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현정-
dc.creator유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08-
dc.description.abstractJunk art in the Assemblage line shows the distinc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and art.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derstanding how Junk art has united waste materials or junks with the world of art to express urban environments as a new nature, and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Junk art to know what formative features works by junk artists through their exploration of material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orks of six representative Junk artists by the methods of using junks, and to defin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Junk art.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 of review of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Junk art, and the world of Junk art, classification of works by those six artists by the methods of creation for an analysis of them by the viewpoints, and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Junk art covering every formative features such as ideology, medium of expression, technique, form, structure and color. For a methodological approach, I have set relevant literatures and works as a basic tool, and sampled works of six outstanding artists by the methods of creation. That is, works which manifest the special qualities of Junk art from the latter part of the 1950s to the mid 1980s have been objectively sampled. As to the artists, there are Louise Nevelson and Fernandez Arman who assembled and accumulated objects, Richard Stankiewiez and Jean Tinguely who mostly used welding technique, and John Chamberlain and Baldaccini Ce´sar who produced works through constructing and pressurizing. And data have been analyzed by the artists in accordance with six viewpoints of analysis related with those works. An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 1. the ideology of a junk artist reveals both affirmative and negative views upon the industrial society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his expressions using objects peculiar to modern society. 2. The medium of expression is a junk, mainly hardware fragments, waste automobiles besides non-iron materials like wood piece, plastic, doll and musical instrument, and immaterial things like water, fire, sound and smoke. 3. As for the technique of assembling objects, there is gathering, accumulating, welding and pressurizing. 4. Geometrical forms appear by the assembling technique. 5. A complex space occurs through the complicate structure of horizontal, vertical and oblique lines. In the case of Richard Stankiewiez and Jean Tinguely, they expressed the time and space using movement. 6. About color, in case of coloring, unicolors such as black, white, red and blue were adopted, while in case of colorlessness, natural color of an object was preserved. Junk artists have united social environments with art by assembling junks as a way of exploring the material world of current society, and provided infinite possibilities of expressional medium and technique.;현대산업사회와 예술의 상호연관성을 극명하게 나타내 주는 Assemblage계열의 Junk Art가 물질을 통해 새로운 자연으로서의 도시환경을 표현하기 위해 어떤 방법으로 폐물을 예술의 영역에 결합시켰으며, 작가의 물질의 탐구로 형성된 작품은 어떤 조형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Junk Art의 특성을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폐물을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에 따른 대표적인 작가 6인의 작품을 분석하여 Junk Art의 표현에 관한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Junk Art의 태동과 전개, 폐물을 이용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검토하고 작가 6인을 작품제작방법으로 분류하여 그들의 작품을 관점별로 분석하였고, 분석관점인 이념, 표현매체, 기법, 형태, 구조, 색채의 조형적 특성을 통하여 Junk Art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과 작품을 기본도구로 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폐물을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한 작가 6인을 작품제작방법에 따라 표집한 것으로 작품표집은 1950년대 이후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의 Junk Art의 특성이 표현된 작품을 Object를 집합, 집적한 작가 Louise Nevelson, Fernandez Arman, 용접기법을 위주로 작업한 Richard Stankiewicz, Jean Tinguely, 조립과 압축에 의한 작업을 한 John Chamberlain, Baldaccini Ce´sar를 대상으로 작품을 목적 추출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작가별로 6가지 분석관점에 맞춰 작품을 분석하였다. 6가지 관점별로 작품을 분석한 결과 Junk Art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작가의 이념은 현대사회를 대변하는 Object를 이용하여 작품을 표현함으로써 대량생산되고 소비위주의 산업사회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관점을 나타냄으로써 예술의 사회성이 표현된다. 2. 표현매체는 폐물이며 주로 철물조각, 폐기된 자동차가 사용되었으며 그 외에 목판조각, 플라스틱, 인형, 악기와 같은 비철재료와 물, 불, 소리, 연기와 같은 무형재료가 사용되어 표현매체의 일상성이 나타난다. 3. 기법은 Object의 집합, 집적, 용접, 압축 등이 사용되었다. 4. Object의 집합, 집적, 용접, 압축에 의한 기하학적인 추상형태가 나타나며, Richard Stankiewicz, Jean Tinguely는 움직임을 이용한 시·공간을 표현하였다. 5. 색채성은 채색의 경우 단색을 사용하여 Object로 이용되기 이전의 성격을 지우려는 의도였으며 채색하지 않을 경우에는 폐물 고유의 색을 선택하여 제시함으로써 Object로 이용되기 이전의 성격을 관객이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Junk Art의 작품은 일상의 폐물을 이용한 현대의 물질탐구를 통해 사회적 환경과 예술을 통합시켰으며 표현매체와 기법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ⅹⅰ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2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Junk Art의 태동과 전개 = 4 B. Noveau Realisme과 Neo-Dada = 11 Ⅲ. Junk Art 작가의 작품분석 = 16 A. 작품분석 = 16 1. LOUISE NEVELSON = 16 2. FERNANDEZ ARMAN = 21 3. RICHARD STANKIEWICZ = 25 4. JEAN TINGUELY = 28 5. JOHN CHAMBERLAIN = 33 6. BALDACCINI CE'SAR = 38 B. 분석결과표 = 42 1. 이념 = 42 2. 표현매체 = 43 3. 기법 = 44 4. 형태 = 45 5. 구조 = 46 6. 색채 = 47 Ⅳ. 결론 = 49 참고문헌 = 81 Louise Nevelson의 연대기 = 83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50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Junk art-
dc.subject특성-
dc.subject정크 아트-
dc.subject작품분석-
dc.titleJunk art의 특성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6인의 작가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if JUNK ART-
dc.format.pagexiii, 9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소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