인 지식의 전달을 위해 교사들이 수년간을 대학에서 교육받은 것과 마찬가지로 소집단활동의 지도도 수년간 교육받고 훈련된 전문가들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이 학교라는 제도 안에서 이루어진다는 이유만으로 학교 내의 청소년에 관련된 모든 영역을 교사의 힘만으로 해결하려 든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인 것이다. 청소년의 존엄과 복지의 성취는 교사들의 단독 책임이 아닌 사회 전체의 책임이며, 청소년과 관련된 모든 전문가 집단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소집단활동 지도교사의 집단활동 지도능력의 실태와 그들이 갖고있는 집단지도와 관련된 욕구를 조사하고, 청소년 소집단활동과 관련된 학교 외부 전문가 집단과의 협조관계에 대한 교사들의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고등학교 소집단활동 전문성 강화의 길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소집단활동 지도자가 갖추어야 하는 지식(청소년 이해를 위한 지식, 소집단지도를 위한 지식)과 기술(기능적 기술, 행정적 기술), 학교 외부 소집단활동 전문가 집단의 활용에 대한 욕구(학교 외부 전문기관에 문제를 의뢰한 경험, 외부 전문가 집단과의 연계활동에 대한 의견 및 선호집단)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소집단활동의 외적 환경(소집단활동 시간수, 소집단의 크기, 소집단 활동 프로그램 계획시의 고려사항, 부적응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실태, 실내공간, 예산, 소집단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필요사항)의 실태를 알아본다. 둘째, 소집단활동 지도자로서 교사들이 갖고있는 청소년의 정서적 특성과 집단이론에 대한 지식 및 집단지도기술(소집단활동에서의 지도방식 및 학생에 대한 태도, 교사의 역할)의 수준을 알아본다. 세째, 소집단활동 지도교사의 과거 소집단활동과 관련된 교육 경험을 조사하고, 재교육에 대한 욕구를 사정한다. 네째, 학교 외부 전문가 집단의 활용 경험을 조사하고, 학교 내 소집단활동에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는 것에 대한 욕구를 사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의 24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총 17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활동의 외적 환경은 효과적인 집단활동에 부적절하였다. 특별활동에 할당된 월평균 시간은 4.1 시간이었으며, 소집단활동 집단수는 27.8개, 집단의 평균 학생수는 33.5명이었다. 소집단활동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학교의 시설 및 예산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집단활동 지도교사의 집단지도 능력은 낮은 상태였다. 청소년의 정서적 특성, 집단이론에 대한 지식, 집단지도 기술, 이상의 세 변수 모두에서 교사들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세째, 고등학교 소집단활동 지도교사는 소집단활동과 관련된 교육이나 연수를 경험한 사람이 전체의 18.5%였고, 교사들이 선호하는 교육내용은 소집단활동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적인 기술에 관한 지식이었다. 네째, 정서장애나 학교부적응 등의 문제를 가진 학생을 학교 외부의 전문기관에 의뢰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불과 8명으로 전체의 5.5%에 해당하는 인원이었으며, 94.5%에 달하는 교사가 의뢰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들이 학교 외부 청소년관련 전문가의 개입에 대해 갖고있는 의견은 학교 안에서 소집단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되 외부 전문가의 참여를 권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43.8%, 소집단활동의 지도가 부담스럽지만 학생들을 위해 교사 스스로가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26.0%,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단체에서 소집단활동을 전담해 전문적인 개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13.7%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체의 94.5%가 학교 외부 청소년관련 전문가의 개입에 찬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외부 전문가는 청소년단체 지도자였다. 일곱째, 교사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다. 학교사회사업에 대해 잘 알고있는 교사는 한명도 없었으며, 대강 알고있는 사람은 24.0%, 들어본적은 있다는 사람은 26.0%였고, 학교사회사업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절반인 50.0%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고등학교 소집단활동의 전문성을 강화시키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고등학교 소집단활동의 외적 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특별활동에 할애하는 시간이 주 2시간은 되야만 하며, 예산과 실내공간이 확보되야 한다. 둘째, 특별활동 지도에 대한 일차적 책임자인 교사들의 소집단활동 지도를 위한 교육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실시되야만 한다. 교육부의 책임하에 관련 전문가 집단의 도움을 받아 기본적인 수준에서는 의무적인 교육을 제공해야만 할 것이다. 세째, 청소년이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인지하여 적절한 전문가에게 의뢰할 수 있도록 교사들을 훈련한다. 네째, 사회복지사의 타 전문가와의 차별성을 인식하고,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도움 하에서 여러가지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을 교육시켜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와 관련된 제반 지식과 기술 외에도 소집단활동을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능력과 기능적, 행정적, 인간관계 기술을 갖춘 학교사회사업가를 양성해야만 한다. 먼저 잘 훈련된 전문가들이 학교 외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학교 체계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공식적인 학교사회사업의 길이 열릴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지역사회복지관 같은 지역에 기반을 둔 사회복지기관 내에서 청소년 소집단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실질적인 소집단활동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며, 학교운영위원회 등의 기구를 통해 학교 체계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소집단활동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집단지도력이 소집단활동에 미치는 영향 및 우수한 소집단활동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방안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Small group activity in high school is managed by teachers, who were not trained. To make matters worse, it is very hard that small group activity professionals join in school to assist teachers. So, through the specializing small group activity in high school, social worker help youth's growing and well-being. The burden, which teachers feel about small group leading, is based on disability and ignorance in the field of small group activity. Small group leading needs quite different methods with teaching in classroom. Small group leader must have training for a few years like the teacher who had been trained in university. It is stupid to use only teachers for ever field related with youth in school even though small group activity is formed in school system. the accomplishment of dignity and well-being of youth is not teacher's but the responsibility of society, and it can be accomplish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ever professionals related with youth.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of specializing small group activity in high school through investigating teacher's leading ability, needs, and thought about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other professionals.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the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knowledge of small group leader's(knowledge for understanding youth, and for small group leading), skill(practical skill, executive skill), and thought about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other professionals(the experience of problem referring to professional agency, thought about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other professionals, favorite professional). And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 surroundings of small group activity(time of activity, group size, consideration of program planning, practical program for unadapted students, space, budget, demand for effective management). 2.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eachers' leading skill and knowledge about youth's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group theory. 3. To investigate teachers' education experience about small group activity and to assess needs about education. 4. To investigate the teachers' experience of problem referring to professional agency and to assess needs about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rroundings of small group activity isn't adequate for effective group activity. Enough space and budget are most necessary. 2. The teachers' group leading ability is low. They don't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youth's characteristics, group theory and skill. 3. The only 18.5% teachers had experienced education or training related with small group activity. First of all, they want to be educated practical skill. 4. The only 5.5% teachers have referred student who had problem to professional agency. 5. the 43.8% teachers think that small group activity must belong to school and it is better to encourage other professionals' participation. 6. The 94.5% teachers agree to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ir favorite professional is youth agency leader. 7. The most of teachers' don't know school social work. Nobody knows school social work very well. The 24.0% teachers know school social work a little. Some suggestion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rroundings of small group activity have to improved. Specially it needs 2 hours on week, and enough budget and space. 2.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give teachers the basic education for group activity leading. 3. It is desirable to train teachers so that they can refer student who have problem to professional. 4. It is desirable to education teachers so that they can know social worker's how to help and what to have. 5. It is important to train school social worker. They have to be training in field of program management, practical skill, executive skill, and every social work knowledge. 6. It is desirable that social work agency, which is located on community, manage youth small group program, offer program model, and then influence school system.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fluence of group leader and the scheme for training excellent group lea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