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엄미항-
dc.creator엄미항-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5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552-
dc.description.abstractToday, mythology is recognized only as the fictitious story of far ancient times which is remote from our life. But the mythology is becoming the base of our gigantic power, while we fall to understand in our consciousness or unconsciousness. Mythology presents the way of life by permeating our custom or daily life deeply consciously, and it plays the role as our spiritual axis unconsciously. One race keeping the peculiar collective unconsciousness which can be discovered from only the race. It is the feature to get to have commonly in the same race. This researcher is a member of Korean race. So, it can be said that I have the features to have to keep as Korean rac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xpression inclination exists in the boundary of expression inclination of Korean race. This researcher tries to visualize the image of mythology with the expression inclination based on such features. As the mythology to be created by universality and repetition nature is what compressed all the meanings of thought and idea of the race through symbol, this researcher thought that the expression of mythology is suitable for speaking for the inclination of Korean race. Out of it, this researcher tries to express the primitive image to be formed from Tangun mythology which is the mythology of founding of country which represents our country through symbol. As various symbol languages were used in mythology, this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image of mythology through various symbol elements in the work manufacture of this study also. The major composit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n the second section, first, this researcher made one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ythology, and examined the feature of symbol language to appear in mythology and the course until the expression is made by artist after the image is formed from mythology. Then,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representative symbol meanings which are immanent in Tangun mythology and examined which visual expression inclination was formed as the primitive image of Koreans which was formed by the symbol meanings. In the third section,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symbolic meaning to appear in the course of work manufacture and in the whole of work and each element of concrete symbol and tries to guess the general meanings as to with which meaning each symbol element is being used in other country or religion. And, this researcher examined as to with which form the symbol elements were expressed and used in their life. Then, the int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9 pieces of works of this study follow. This study has more or less jumping aspect, as it is what tries to visualize symbolically by dragging out the primitive image from Tangun mythology which is the historied mythology from the viewpoint to speak for the inclination of whole Koreans as one person to have the inclination of Koreans. But,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cher tries to confirm the orthodox nature of Koreans by recognizing the mythology again and to reproduce the primitive image of Koreans by expressing it visually.;오늘날, 신화라는 것은 우리의 삶과 동떨어진 아득한 먼 옛날의 허구적 이야기로만 인식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화는 우리의 의식 혹은 무의식 속에서 우리가 깨닫지 못하는 동안에 우리의 거대한 힘의 바탕이 되고 있다. 의식적으로, 신화는 우리의 관습이나 일상생활 깊이 스며들어 삶의 방식을 제시해 주며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정신적인 축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하나의 민족에게는 그 민족에게서만 발견될 수 있는 독특한 집단적 무의식을 간직하고 있다. 그것은 동일 민족이라면 공통적으로 가지게 되는 특징이다. 본 연구자는 한민족의 일원이다. 그러므로 한민족으로서 지녀야 할 특성들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자의 표현 성향은 한민족의 표현성향의 테두리 내에 존재한다는 귀결이 가능하다. 그런 특성들을 바탕으로 한 표현 성향으로 신화의 심상을 시각화 하고자 한다. 보편성과 반복성에 의해 생성되는 신화는 그 민족의 사상과 관념을 상징을 통해 모든 의미들을 압축시켜 놓은 것이기 때문에 신화의 심상 표현이 한민족의 성향을 대변하기에 적당하다고 보았다. 그 중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로 부터 형성되는 원시심상을 상징을 통해 표현해 본다. 신화에서 여러 상징언어들이 사용되었듯이 본 연구의 작품제작도 여러 상징요소들을 통해 신화의 심상을 표현해 본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먼저, 신화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신화에 나타나는 상징어의 특성과 신화로부터 심상이 형성되어 예술가에 의해 표출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그런 후 단군신화에 내포된 대표적인 상징의미들을 분석하고 그 상징의미들에 의해 형성되어진 한국인의 원시심상으로 어떤 시각적 표현 성향이 형성되었는지 알아본다. Ⅲ장에서는 작품의 제작과정과 작품 전반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의미와 구체적 상징의 각 요소들을 분석하고 각 상징 요소들이 다른 나라나 종교에서는 어떤 의미로 쓰이고 있는지 그 일반적인 의미들을 짚어본다. 그리고 그 상징요소들이 어떤 형태로 표현되어 그 생활에 나타났는지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9개의 작품 소개와 해설이 뒤따른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성향을 지닌 한 사람으로서 전체 한국인의 성향을 대변하는 입장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신화인 단군신화에서 원시심상을 끌어내어 상징적으로 시각화하려는 것이기에 다소 비약적인 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신화를 재인식함으로서 한국인의 정통성을 확인하고 그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서 한국인의 원시심상을 재현해 보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신화의 이해 = 4 1. 신화의 가치 = 4 2. 신화의 상징과 그에 의한 심상 = 6 B. 단군신화와 한국인의 원시심상 = 8 1. 단군신화 분석과 그 상징성 = 8 2. 단군신화에 의한 원시심상과 한국인의 시각표현 성향 = 14 Ⅲ. 작품제작 및 해설 = 18 A. 제작과정 및 의도 = 18 B. 상징의미 및 요소 분석 = 19 C. 각 상징요소들의 일반적인 이해와 그 사례 = 25 D. 작품해설 = 31 Ⅳ. 결론 = 49 참고문헌 = 51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770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단군신화-
dc.subject원시심상-
dc.subject상징적 표현-
dc.title단군신화에 의한 원시심상의 상징적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YMBOLIC EXPRESSION OF PRIMITIVE IMAGE FROM TANGUN MYTHOLOGY-
dc.format.pagevii, 5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보디자인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