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바다 이미지를 형상화한 타피스트리 연구

Title
바다 이미지를 형상화한 타피스트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apestry for Figuring the images of the sea
Authors
유수경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바다이미지형상화타피스트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원시미술에서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대자연의 무한한 변화와 조화 속에서 살아가며 그 자연에서 미를 발견하고 끊임없는 관심과 표현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이러한 자연을 표현함에 있어서 생활의 터전으로서의 자연으로부터 미를 추구하기 위해 자연미 자체를 묘사하거나, 혹은 도시의 발전에 의해 상실되어 가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자연으로의 회귀를 갈망하며 광대한 자연의 모습이나 현상 등의 이미지들을 재해석 함으로써 자아 표출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의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을 대상으로 한 예술작품들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양식을 형성하며 변천되어 왔는데, 현대에 이르러서는 대상에서 느껴지는 감흥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와 기법들의 혼용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동기에서 자연 가운데에서도 생명의 근원지로서의 신비로움을 지닌 바다를 대상으로 삼아, 바다 속 생명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상징적 해석을 이미지화 하기위해 바다 속의 모습을 과학 서적의 컬러 화보나 영상 매체를 통해 관찰한 후, 그로부터 얻어진 감흥들을 물고기, 해륙등을 단순화 한 형태와 주관적인 색채로 변형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형태와 색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warp painting한 후 다양한 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brocade하여 제직한 작품을 통해서 바다 속에서의 생명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상징적 해석을 시도하고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바다로부터 얻어지는 상징적인 이미지들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의 형태와 색채의 변형에 의한 이미지의 형상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표현 기법 연구로는 wrap painting의 특징과 brocade의 특징 및 유형에 대해 고찰하고, warp painting과 brocade를 이용한 작품의 사례를 제시, 분석함으로써 연구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연구자가 바다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요함 속에서의 생명의 생성과 소멸의 반복으로 인한 순환적 이미지를 형상화 하기위해 생명력이 넘치는, 동적인 물고기 떼의 이동 모습을 대상으로, 형태를 딘순화하고 색채에도 변형을 가하여 얻어진 이미지를 중심으로 warp painting 과 brocade를 이용해서 제작한 작품의 표현 과정과 분석 내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 과정을 바탕으로 하는 작품 제작 결과를 서술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다가 지니고 있는 무한한 생명력, 자율성과 규칙성, 그리고 유기적인 곡선의 미 등은 연구자가 바다에 대해 가지고 있는 주관적인 내면의 세계를 객관화하기에 충분한 대상이 되었다. 둘째, 단순화시킨 물고기 형태의 무리들을 모티브로 화면에 반복 배치함으로써 바다 속에서의 생명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 순환적 감각을 표현하였다. 세째, 저채도의 brown 계열, 혹은 온화한 느낌의 파스텔 톤의 red 계열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바다로부터 느껴지는 평온함과 생명체의 온기를 표현하였다. 네째, 표현 기법에 있어서 warp painting을 사용함으로써 기계적인 느낌의 직조 기법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회화적인 이미지의 표현이 가능하였다. 다섯째, 굵은 실을 사용하여 물고기 모티브들을 브로케이드 함으로써 낮은 부조적 효과를 얻었고 또한 warp painting하여 제직된 바탕 직물 표면과의 공간성을 부여하여 바다 속에서의 원근감을 화면에 표현 가능하게 하였다.;From primitive art to modern art, human being living under nature’s infinite changes and harmonies has discovered beauties in nature and made them as an object of incessant interest and expression. In expressing this natural beauty, people of the past literally depicted it because they regarded nature only as the basic ground of living, but in the present when humanity becomes less important due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people try to go back to nature and find their egoes and hopes through natural images or phenomena. As to the artistic works which made nature their object, current of expression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by the times, and by the modern times artists became to consider originality is important to present their impressions from objects more uniquely through mixing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By this reason, the author of this study mae the sea, which is always an object of longing and regarded as an ideal place of hope, as an object of art and observed its images to get abstract figures with flexible forms and colours through warp painting and brocade techniques. And next based on these figures, symbolic generation and death of life was analyzed. At firs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documentary records were referred to get images from the sea and investigate the process of imagerial figuration through transformation to express those images into a work. And the features and kinds of warp painting and brocade techniques were examined and the existing works that mixed those two techniques were analyzed to make this study more understandable. Secondly, in making a work, the images of the sea, sometimes calm and lyrical but sometimes also dynamic for the life circle below the surface, were simplified into the group movements of fishes while colours changed freely through two weaving techniques, warp painting and brocade techniques, to figure vivid movements that happen in the great nature. And next expressional process and details for analysis were described. In the conclusion, the results of making a work based on these process we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infinite liveliness, self-control and regulation and organic curvilineal beauty of the sea were enough to be an object of art for the author to objectify her subjective inner world related to the sea. Second, by repeatedly arranging the crowd of fish previously simplified, the author could express the circulation of life under the sea. Third, by using serene brown colors, red colors of low chroma and simplified organic curve forms, the author could express the magnanimity and serenity of the sea. Fourth, the warp painting technique made pictorial expression, which is difficult in the mechanical weaving, is possible. Fifth, some relief effects from broeading fish motives with thich threads provided a kind of spatiality upon the basic fabric made by warp painting technique to grant a sense of perspective on the canv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