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영-
dc.creator김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8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2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29-
dc.description.abstractWe cannot but the disillusioned by the corruption and immorality that appear inherent in the reality of our country's modern day society. The news pertaining to painstaking investigations into alleged slush funds, illegal acquisition of astronomical profits by those who held, or hold, the reins of power, and crimes committed by juveniles tend to head the list. The voluntary social work, however, has not only been playing a crucial role in social transition and development but has exerted considerable effort in enhanc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worth and value. Thus,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viable investigation into the programs and organizational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so than ultimately voluntary social work whould become even more effective. Specifically, this thesis has delved into the contemporary demands and conditions which face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system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ir voluntary social work. To be sure, the research condu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voluntary social work was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an which would have been conducted on those of adults, primarily because the adults' voluntary social work can be viewed as providing only labor force perse. The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work, on the other hand, can be discerned from the standpoint of putting priority on education and training. Accordingly, to formul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with which an empirical basis can be made for the program models appropriate to Korea this study has invariably taken cues from the paradigms shown in Ralph Tyler's theories, which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20th Central educational curriculum, plus the practices of effective social work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t present. The model for the voluntary social work program, therefore, is delineated into five stages as follows: (1) preparatory period which outlines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in order to build cooperative network among the parents, academia, and local communities;(2) cognition period which instills the concepts of voluntary social work;(3) comprehension period which finds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nate in the local fabric of society and promotes research and group discussions; implementation period which carries through the plans set forth in the earlier stages; and evaluation period which appraises group as well as individual's social work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in this model ar voluntary group discussions, emphasis on local communities as the arena for educational and social life of the young students, organizing of the students into tight groups of fifteen members each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inclusion of their mothers as leaders. To apply and implement this model, one hundred and fifteen freshmen students from Bong Eun Middle School and sixteen mothers formed the control groups. Eight groups were tightly organized into separate closed units and gathered together once a week for nine times, than totalled twenty on hou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analyzing the individual opinions of the students, the evaluation charts made by the mothers during the weekly meetings, and the observation record of the Youth Development and Research Institute: (1) In the cognition period, the goals and objective as well as the concepts underlying voluntary social work and the uncertainties of nonvoluntary work were taught. (2) By emphasizing teamwork individual members were effectively directed towards cooperation and advancement of skills. (3) The students, themselves, learned to find out the problems facing local communities, discuss solutions, set up plans, and develop research abilities. (4) On the spot practical experience stimulation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ad brought not only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tentment but a renewed attitudinal view of voluntary work. (5) The mothers became convinced of the worth and educational necessity of voluntary social work through this experience, which resulted in their support and encouragement for the students' voluntary social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model on middle school students' voluntary social work lies in bringing about meaning and effective