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1 Download: 0

조선시대 후기 民畵文字도에 표현된 美意識

Title
조선시대 후기 民畵文字도에 표현된 美意識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expressed in MINHWA Pictorial characters in late Yi - Dynasty : Especially Focusing on Hyp-Che-To
Authors
嚴素姸.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Keywords
조선시대민화문자도미의식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이 갖는 美意識의 일단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있다. 이에 조선시대 후기라는 일정한 시기를 설정하고, 당시의 사회ㆍ경제ㆍ문화ㆍ사상을 美意識 형성의 바탕으로 보면서, 소위 民(衆)畵의 양식상 특징을 통해 美意識을 고찰하는 한편, 현재 민중미술ㆍ민중예술의 역사적 근거 마련 및 그 이념성을 검토해 보고자 했다. 논의의 대상으로는 글자로써 생각과 마음을 동시에 표현하는 民畵文字圖 택하여, 이념성과 조형성을 함께 보는 효과를 얻고자 했다. 조선후기에는 경제력에 따라 새로운 계층이 형성될 수 있었고, 서민경제가 발달했으며, 基層化됐던 여러 사상이 대두한다. 이러한 배경과 관련 고대 굿그림을 근원으로 지속된 소위 民畵가 성행한다. 이때 그 유형중 文字圖는 守護的 象徵文字圖, 吉祥文字圖, 孝悌文字圖로 구분되며, 특히 孝悌文字圖의 경우엔 양식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이런 변화과정을 필자는 제1, 제2, 제3의 세가지 양식으로 나눠 각각의 양식상 특징을 살펴봤으며, 革筆畵ㆍ烙畵가 孝悌文字圖의 변질형식임을 알아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산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守護的 象徵文字圖의 경우엔 四神靈思想ㆍ애니미즘ㆍ風水思想에 바탕을 둔 現世禮樂主義의 僻邪美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吉祥支字圖 역시 민간신앙을 토대로 행복ㆍ장수ㆍ안락을 위한 僻邪의 美意識을 나타냈다. 한편, 孝悌文字圖는 제1양식의 경우 유교사상에 따른 人格美가 선호되고, 제2양식은 민간신앙 및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한 실용미ㆍ群邪美ㆍ해학미를 추구했다. 또 제3양식인 飛白書는 文人畵至上主義ㆍ書畵 同一律과 관련, 似意性의 抽象美가 표현됐다. 이렇게 볼때, 民畵文字圖에 표현된 美意識을 계층에 구별됨 없이 현실에 순응하고 개인의 안위를 위한 소극적 경향을 보여준다. 따라서, 民畵를 오직 민중만의 예술형식으로 볼 수는 없으며, 民畵를 민족적 형식으로 계승코자 하는 현 민중미술은, 民畵의 美意識이 근저로 하는 이념적ㆍ사상적 내용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me aesthetic consciousness, Koreans' attitude to an aesthetic object. And then this study set up late Yi-Dynasty a regular epoch, and examined aesthetic consciousness expressed in what is called MINHWA. MINHWA pictorial characters express thought and mind, and show ideology and formative nature simultaneously. So I make an historic basis on present people arts and investigated its ideological aspects. In late Yi-Dynasty, newly rising class was formed by economic power, and the diversity of the thoughts was raised. They are conditions for prevalence of MINHWA which had stemmed from ancient MUHWA(the picture for shaman rite). MINHWA pictorial characters, may be divided into Suhojuk-Sanging-Munchato (S.S.M; the picture of protecting and symbolic dragon or tiger or turtle ), Kil-Sang-Munchato(K.S.M; the picture of happiness, luck, goodness, richness, longevity, etc. ), and Hyo-Che-To (H.C.t; the picture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Especially, Hyo-Che-To appears to be changed in style conspiciously, The process of its change can be examined by four style ( the first, second, third, the deteriorate style) according to their chracteristics. It is after all that some aesthetic consciousness resulting from the condition of late Yi-Dynasty was analysed in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ideological aspects. Characteristics -of sty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S.M seeks for the beauty of protecting evil. Second, K.S.M. also. Third, H.C.T. in the first style express of the beauty of morality, in the second style shows the beauty of practical use, protecting evil. humor, and the third style seeks for the beauty of abstraction. In this contex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INHWA pictorial characters shows independent of the stratum or class, goes with the reality, seeks one's own interests and the negative tendency. Therefore, it can't be said that MINHWA is only for lower class. Much efforts for recognizing MINHWA rightly in the respect of ideology and formality should be made so that present people arts may succeed to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