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1990년대 한국 무용비평의 내용분석 연구

Title
1990년대 한국 무용비평의 내용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dance criticism and its content in the 1990s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한국무용비평1990년대무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무용비평에 대한 문제점들이 계속 지적되어 온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문제점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920년대에 시작된 무용비평은 무용미학에 관한 깊은 성찰과 비평 방법에 대한 반성없이 수행되어 왔기 때문에,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한 전문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주관적인 인상비평의 단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무용계의 발전과 더불어 비평이 조금씩 발전하고 있으나 여전히 비평 방법론의 정립에 있어 모호함과 전문성의 결여 등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무용비평은 주로 예술전문지나 신문에 시평이나 공연평으로 간간이 발표되고 있는 실정인데, 비평가와 창작자의 마찰도 적지 않으며, 일부 무용비평가의 글들은 무용계에서 배척당하거나 신뢰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필자는 그 문제점들을 종합해 본 결과. '무용가들이 비평가와 그들의 평문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점이 나타났다. 이에 필자는 그 원인을 밝혀 보고자 90년대 전반에 발표된 비평문의 내용 분석을 시도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서 평문을 구성하고 있는 어휘나 글의 주안점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무용과 예술비평 분야의 이론서를 비롯한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무용비평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무용비평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자, 예술비평의 목적과 의의를, 비평문 분석에 있어 하나의 객관적인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예술비평의 유형과 근거, 무용의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의 무용비평 발달사를 해당시기의 무용계 상황과 비평계 상황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1990년대 전반에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인 비평가 다섯 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평문을 10개씩 선별해 비평의 주안점, 비평용어의 분류의 측면에서 내용을 분석 하였으며, 그들의 평문에 나타난 특징적인 문장들을 종합하여 각 비평가별로 비평 관점 및 유형 연구를 하였다. 가능한 한 같은 작품에 대한 평문을 선정하였으므로 각 비평가 사이의 특징 및 차이점이 서로 비교될 수 있었다. 그 결과 일부 평문들이 비평 형식에 있어서 객관적이지 못했으며, 무용작품 자체로부터 이끌어진 평가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이 출신 비평가와 비무용가 출신 비평가 사이의 차이점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무용비평의 진로모색은 무용작품 자체로 부터 이끌어져야 한다고볼 수 있다. 공연예술로서 현재성의 특징을 갖는 무용은 작품외적인 정보보다는 무용의 핵심인 움직임과 이를 토대로 한 전체로서의 무용작품과의 조화와 통일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 of all to define what the problems with criticisms are in Korea. Furthermore, discussion to solve the problems will be provided. However dance criticism begun since 1920 without sound reflection on dance aesthetics failed to be professionalized upon e academical foundation. Dance criticism was not beyond level of subjectivity & impressiveness. In the late 1980, dance criticism has improved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dance.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 it is still Pointed out the ambiguity of critical method and lacks of professionalism. Dance criticism is, in general, to be publicized periodically by the means of newspaper, art professional magazine. There is not the conflicts between artist and critics. Some critics are not welcomed in dance fields. As a result of survey, I have found out the fact that dancers do not trust critics. I have tried to find out reasons for this distrust toward critics. I also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criticism in the early 1990s. I look into the terminations, points of the criticism. This paper is to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of dance criticism with the related materials. I will also discuss the goals and definition of art criticism for the purpose of theoretical background. I will show the identity of dance, roots of art criticism and categories of dance criticism. I will discuss the history of dance criticism which has begun during the 1920s in Korea. This discussion will develop with emphasis of changing situations of both dance and criticism field. For example, 5 among the most highly active critics in the 1990s will be compared in this writing. 10 criticisms from each of them will be compared in terms of point, terminology. Being selected from the same source as possible, the differences among criticism will be seen. As a result, some criticisms turned out to be subjective criticism without the basis of absolute standard. It turned out to produce discrepancy between dance major and non major critics. I suggest the dance criticism should be stemmed from the art work itself. I also suggest the dance as a performance art, ephemeral should not be criticized from external data. However, it should consider integrity and balance as a whole based upon mo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