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아-
dc.creator이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5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2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음악 교육목표를 포함하는 음악과(科) 교육과정과 음악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학년별 연계성과 심화학습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학년별, 악곡 구성요소별 음악 성취도 평가문항을 작성하여 학생들의 성취도를 평가함으로써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문항평가와 실음평가간의 악곡 구성요소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음악 교육행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념을 살펴보고 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 5차 교육과정과 해설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학습내용을 리듬, 가락, 형식, 셈여림, 음색 등의 5가지 악곡 구성요소별로 분석하고 국민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음악 교과서를 학년별과 악곡 구성요소별로 분석하였다. 조사연구는 서울 소재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SAS(Sta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다. 음악과 학업성취도 평가의 내용은 음악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문항을 악곡 구성요소인 리듬, 가락, 형식, 셈여림, 음색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이와 함께 실음평가 문항을 포함하였다.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과 조사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과 교육과정은 내용 전개상 심화학습을 유도하고 있으나 가락을 제외한 리듬, 형식, 셈여림 등 학습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음색은 국민학교 과정보다 중학교 과정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음악과 교과서의 경우 제시되는 교육과정이 구체적이지 않고 그 심화내용이 국민학교에 편중되어 기초학습의 부실을 초래하고 중학교에서는 심화내용보다 동일한 내용의 반복이 많아 심화학습에 부적절하다. 특히 교육과정이 리듬과 가락에 편중되어 형식, 셈여림, 음색 부분의 내용이 빈약한 실정이다. 이는 다양하고 실질적인 음악교육의 장애요소로 지적할 수 있다. 음악과 학업성취도의 분석결과는 강동지역의 성취도가 강서, 강남, 강북지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악곡 구성요소 중에서는 리듬의 성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음평가의 성취도가 문항평가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교육 개선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개선의 측면이다. 교과서 검정행정과 교과서 편찬행정을 강화하여 보다 교육과정에 충실한 교과서를 편찬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교사연수의 측면이다.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미흡한 부분이나 중요한 부분은 음악교사 연수를 통해 강화하여 보다 질 높은 음악교육을 유도한다. 세째, 시설 및 자료확보 측면이다. 음악교육의 특색이자 기본 성격인 실음 교육을 위해 국가적으로 재정적인 뒷받침을 통해 시설 및 자료를 확보하여 균형 있는 음악교육을 완성한다. 이상의 제도개선과 교사연수, 시설 및 자료확보 등이 종합적으로 개선·시행될 때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과 지역격차의 해소라는 현행 음악교육의 과제가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each grade and the state of the deep learning approach by investigating musical curriculum including the educational target and the contents of textbook. It also aims to evaluate student's achievement by each grade over musical elements through questionnaire and estimat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survey and real sound eval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musical education and search for the solutions. For the purpose, the musical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the concept of the curriculum was researched being compared with foreign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Fifth Curriculum and its commentary was analyzed by five musical elements of rhythm, melody, form, dynamic and tone-color. In addition, the textbooks from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examined over the musical elements by grade. The survey was done against 396 students who were girls and boys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Seoul. The survey result were processed by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s of the five elements of rhythm, melody, form, dynamic, and tone-color including real sound evaluation based upon the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d the survey is as follows ; The musical curriculum directs basically the deep learning approach. But teaching of rhythm, form, dynamic is not enough and tone-color is more well taught in elementary school than in middle school. Musical textbooks don't provide a definite and concrete teaching. The deep learning approach is mor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giving rise to poor basic learning. It's not properly done in middle school since there are many repetitions of the same contents. Especially in the curriculum, rhythm and melody are emphasized while form, dynamic and tone-color are slightly treated, which may be an obstacle to a right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over achievement in music learning, students in Kang Dong area have higher achievement than in Kang Seo, Kang Nam and Kang Book areas, and girl students achieve more than boy students. Among the musical elements, students get the highest achievement over rhythm. The achievement for real sound appears lower than for the theory. Based upon the result, the followings are presented to improve the musical education ; First, the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improved. The authorization and the edition of textbooks must be strengthened to provide textbooks appropriately made by the curriculum. Second, music teachers would be trained to teach well the important or insufficient parts of the curriculum. Third, the musical facilities and data have to be arranged by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 supply a balanced education over the real sound which is a basic peculiar feature of music. If the system improvement, teacher's training and facilities and data arrangement are all performed, musical education will be improved with removing the regional ga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 7 A. 한글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 = 9 B. 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 14 Ⅲ. 초·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분석 = 33 A. 악곡 구성요소별 교육과정의 분석 = 33 B. 악곡 구성요소별 교과서의 분석 = 43 C. 종합 논의 = 56 Ⅳ. 음악과 학업성취도의 분석 = 65 A. 성취도 조사 방법 = 65 B. 성취도 조사 결과 및 해석 = 69 C. 종합 논의 = 77 Ⅴ. 요약 및 결론 = 80 참고문헌 = 85 부록 = 87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522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음악과-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교과서 분석-
dc.subject초등학교-
dc.title초ㆍ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alysis of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c.format.pageix, 10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