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지원-
dc.creator백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0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2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092-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말 예술의 상황은, 자기 비판적 형식주의가 지배하던 모더니즘에 뒤이어 나타난, 보다 폭넓고 다양한 변화와 방식을 수용하는 다원적 경향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내용적으로는 작가의 감성적 표현을 수용하게 되었고, 방법적으로는 장르상의 폐쇄성 (평면회화의 순수성)을 깨고, 다양한 매체의 혼용으로써 관람객에게 확장된 시각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적 영역의 확대, 형식적 폐쇄성 탈피, 이미지의 도용 등으로 인해 모더니즘과의 소원(疎遠)한 상태에서 예술이 그 자율성을 회복하게 된 것이다. 예술가의 눈은 더욱 더 열리게 되었고 붓은 다양해졌다. 또한 시시각각으로 발전하는 과학과 정보의 홍수로 인해 예술의 영역은 더더욱 확장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테크놀러지(technology)의 홍수와 무한정의 자유 속에서 오히려 예술의 방황은 더욱 심화되고 말았다. 그리하여 예술에 대한 회의는 보다 근원적인 인간실존의 문제에 대한 회의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Post Modernism)은 이러한 인간 내면의 근원적 문제에 관심을 돌리고, 그 표현방법에 있어 현대사회가 만들어낸 기술과학문명과 기존의 복고적 표현기법을 혼용한 형식간의 화합을 꾀하는데 그 특색이 있다. 따라서 예술은 이제 순수한 조형탐구의 장에서 벗어나 인간자체에 대한 탐구행위에 직결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본인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심성과, 그러한 심성에 의한 물질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작업을 전개해 왔다. 본인은 이러한 '심성'을 '생명력'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고 '생명성'이 갖는 근원적 특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생명성'은 생성, 성장, 소멸을 담은 시간의 과정일 뿐만 아니라 공간 속에서 외부물질과 상호작용하여 변화하는 것이므로 그것은 결국 생명체와 외부공간의 관계로 자연스럽게 귀결된다. 처음에 본인의 관심은 생명체, 즉 유기물의 자체내에 있는 생장의 에너지와 외부 무기물질의 영향과의 관계에 있었으나 그것들은 차츰 동화되어 하나의 유기적 공간을 만들어 내게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무기물질에도 생명적 감성이 내재하는 것을 읽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본인은 종교인도 과학자도 아니기 때문에 생명의 근원에 대해 확실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함이 아니다. 하지만 본인의 표현적 감성을 담을 수 있는 물질들을 다루면서 인간의 시지각적 감각과 상상력에 의해 그러한 무기물도 생명성을 띠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명과 물질에 관한 본인의 관심은 그 표현적 측면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큰 특징중의 하나인 다양한 매체의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본인은 어느 특정 양식에 속하지 않은 폭넓은 시각적 경험에 의하여 예술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그것은 결국, 기계에 의한 이미지(Image)의 차용과, 원초적 물질이 가진, 상징성의 표현으로써 회화가 가진 평면성에서 벗어나, 보다 열린 공간으로서의 회화, 즉 다차원적 회화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제작논문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내용적 연구, 방법적 연구, 본인의 작품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적 연구에서는 생명체와 공간의 상징, 상상력과 물질, 그리고 방법적 연구에서는 사진이미지(image)를 이용한 시각의 확대, 물성에 의한 유동적 공간, 사각의 틀이 갖는 시공간적 의미 등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또한 생명성을 모티브로 한 아르프(H.Arp)의 초기 작품과 유동적 물성의 수지작업에 의한 부드러운 조각(soft sculpture) 의 에바 헤세 (Eva Hesse) 의 작업을 참고하여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The situation of art toward the close of the 20th century, in succession of the Modernism which the self-critical formalism had prevailed, has been connected to pluralism accepting wider and more various alterations and formulate. So, it came to accomodat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writer in terms of contents. In respect to methodology, it broke closeness among the genres, or the genuineness of paintings, and provides extended viewpoint to the visitors by mixing more various mediums. In these circumstances, art has restored its self-control in the state of estrangement from Modernism by the extension of aesthetic territory, the escape from the formal closeness, and the appropriation of images, etc. The eyes of the artist became wider and wider, and the brushes became more and more diverse. Also, the inundation of science and information developing from one minute to the next made the artistic domain extend more and more. However, the artistic roaming became severer and severer in the thoughtless inundation of technology and limitless freedom, The skepticism on the art can find its root on the more fundamental skepticism for the matters of human existence. Post-Modernism turns its interest in the fundamental problems of our inner lives. And in terms of the expressional method, it attempts to harmonize among the genres by mixing the techno-scientific culture made from moral society and the already established conventional technique for expression. So I developed the task by taking on interest in moral nature which is the most basic ;to human being, and materialistic world through this disposition. I tried to do research on the basic quality which the ‘liveliness’ has, and considered this ‘disposition’ as originated from the ‘liveliness’ which contains birth, growth and extinction, but also the alteration by the reciprocal action with the outer materials in the space. So it is eventually conclud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the outer space. Also at the beginning, my interest wa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growth energy which is in the life or an organism and the influence of outer inorganic material. So the earlier pieces of work have separated aspects between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but by degrees it assimilated and made one organic space. In other words, I tried to read the lively sensibility intrinsic in the inorganic materials. I don't want to show the accurate answer on the origin of life since I am neither a religionist nor a scientist. However, in treating the materials which can contain my expressional emotion, 1 could find that the inorganic material has liveliness by human visual-sensory senses and imagnation. Thus, I tried to get help for the analyses of my works by choosing the earlier works of Arp which had animation for its motif, and Eva Hesse who did soft sculpture by water works of fluid material. This thesis has the characteristic of producing thesis, and consists of contents study, methodic study and work description of mine. I studied symbolization of life and space, and imagination with material in the contents study, In the methodic study, I classified the study as tile extension of visualization using X-ray film, the fluid space by properties of matter, and visual-spacial meaning which four angle frame has. Finally, I try to benefit for the future works by inspecting my own intention and methodic formative problems, I presented and analyzed the seven Works of art which I produce during the master's course for this inspe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본론 = 4 A. 내용적 연구 = 4 1. 생명체와 공간의 상징 = 4 2. 상상력과 물질 = 8 B. 방법적 연구 = 13 1. 사진과 이미지 (Image) = 13 2. 유동적 공간 = 14 3. 사각 틀이 갖는 시공간적 의미 = 17 Ⅲ. 본인 작품 분석 = 19 Ⅳ. 결론 = 34 참고작품 = 35 참고문헌 = 36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328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미지-
dc.subjectImage-
dc.subject물성-
dc.subject유기-
dc.subject공간표현-
dc.title이미지(Image)와 물성(物性)에 의한 유기적 공간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xpression of an Organic Space by Image and Material-
dc.format.pagevi, 4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