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도시경관체계로서 상업가로의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디자인 모형 사례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경관체계로서 상업가로의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디자인 모형 사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eet Environment Design Model for Enhancing Commercial Street as an Organization of Townscape : Focusing on Itaewon Street Environment
Authors
송지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도시경관체계가로환경디자인모형 사례장식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상업가로는 도시경관에 있어서 가장 변화가 심한 장소로서 지역의 특성과 도시의 문화수준을 가장 잘 반영하는 가로라고 할 수 있다. 도시의 상업기능은 도시 내부의 환경과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업기능을 갖는 가로에서의 경관 효과는 도시에 대한 이미지를 결정지어 줄 뿐만 아니라 가로의 공간적 구조를 인식시켜 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내 상업가로에서의 외부공간이란 제도적 차원에서의 도시계획의 미비, 고밀도의 토지이용, 상업이윤의 추구 등으로 자동차를 위한 도로와 주차장으로만 존재하며 보행자를 위한 가로환경이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가로 경관의 전체적인 환경적 질이 고려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업가로를 특징짓는 가로건물들의 형태나 파사드가 소비를 유발시키는 장치로서 부각되어 상업적 이윤과의 접목으로 상징화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업적 자본주의가 크게 대두한 오늘날의 현실에 비추어 활기찬 상업행위와 보행활동이 일어나는 도시의 활동축이 되도록 상업가로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방향을 사례로서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과거의 무질서하고 혼돈된 결과로 남아있는 상업가로에 대하여 도시경관의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가로환경의 경관적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과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 문제를 인식하고 연구의 필요성에 따른 연구목적과 방법을 기술하였다. 2. 도시경관의 구성이라는 측면에서 가로공간의 의미와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도시내 가로환경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3. 가로건물들에 있어서 파사드의 역할과 시각적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가로환경과의 관계성을 고찰하였다. 4. 도시경관체계로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업가로의 특성과 구성을 살펴보고 활성화된 상업가로의 사례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5. 디자인을 위한 모형 사례 연구를 위해 C. 알렉산더의 'A Pattern Language'에 수록된 패턴언어를 이용하여 가로환경 패턴언어를 분석, 종합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6. 가로환경의 모형 사례로서 대상이 되는 이태원가로를 중심으로 문제해결 과정으로서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7. 시각화된 디자인 결과에 대한 평가로서 연구의 전과정을 검토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연구의 결과 가로환경을 중심으로 도시경관 차원에서 조성된다면 단순히 물리적 차원의 개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으로는 현재의 도시 시스템을 재구성하기 위한 포괄적인 계획의 차원에서 그 의미를 가지게 될 것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새로운 가로환경의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도시경관의 시각적 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가로공간의 활용과 환경설계에 포함한 관련 분야에 하나의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 창조하는 디자인 행위를 통한 가로환경의 조성은 인간과 환경의 정신적 접촉을 촉진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Commercial street is the most changeable part in townscape, which explains the characteristic and culture of a city. The commercial function of a city not only organizes townscape and space structure, but also determines the image of a city and selves to recognize its streets' spacial structure, by accompanying the scenic effect of commercial streets. In case of Korea, the inadquate city planning without legal support, as well as high-density use of land and persuit of commercial profits, made the exterior space of commercial streets only as roads and parking lots, no public space for pedestrians. It is true that the shape of buildings and facades is being regarded as a device fa draw consumption and symbolize its commercial prof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design models to enhance commercial streets as a main field of active business and walking. This is a study of improving the qualitative aspect of street environment, which remains as the result of past disorder and confusion in city planning. The methods and steps are as fellows. 1. The clarification of problems, the purpose and the methods of research are stated. 2.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environment are examined to help understanding the constitution of townscape. 3.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s and street environment was considered by examining the function and visual effect of facades. 4.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ommercial street are examined, provided with a classification of active commercial street models. 5. In case study, C. Alexander's 'A Pattern Language' is cited for analyzing, synthesizing the street environment pattern language and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s found. 6. Focusing on Itaewon street as a model of street environment, the design is developed as a process of problem solution. 7. As an evaluation of a visually designed result, the entire process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settl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recognized that street environment design in the view of townscape have more comprehensive meaning of improving city environment and forming streetscape. Further more proposing a new street environmental model, it is expected to provide a progressive alternative to design fields related to environmental planning and process. And it also has its significance in composing of street environment by designing, promoting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