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1 Download: 0

現代彩色畵의 이미지 表現에 관한 硏究

Title
現代彩色畵의 이미지 表現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expression of image in modern colored painting
Authors
李在敦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현대채색화이미지표현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이룩한 고도성장은 문화면에 있어서도 갖가지의 현대화 현상을 수반했다. 이 현대화의 물결은 두 말할 것도 없이 미술의 영역에도 들이닥쳤으며 그 추세는 계속 가속화 되어 왔다. 이같은 급변 속에서 현대회화은 자칫 그 어떤 위기감에 사로잡힌다. 그것은 어쩌면 현대문명 속에서 질식되어 가는것 처럼 보이는 정신문화에 대한 위기의식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러한 위기감을 극복하는 길의 하나가 바로 전통이라고 하는 정신적 지주(支柱)이다. 우리는 한국인 ·동양인이기 전에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이다. 이 현대는 과학의 시대이며, 또 이 현대 속에는 동서의 구분이 존재치 아니한다. 그리고 이 현대란 오늘의 나의 실존 속에서 과거를 새롭게 파내고 또 그것에 의하여 미래를 창조해야 하는 현대인 것이다. 현대 미술과 한국 미술, 그리고 예술의 제현상, 이 모든 것은 본인 자신과 끊임없는 순환관계로 서로를 유지시켜준다. 무엇이나 새로운 일은 창조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때로는 그 창조적 행위가 무의도로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히려 그 편이 더 큰 업적을 낳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미술사에 큰 업적을 남긴 미술가들이 모두 자신이 자신의 위치를 확실히 알고 또한 자신이 문화의 창조자라는 소명감과 신념에 의해서만 살았다고 보지는 않는다. 그러나 결과가 같다고 해서 과정을 경시할 수 없는 것처럼 자기의 창작 활동의 의미를 추구하고 한국 미술의 좌표, 자기 예술의 좌표를 인식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미술사 안에서 채색화가 양식적인 면에서 가졌던 그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내용적인 연구로 작품의 주요 소재로 택한 도시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설명하고 그것을 소재로 택했을때 본인이 취한 작품의 여러 구성요소를 배치한 방법과 공간의 성격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작업을 통한 방법적인 연구에서 청색과 백색이 주는 이미지와 색면의 구성에 관하여 살펴보고 재료를 통해 물과 아교와 안료의 질료적 효과를 살린 방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학원 과정동안 제작된 본인의 작품에서 7점을 선별해서 제시, 분석함으로써 작업의 성과에 대한 반성과 앞으로의 방향 모색을 시도하였다.;High level growth realiz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Korea was accompanied by various modernization phenomena in cultural sector too. Obviously this wave of modernization hit hard the field of arts and such trend is accelerating without relaxation. Under such swift changes modern painting tends to be gripped with a certain sense of crisis. That sense may be for spiritual culture seemingly suffocating in the midst of modern civilization. One way to overcome such sense of crisis is reliance on spiritual pillars known as tradition. Before being Koreans or the oirentals we are the moderns living in contemporary time. Modern age is an age of science and no divisions exist between the West and East in it. Modern age demands us to dig into our past in our existence once again and create our future upon it. Modern and Korean arts and various phenomena of arts-all of these things sustain one another mutually through endless cyclical relaiponship with myself. Whatever they are new works may be called as creative. Sometimes such creative acts may lead to nothing but sometimes such result may still lead to greater accomplishments. We don't believe all the artists who left their great traces in the history of arts had clear perception on their positions or had lives filled with sence of mission and conviction conscious of their being creator of culture. As process can not be held lightly on account of idenitcal results by the same token discovering meanings of creative activities, understanding the position held by Korean arts or one's own arts and searching for more desirable directions can not considered as insignificant. In this treatise it is amied to find out functions of colored painting in the history of Korean Arts in terms of styles and to explain image of city space selected as main subject of the works whose substance is studied here. This writer also addressed method of composition of various components and character of space for the works this writer chose under the context of choosing the above mentioned elemens as theme. After that in a methodological study the image created by blue and white colors and composition of colored surface analysed and method for producing better effect when using water, glue and pigment are described. In closing reflection on the results of works is made and quest for future directions is attempted by selective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7 works from works the writer produced during the years of graduate school cour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