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숙-
dc.creator김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7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4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무용수의 극적 표현성을 보다 계발하고 발전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는 연기훈련 방법론에 대한 연구에 있다. 종합 예술로서의 특성을 지닌 무용이 연극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져 있음을 고려해 볼때, 무용수들에게는 연기적 표현의 중요성이 대두되어진다. 따라서 무용수를 위한 교육과정 속에서는 연기적 표현성을 계발하고 훈련하는 기술적인 수단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수단들은 궁극적으로 무용수의 극적표현성을 길러내고자 하는 목적을 지녀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연기이론의 방법과 근거들을 무용에 적용시켜 분석해나가는 문헌 연구와 필자의 경험적 고찰을 접목해 봄으로써 무용수의 극적 표현성 확대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의 체계를 제안적으로 만들어 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우선은 무용에 포함된 연극성을 논하고 구체적인 연극적 표현방법의 흐름을 알고자 하는 의도에서 무용에서 나타난 극적 전통 및 그 특성을 시대별 추이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리고 무용에 적용시켜 살펴보고자 하는 연기이론을 스타니 슬라브스키(Constantin Stauislavsky), 그로토스키(Jerzy Grotouski), 스즈키 타다시(Suzki Tadasi) 등의 경우를 들어 구체적으로 소개해 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배경으로 이어지는 장에서는 무용수의 극적 표현의 방법들을 보다 폭넓고 깊이있게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존마틴(John Martin)과 김말복교수의 무용표현 이론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무용표현이론과 연기이론의 유사점 및 상이점을 지적해 봄으로써 무용수를 위한 연기방법론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무용표현이론과 연기이론을 연관지어 살펴본 결과 무용수와 연기자는 근본적으로 '내적인 경험의 외형화'라는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의 주된 표현 방식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연기자의 표현성은 보다 일상적이고 재현적이고 서술적인 방식에 의존하여 이루어진다면 무용수의 표현성은 보다 묘사적이고 은유적이고 예증적인 방식에 의해 부각된다. 필자가 제안하고자 하는 무용수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론은 일차적으로 일상적이고 서술적인 표현방식에서 보다 신체를 근원적으로 탐구하고 인간의 감정상태를 움직임으로 외형화하는 방법들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궁극적으로 무용수들의 다양한 표현성계발을 위한 기초적 수단으로써 중요하고 가치있게 여겨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주안점이 무용수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론에서는 먼저 무용수들에게 신체에 대한 근원적인 탐구심을 길러주고 표현적이고 탄력적인 신체를 계발시켜주는데 효과적일 수 있는 신체훈련방법으로서 이완훈련, 에너지 훈련, 공간지각훈련 등이 제안되었다. 그 다음에는 무용수들로 하여금 보다 일상적이고 뚜렷한 감정 상태를 의식적으로 불러 일으킴으로써 감정과 유기적으로 통합된 신체적 체험을 제공하는 감정훈련의 방법으로서 상상력 훈련, 대상을 통한 감정체험훈련, 주의집중훈련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무용수의 극적 표현성 확대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론에 대한 체계적 인식과 그 연구방향에 대한 대안적인 제안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The theme of this study is the growth of dance as related to dramatic issues with special emphasis on maximizing the power to create dramatic expression of a dancer, an important subject that touches on some of the most sensitive parts before the dance studies here in Korea, today. The typical way to train a dancer is strongly insisting that the said way must depend on monotonous external physical skill. And it represents that the modern enviroment of Dance study is facing with an enormous barrier, "the typical old thin king"- DANCE as danced. Following in the tradition of Stanislavsky, Martin, Malbok Kim whose magnificent views of the Dance theory helped pass congressional legislation to create some remarkable academic performanc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this study. Additionally, my own knowledge and experiences during the past 10 years on modern dance and its theory could be used for the proposals for this study also. This paper consists of 4 chapters. In chapter 1, this study showed scope and method of study and objectives as well. In chapter 2 and 3,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ory of Dance Expression". in chapter 4, this study proposed the new way to maximize the power to create dramatic expression of a dancer both in physical point of view and in emotional point of view. Chapter 5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무용에서의 극적 전통 및 특성 = 6 B. 연기 이론의 배경 = 14 Ⅲ. 무용 표현의 이론 = 25 Ⅳ. 무용수를 위한 연기 방법론 = 36 A. 신체 훈련 = 36 B. 감정 훈련 = 47 Ⅳ. 結論 = 55 참고문헌 = 58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32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무용수-
dc.subject극적표현성-
dc.subject연기훈련-
dc.subject방법론-
dc.title무용수의 극적 표현성 확대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ct Theory to maximize the power to create dramatic expression of a dancer-
dc.format.pagevi, 6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