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무용의 사회적 의미소통

Title
무용의 사회적 의미소통
Other Titles
(The) Social Communication of Dance
Authors
李娟受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무용전공
Keywords
무용사회적 의미무용언어무용예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원시인들의 의식과 美를 포함한 원시 예술은 생활의 방편에서 시작되었다. 예술 생산물은 특정인의 사적 소유물이 아니라 전체의 共有物인 것이다. 계급이 분화되면서 예술과 삶이 분리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예술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필요에 의해 발생되고 일정한 사회적 .과정을 거치면서 확산, 전파되었다. 예술 생산물의 정신적 내용이 사회 구성원과 共有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무용가에 의해 구성된 작품도 일정한 매개를 거쳐 관객에게 수용되기 까지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무용 커뮤니케이션 과정웨 제 요소인 무용가, 작품, 관객의 특성과 이들의 상호관계에서 발생되는 의미구조의 창출과 해석과정이 그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규명하고자 사회내에서 무용작품의 생산과 수용이란 문제들에서 양자에 동등한 비중을 두고 무용작품의 의미소통 문제를 다루고자 했다. 먼저 Ⅱ장에서는 무용의 존재이유가 사회속에서 찾아지고 현실과 밀착되어야 하는 잉중, 작품의 생산주체로서 무용의 사회적 역할을 살펴 보았다. Ⅲ장은, 무용작품의 생산은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보면 부호화된 기호체계로 하나의 메시지를 子성하는 것으로써, 무용언어의특성을 알아본다. 무용을 포함한 모든 예술작품은 예술가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관객의 존재를 배제할 수 없다. 수동적 .수용을 넘어 작품을 능동적으로 재해석하는 수용주체로서의 관객을 Ⅳ장에서 다루었다. 마지막 V장은 작품수용단계를 무용 커뮤니케이션의 최종단계로 보지않고 관객의 창조적 역할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통합적 과정으로 보고 작품에 대한 수용을 수용주체의 해석, 더 나아가 의미의 재창조 과정으로 파악 해보았다.;Human beings as social beings can not help but communicate each other to enjoy their better lifes. Communications are basic and necessary in human lifes and dancing is the one of the communicative types. Dancing is originated from the necessities of social people and, so, conveyed to the audience by a dancer through certain social process. In other words, dancing has the communicative elements in common with all the other arts. By way of specific media (channel), the audience (receivers) perceive the work (message) made by a dancer (source). Under variovs and influential valuables from in-and-out, the dancer com-composes his (or her) work using complicated kinematic languages and also precipitates multifarious reactions (feedback) from the audience who aire dy have had personal and social existing inclin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eactions of the audience influence reversely the dancer's performance again. Then, the audience are no more pasive targets who only watch his (or her) dancing, but active participants who re-inferpret it. Accordingly, this dissertation tries to gain insights into the process from the composition of dancing work as social product to its receipt and reaction by the audience and, the, unite the each communicative process into a total system, expecting to get perspective about the whole structure of "Dance as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