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劉素映-
dc.creator劉素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0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084-
dc.description.abstract인간에게는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려는 장식본능과 생각이나 감정, 의사등을 표현하고자 하는 본능을 갖고 있으며 인간의 생존을 지속시켜 주는 안락과 안녕을 희구하는 본능을 보편적으로 갖고 있는점을 미루어 본다면 신석기시대의 암각화와 삼국시대 고분벽화나 민화는 작화동기 및 표현하고 있는 주제가 다분히 일맥상통 한다고 볼 수 있다. 벽화미술은 조형적 방법과 시각적 방법을 통한 인간의 감정이나 뜻을 나타내 는 예술의 한 분야라 말할 수 있으며 또한 공간예술이라 정의 할 수 있다. 모든 예술이 인간의 유희본능에서 생겨난 _것이며 벽화미술의 경우도 예외 일 수 없는 것이다. 벽화미술은 인간생활과 가장 가까이 밀착된 미술로서 생활 환경과 그 영향속에서 시작되었으며, 생활환경의 영향은 인간도 싫건 좋건간에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속에서 인간의 행위가 여러가지 형태로 작품을 이루게 되었고 우리의 환경을 재구성 재조명하여 왔으며 미술작품은 또 다른 환경과 풍토 속에서 재료와 표현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민화도 한시대의 생활조건을 같이하는 민중에 의해서 항상 공감하고 있던 사실들이 그들에게 필요한 내용과 형식으로 그려지게 된 것이다. 한국민화의 발생기원은 뚜렷한 연대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농악이나 탈춤과 마찬가지로 원시공동예술에 까지 소급된다. 무속적 시각형태는 일상적 공예의 장식모양, 암각화, 벽화등에서 명맥을 유지하며 외래사상의 전래에 의한 영향을 받으면서 혼합되는 양상으로 변모한다. 엄격한 의미에서 벽화속의 소재와 민화의 소재는 소재의 내용으로써 일맥상통 한다고 볼 수 있으나 벽화가 선사시대의 유치한 기법을 사용한 순박함을 나타내고 민화가 점차 양식화되고 세속화 되면서 기호적, 부호화 됨으로 인해 추상적 표현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는 한 울타리로 분류하기는 힘들다고 본다. 본 연구는 고대벽화에서 보여지는 착색의 박락에 의한 벽화의 회화적 이미지와 민화 속에 쓰여진 연꽃, 연잎, 물고기, 새 등의 소재를 현대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벽화와 민화 속에 누적 표현되어진 소재가 갖는 의미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벽화와 민화의 기원과 용도를 연구하였으며 특히, 작품을 통하여 벽화의 이미지와 민화적 소재가 내포하는 의미에 대해 중점적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현대미술에 있어 벽화와 민화가 어떠한 형태로 그 명맥을 유지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고, 고대벽화의 이미지와 민화 소재의 특성을 작품 제작시에 새로운 표현 방법으로 응용함으로써 작품의 내용적인 면과 방법적인 면의 근간을 이루게 하였으며 본인 작품을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작품 제작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Human beings have an instinct to decorate the space beautifully as well as the one to express their thoughts, emotion and intention. Considering that we in common have an instinct to pursue a comfort and peace which will enable us to sustain our life, the rock-inscribed paintings of the Neolithic Stone Age, the tomb-wall painting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various folklore paintings are all alike in their in their motives or themes of expression. All arts are supposed to be origined form the human play instinct. We are not able to make an exception in fine arts. Man, even if good or harmful, has lived and will live influenced by his environment. Under such environment. It is quite natural that man's action be expressed by different Works-Visual or invisible. Those different Works-Visual or invisible-have rearranged and re-il luminated our surroundings. In particular, the folklore paintings were created with the contents and forms needed by the people of the time, based on the facts sympathized by them who were beset by similar living conditions. Although the Korean folklore paintings have not any clear origin, they may date back to the primitive community art, like the peasants' music or the mask dance. The shamanistic visual forms have barely sustained in ordinary handicraft decorations, rock-inscribed paintings and wall paintings, while having been transformed under the foreign thoughts introduced. In a strict sense, the sources of wall paintings and those of folklore paintings may be similar. In a more strict sense, however, the wall paintings feature a simplicity using the naive techniques of the primitive age, while the folklore paintings were more formalized and secularized with more symbols and codes and thus would become more abstract. In this regard, the two genres of painting may not well be classified into the same category.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expressing the picturesque images created with dark and light coloring on the ancient wall paintings and such sources of our folklore paintings as lotus blossom and leaf, fish and birds, and thereby,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sources accumulated in those paintings. To this end, the origins and uses of the wall and folklore paintings were reviewed, while the implications of wall painting images and folklore painting sources were featured intensively through actual production of works.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how the wall the folklore paintings barely sustain themselves in our modem art. Meanwhile, the contents of and methods for works were formed by applying the images of the ancient wall paint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lore painting sources to them. Finally, useful for future production of similar 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序論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本論 = 4 A. 고대 벽화 이미지의 현대적 응용 = 4 1. 회화의 일환으로서의 벽화 = 5 2. 현대의 벽화미술 = 6 3. 고대 벽화의 기법과 회화적 이미지 = 7 B. 작품을 통한 벽화이미지 표현 = 11 C. 민화의 회화적 특성 = 12 1. 민화적 소재로 나타난 작품이미지 = 12 2. 민화의 현대적 전개 = 15 3. 민화적 소재의 내용적 연구 = 16 Ⅲ. 作品分析 = 19 Ⅳ. 結論 = 34 참고문헌 = 36 ABSTRACT =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91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고대벽화-
dc.subject이미지-
dc.subject민화-
dc.subject소재-
dc.title고대벽화 이미지와 민화 소재의 현대적 응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rn applications of the ancient wall painting images and the folklore painting sources-
dc.format.pagevi, 3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