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태선-
dc.creator김태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2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26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on making a base for more concrete, effective dance education by searching the general definition, value and goal in the education of dance, by analysing the objective contents of the present dance subject, and by studying the cognitive degree the students of girls' noddle school have. Dance is a subject that holds an important field in both the courses of physical education such as physical training and function learning and of art education such as cultivation of sentiments and expressive medium, and eventually suggests the purposive concept of general education such as a completion of the whole man.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degree in the purposive concept of dance education, this thesis set the subjects in this study 294 students out of 6 girls' middle school that were located in Tae-ku.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Bloom's classification in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present physical education guides for teachers, and reference of former researchers in methods of questionnaire. With these foundations, a draft questionnaire was made, and after being reviewed for its adequacy and applicability by preliminary survey, this investigation questionnaire was made. SPSS PC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percentage. Through investigation by methods and processes mentioned above, the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ing : First, students who answered positively were dominant over those negative by 54. 7% to 18.1 % in cognition of physical purpose. For dance education is made through physical activity, the result in cognitive degree of physical purpose was shown to high. Second, students who answered positively were slightly dominant over those negative by 32.5 % to 31.4 % in cognition of intellectual purpose, but th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fact that 4 out of 7 questions were answered negatively considered in detail. The overflow of the belief that dance has nothing ta do with intellectual growth or development throughout the whole society was reflected on the students' answers. Third, students who answered positively were dominant over those negative by 47.0 % to 23.5 % in cognition of emotional appreciative purpos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dance education should be suggested by this emotional, appreciative purpose, and students' active recognition about this purpose is necessary as well. Still the fact that the rate in negative answers found to be high shows that dance education should be much replete to its purposive content as study of art. Fourth, students who answered positively were dominant over those negative by 38.3 % to 28.5 % in cognition of social purpose. However, negative answers outnumbered positive answers in 2 of 8 questions, and the other 6 questions didn't show that much difference in percentage. This fact shows that students do not realize clearly about the social purpose of dance education. As shown above, the cognition of students about the purposive content in dance education shows a little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core concept and chief subordinate concept.;본 연구는 무용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와 가치 및 목표를 규명하고 현행 중학교 무용교과가 지향하고 있는 목표내용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여중생들의 목표에 대한 인식정도를 연구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무용 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용은 실체단련·기능학습이라는 체육과의 중요영역과 정서순화·표현적 매체라는 예술적 명역을 공유하고 있는 교과로서 궁극적으로는 전인적 인간 형성이라는 일반 교육의 목적과도 부합되는 목표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무용 교육의 목표내용에 대한 여중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시내 일반 여자 중학교 6개교를 설정한 뒤 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Bloom의 교육목표분류와 현행 체육교과 교사용 지도서를 기초로 하여 설문지 선행 연구자들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 초안은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후 수정하여 본 조사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결과는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무용 교육의 목표내용에 대한 여중생들의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학생들의 신체적 목표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 18.1%, 긍정적 54.7%로 긍정적인 응답이 훨씬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 교육은 움직임이라는 신체활동을 매개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 결과로 획득되는 신체적 가치에 대해서는 학생들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학생들의 지적 목표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 31.4%, 긍정적 32.5%로 긍정적인 응답이 조금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긴 하였지만, 세부 항목별로 보면 전체 7개 문항 중 4개의 문항에서 부정적인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야 할 것 같다. 무용은 지적인 성장이나 발달과 무관하다는 신념이 사회 전체에 팽배해 있는 만큼 학생들의 지적 목표에 대한 인식 역시 비교적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세째, 학생들의 정서적·감상적 목표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 23.5%, 긍정적 47.0%로 긍정적인 응답이 비교적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 교육이 지닌 예술적 특성 및 효과들은 이 정서적·감상적 목표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어야 하며, 학생들도 이 목표내용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조사결과 부정적인 응답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은 , 앞으로 무용교육이 예술교육으로서 지향해야 하는 목표내용에 좀 더 충실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네째, 학생들의 사회적 목표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 28.5%, 긍정적 38.3%로 긍정적인 응답이 비교적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8개 문항 중 2개의 문항에서 부정적인 응답이 더 우세하였고 나머지 6개의 문항에서도 각 응답내용의 비율이 서로 큰 폭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는 사실은, 학생들이 무용 교육의 사회적 목표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무용 교육의 목표내용에 대한 여중생들의 인식정도는 각각의 핵심개념 및 목표학위 개념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무용의 교육적 가치 = 5 B. 무용 교육의 목표 = 14 C. 우리나라의 중학교 무용 교육 = 19 1. 중학생의 일반적인 특징 = 20 2. 현행 무용 교과의 목표와 내용 고찰 = 22 Ⅲ. 연구 방법 = 29 A. 연구 대상 = 29 B. 연구 도구 = 29 C. 자료 수집 및 처리 = 31 Ⅳ. 결과 분석 = 32 A. 신체적 목표에 대한 인식 = 33 B. 지적 목표에 대한 인식 = 41 C. 정서적·감상적 목표에 대한 인식 = 49 D. 사회적 목표에 대한 인식 = 55 Ⅴ. 결론 및 제언 = 65 A. 결론 = 65 B. 제언 = 69 * 참고문헌 * = 75 부록 = 81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682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무용교육-
dc.subject여중생-
dc.subject인식조사-
dc.subject목표 내용-
dc.title무용교육의 목표 내용에 대한 여중생들의 인식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ON THE COGNITION OF STUDENTS OF GIRLS' MIDDLE SCHOOL TOWARDS PURPOSIVE CONTENTS OF DANCE EDUCATION-
dc.format.pageix , 8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