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현-
dc.creator김정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5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5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은퇴한 남성노인의 적응이 일반적 특성, 은퇴전 일-가족갈등, 은퇴스트레스, 가족지지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은퇴스트레스가 은퇴후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족지지가 중재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상위직종(이사급이상의 대기업 회사원, 4급이상의 공무원, 교수)에서 은퇴한 남자노인 211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통한 우편조사법을 이용하였다. 각 변인별로 다양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는데, 은퇴전 일-가족갈등은 이숙현(1995)이 Small과 Riley(1990)의 Work Spillover Scale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은퇴스트레스는 은퇴시 구분된 4가지 영역(경제적어려움, 무위고, 목적상실감, 대인관계의 상실)이 얼마나 스트레스로서 지각되었는지를 총 100%에 대한 비율로 측정하였다. 가족지지는 아내지지와 자녀지지의 유무로 측정하였다. 은퇴후 적응은 세가지 측면, 즉 직업성공지각, 가정성공지각, 인생목적지각에서 측정하였고, 그중 직업성공지각, 가정성공지각은 직업과 가정에서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를 100점 만점으로 점수화하였으며, 인생목적지각은 Frankl(1968)이 고안한 PIL(Purpose In Life)test를 발췌, 번안하여 총 16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x^(2)검증, t-test, 일원변량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상관분석, 희귀분석등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으로 구했으며, 모든 유의도는 p<.05수준에서 검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은퇴전 일-가족갈등이 은퇴스트레스, 가족지지, 은퇴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은퇴전 일-가족갈등이 많을수록 은퇴스트레스중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지각이 높았으며, 가족지지를 받았고, 직업성공지각, 가족성공지각이 낮게 나타나서 은퇴전 일과 가족생활의 불균형은 은퇴후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은퇴스트레스와 가족지지가 은퇴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관계를 통해 알아 보았더니, 은퇴스트레스중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직업성공, 가정성공, 인생목적에 대한 지각이 낮아졌으며, 가족지지를 받을 경우에 직업성공, 가정성공, 인생목적에 대해 낮은 지각수준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 문제가 은퇴후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임임을 입증한 것이며 또한 가족지지가 상위직종자들에게는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3. 은퇴스트레스가 은퇴후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가족지지에 의해 중재될 수 있는지를 다단계 희귀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직업성공지각에서는 은퇴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력이 아내지지에 의해 긍정적으로 중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녀지지에 의해서는 부정적으로 중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지지를 받을때 직업성공지각에 미치는 은퇴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력이 더 증가한다는 것인데, 이는 상층의 남자노인에게 있어서 자녀지지가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한편 가정성공지각에서는 가족지지에 의한 중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보다는 은퇴전 일-가족갈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나서 가정성공지각에 있어서는 가족지지보다는 은퇴전 일-가족갈등이 더 설명력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인생목적지각에서는 아내지지에 의해서만 은퇴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력이 완충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지지의 긍정적 중재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상층의 은퇴한 남자노인에게 있어서는 자녀관계보다는 부부관계가 더 중요함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때, 상위직종에서 은퇴한 남자노인들은 은퇴후 적응에 있어 은퇴전 일-가족갈등, 즉 일과 가족생활의 균형이 중요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가족지지, 특히 아내지지는 은퇴스트레스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은퇴를 앞둔 남성들은 일과 가족생활의 조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며 은퇴한 남자노인의 가족들, 특히 배우자들은 그들 스스로가 은퇴한 배우자의 적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필요한 지지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djustment of the elder man after retirement according to work- family conflict before retirement and family support after retirement. Adjustment after retirement was measured by evaluaton as a career man, a member of family and perception of purpose in lif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onsisted of 211 the aged man(114 directors in the large company, 58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39 professors) who had had high level job. As tools of measurement, Small & Rilely(1990)'s WSS(Work- Spilover Scale) and Franckl(1968)'s PIL(Purpose In Life) were revised by author and used. Evaluation as a career man and a member of family and family support made by the author. The data were analyzied by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x^(2),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product-monent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Cronbach's α was also computed for verificatons of the reliabilities of the scal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s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retirement, especially financial stress, was related to adjustment after retirement; As the financial stress was high, the evaluation as a career man, a member of family and perception of purpose in life became low. 2. The work-family conflict before retiremen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djustment after retirement, particularly evaluation as a career man and a member of family; The elder who had had more work-family conflict evaluated themselves low as a careerman and a number of family. 3.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if the family support makes an influence upon the elder's adjustment after retirement. Family support was mesured by spausal support and child support. As a result, evaluation as a career man and perception of purpose in life were moderated only by spausal support. Whereas evaluation as a member of family was neither moderated by spuasal support nor child sup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성인 및 노인기의 일의 의미와 은퇴의 영향 = 4 B. 은퇴와 가족 = 8 C. 은퇴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요인 = 12 Ⅲ.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 16 Ⅳ. 연구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측정도구 = 21 C. 자료수집 = 25 D. 자료분석 = 26 Ⅴ. 연구결과 및 해석 = 28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28 B.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은퇴전 일-가족갈등, 은퇴 스트레스, 가족지지, 은퇴후 적응의 차이 = 35 C. 은퇴전 일-가족갈등이 은퇴 스트레스, 가족지지, 은퇴후 적응에 미치는 영향 = 42 D. 은퇴 스트레스 및 가족지지와 은퇴후 적응과의 관계 = 44 E. 은퇴스트레스와 은퇴후 적응의 관계에 미치는 가족지지 효과 = 45 Ⅵ. 결론 및 제언 = 56 참고문헌 = 62 설문지 = 73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556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족지지-
dc.subject남자노인-
dc.subject은퇴스트레스-
dc.subject가정관리-
dc.title가족지지가 남자노인의 은퇴스트레스와 은퇴후 적응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상위직종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Buffer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for the retiree in their life adjustment-
dc.format.pagevi, 8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