results not only to those social workers on the site but to the students who were serving as volunteer workers. Consequently, by presenting this model with short term results as a basis it appears that a program set on deriving long term results should be conducted as further research.;오늘날 기성세대의 비윤리적인 이윤 추구와 청소년들에 의해 저질러지고 있는 반인륜적인 행위는 모든 국민을 경악케 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청소년들의 인성과 도덕성 함양의 필요성을 강조한 자원봉사활동의 실시는 자원봉사 활동이 사회변화 내지 사회개발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여가 실간의 활용만이 아닌 자신의 생을 의미 있고 보람되게 만들 수 있는 계기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인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제도적 조치, 즉 중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의무화 규정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여 청소년들이 모다 효과적으로 의미 있는 자원봉사활동을 하도록 하기 위한 계획적·조직적인 프로그램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원봉사는 성인의 자원봉사와는 달리 노동력의 제공보다는 교육과 학습이 우선되어야 하는 원칙하에 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해하였다. 이에 따라 20세기 교육프로그램 설계의 주된 패러다임인 Tyler의 논리와 현재 미국에서 효과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봉사학습의 의미를 도입하여 이론적 배경을 삼았으며, 이것을 기초로 우리나라의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였다. Tyler의 논리는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서 ① 교육의 목적이나 목표의 설정 ② 교과나 학습경험의 선정 ③ 학습경험의 조직 ④ 결과의 평가를 들었는데 이 각각의 단계는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전후의 단계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종합적 교육과정 모델로서의 의미가 있다. 한편 배우는 과정으로서의 봉사학습은 지역사회에 나가 자원봉사 하는 것을 학생들의 임의 활동에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학교가 보다 조직적으로 개입한 다는 개념이다.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이웃과 지역사회를 돕는 자원봉사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학교의 커리큘럼과 통합시켜 교육의 차원으로 이끌고 간 것이다. 따라서 학교의 교과과정에 통합하는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핵심은 Preparation(준비)-Action(실행)-Reflection(평가)이다. 즉 학생들 스스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발견하고 자원봉사를 위한 계획을 세우며, 지역사회에 나가 실천하며, 다시 교실에 돌아와 활동에 대한 평가를 하는 클라스토의의 순환성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개발된 자원봉사 프로그램 모형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와의 협조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설계를 하는 사전 준비단계, 자원봉사에 대한 개념인식활동으로서의 인식단계, 현장의 이해를 돕기 위해 문제를 발견하고 봉사꺼리를 찾고 봉사를 위한 계획을 세우는 등의 조사 연구와 집단토의 활동의 이해단계, 계획에 의해 실천하는 실행단계. 그리고 활동에 대한 평가는 물론 개인·집단평가가 이루어지는 평가단계가 그것이다. 평가단계에서는 평가토의가 이루어진 것을 보완하여 다시 이해단계나 실행단계로 돌아가서 활동할 수가 있다. 이 모형의 특징은 청소년들의 자발적인 토의활동과 의사결정과정에의 참여를 강조한 점과 청소년들의 구체적 생활의 원천적 거점이며 교육의 장인 지역 사회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는 것, 그리고 다수의 참여자들을 보다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15명 이내의 소집단의 활용과 어머니를 지도자로 개입시킨 점이다. 본 모형은 실제로 봉은중학교 1학년생 115명과 어머니 16명을 대상으로 적용·실시되었다. 집단구조는 조직적이고 폐쇄적인 구조를 택하여 8개 집단으로 조직하였으며 개입 횟수는 주1회, 9차에 걸쳐 21시간 실시되었다. 여기에서 시간이 갖는 의미는 자원봉사를 의무적으로 연간 40시간 이수해야 하는 대상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한 학기에 해당되는 절반의 시간으로 조정한 것이다. 프로그램 참여 동기의 관점에서는 제도적 장치에 의한 비자발적 구조를, 학력·나이·관심면에서는 동질적 구조를 취했다. 효과성 측정으로는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참가자 학생 105명의 소감문과 매 회의 활동후 작성된 어머니 지도자들의 평가기록 그리고 청소년 개발원 연구원의 관찰기록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인식단계에서 자원봉사의 개념과 목적 의의에 대한 교육은 비자발적 참여에 대한 부정을 처리할 수 있었고 자원봉사인식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팀별과제 수행을 위한 활동은 팀구성원 상호간의 대인관계 기술 증진에도 효과적이었다. 셋째, 학생들 스스로 지역사회 조사활동을 통한 문제점 발견, 해결책 의논, 계획 수립등은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함께 자발적 탐구능력개발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수혜대상이나 장소에서의 직접 경험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경험제공과 자극을 주어 보람, 기쁨 뿐만이 아니라 다음의 계속적인 활동에의 기대와 자신감을 심어줌으로 자원봉사에 대한 의식 및 태도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다섯째, 어머니 지도자들에게도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증진과 자원봉사의 교육적 필요성을 절감하는 설득력있는 계기가 됨으로 학생들의 계속적인 활동참여에 대한 격려 및 지지가 보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중학생을 위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모형의 제시는 사회복지 현장의 실무자들에게 뿐만 아니라 자원봉사를 해야만 하는 청소년들에게 보다 의미있고 효과가 있는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육의 단기적 효과를 꾀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 모델을 기초로 보다 장기적인 계획으로서의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3 C.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의의 = 6 B. 청소년 자원봉사 교육 프로그램의 접근 유형 = 12 1. Tyler의 교육 프로그램 = 15 2. 봉사학습 프로그램 = 18 3. 양모델의 적용가능성 검토 = 28 Ⅲ. 프로그램의 모델 제시 = 31 A. 프로그램의 개발 원칙 = 31 B. 프로그램의 모델 = 33 C. 프로그램의 내용 = 37 Ⅳ. 프로그램 실시 = 39 1. 개요 B. 프로그램 실행 과정 = 42 C. 프로그램 효과 분석 = 63 Ⅴ. 결론 및 제언 = 70 A. 결론 = 70 B. 제언 = 75 참고문헌 = 78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183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중학생-
dc.subject지역사회-
dc.subject자원봉사-
dc.subject프로그램-
dc.title중학생들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모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8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