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윤정-
dc.creator최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0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096-
dc.description.abstractModernism’s idea of having to invent new styles that fit into the situation of the period was rejected by the thought of pluralistic existence. It began to take more value than complex contradiction, vague simplicity and logical innocence. These reactions are displayed in the end of twentith century art. The modernism style that rule by individual decline by the pluralistics at the same time a verticle (plumb) line, fulfilled post modernism not only artisically but socially to the mid-civilization. Therefore the social classism collasped and the situation in hopes of mutual successor existence blew an energy for artists allowing the painers to have an open attitude about the subject and form, resulting in various reactions with other artworks. Consequently, in these situations, I freed myself from the rules and tradition, accepting the community of the native domain in dedication. In pursuit of free form and contents, I made an effort to envisage the diverse art in pluralism phenomenon. In this way I tried to obtain pluralism.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epart from using the specified materials and instead, expand the areas of expressions using diverse wood-block printing materials and techniques to reflect the multi-faceted currents of our modem art. To this end, the researcher put emphasis on the establishment of a real self-ego, while selectively accommodating the quality of inks to reflect the self-ego, a combined spirit and body. In addition, in order to renew the perception of the space, the researcher departed from the conventional genres of plane or cubic to use the exhibition space more positively. Several artists were referred to : Jackson Pollack(1912-1956) who pursued a painting by repeating actions, Donald Judd(1928-) who presented the repeatability of the equal relations and Michelangelo Pistoletto(1993-) who whowed an unlimited space in a technical way. Besides, Carl Andre(1935-) who expanded the space freely was referred to for this study. This thesis is composed of the study on contents and method of my art work making,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works. For the contents of the work, the emotional views of human being reflected on the material were featured, while the phenomenon that material and space would be unified to be a space for self-expression was discussed. As for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eated acti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xpressions of materials and the spacial uses through repeated arrangements of units were discussed. Finally, I want to grope for apportunity in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 by analyzing my work.;시대상황에 맞는 새로운 형식을 개발해야 한다는 모더니즘(Modernism)의 사고방식은 다원성이 존재한다는 생각에 의해 거부되었다. 복합성과 모순, 모호성은 단순성, 순수성, 합리성을 대신하는 가치들이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20세기말 미술에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단독의 스타일에 지배하던 모더니즘은 다원주의하에 쇠퇴되고 동시에 연직선상에서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에로의 이행은 예술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그리하여 사회 계층구조가 붕괴되고 문화와 스타일의 상호계승과 상호공존하는 현상은 예술가에게 활기를 불어 넣어 주제와 양식, 방법면에서 열린 태도를 취하게 하였으며 작품들은 공공연하게 다른 작품들과 댜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인은 규칙과 전통으로부터의 자유, 고유 영역간의 개방성을 적극적인 태도로 받아들이고 자유로운 형식과 내용을 추구하는 다원화의 현상을 직시하여 다양화의 노력, 개별성의 획득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인의 작품제작에서는 규격화된 재료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재료와 판화기법으로 표현의 영역을 확장하고, 다각적인 현대미술의 흐름을 반영한다. 본인은 진정한 자아를 정립하는데에 주된 관심을 갖고, 정신과 육체의 합일체인 자아를 반영할 수 있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공간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기 위하여 평면이나 입체라는 고유 장르에서 벗어나 전시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참고작가로는 행위의 반복에 의한 회화를 추구한 잭슨 폴록(Jackson Pollock;1912~1956), 동등한 관계의 반복성을 제시한 도날드 져드(Donald Judd;1928~), 거울을 이용하여 무한한 공간을 보여준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Michelangelo Pistoletto;1933~)를 선정한다. 그리고 자유로운 공간영역의 확장을 이룬 칼 안드레(Carl Andre;1935~) 를 역시 참고 작가로 하여 본인의 작품 분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제작과 관련지어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의 연구와, 본인 작품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 연구에는 물질에 반영된 감성적 인간관의 의미를 설명하고 물질과 공간의 하나됨을 유도하여 자아 표출의 공간이 됨을 논하고자 한다. 방법적 연구에는 반복적 행위의 특징과 재료의 물질적 특성과 표현 그리고 단위체의 반복적 배열에 의한 공간 활용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반성과 함께 차후 작업의 전개방향을 모색하여 발전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본론 = 3 A. 내용적 연구 = 3 1. 물질에 반영된 감성적 인간관 = 3 2. 자아표출(自我表出)의 공간 = 5 B. 방법적 연구 = 8 1. 행위의 반복 = 8 2. 재료의 물질적 특성과 표현 = 10 3. 단위체의 배열 = 12 Ⅲ. 본인 작품 분석 = 16 Ⅳ. 결론 참고작품 참고문헌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672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감성-
dc.subject자아표출-
dc.subject공간성-
dc.title감성을 통한 자아표출과 공간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about self expression and space through sensibility-
dc.format.pagevi, 3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