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정화-
dc.creator오정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4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2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419-
dc.description.abstract모든 지각은 또한 사고(思考)이고, 모든 이지(理智)는 또한 직관(直觀)이며, 모든 관찰은 또한 발명이다. 이러한 견해는 예술의 이론과 실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예술 창작 과정은 하늘로부터 신비스럽게 영감을 받아 나타나거나, 보통 사람들이 행하는 것과 전혀 관련이 없는 독립적인 것은 아니다. 반대로 위대한 예술을 창작하도록 하는 숭고한 시각은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평범하고 흔히 있는 활동에서부터 싹터 나오는 것이다. 평범한 지식을 구하는 것도 형상과 의미를 발견하기 때문에 '예술적' 이라고 할 수 있듯이, 예술가의 구상(構想)도 생활의 도구이며 우리가 누구이고 어디에 있는가를 이해하는 하나의 세련된 생활 방식인 것이다. 즉, 모든 예술적 활동은 상징화의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상징은 곧 정신의 표현인 것이다. 또, 문화적인 관점에서 볼 때 상징은 개인이 아닌 집단의 산물이다. 즉, 집단의 공통된 생활양식과 의식에서 공통된 요소가 생겨나게되고 시간의 흐름속에서 사회 구성원의 학습화를 통해서 전통적인 상징을 이룬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문화, 종교, 예술의 공감대인 상징요소를 연구하고, 예로부터 우리들의 생활속에 나타나는 정서를 상징적 해석을 통해, 한국적 조형성과 미의식이 내재된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우리 민족의 고유성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시각화하고, 우리만의 독창적인 표현을 재발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인의 정신문화와 상징, 그리고 신화와 민간종교 및 한국의 예술·문화속의 상징체계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의 인간적인 욕구, 즉 불로장생에의 염원과 부귀영화 및 행복의 추구, 출세에의 희원 등의 솔직한 감정을 상징적 해석을 통해 작품을 표현하였고, 이를 상징적 의미해석과 재료 및 기법에 따라 조형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고찰과 작품제작 및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문화와 종교, 예술의 상징적 의미해석을 통해 미래에까지 변하지 않는 우리민족만이 갖는 독특한 특성과 정신세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 자연환경, 사회적 사상 등의 내적, 외적 환경의 영향으로 오랜 역사에 걸쳐 형성된 한국인의 독특한 형태감각과 미적정서는 대체로 자연과의 융화, 미완성의 완성, 무기교의 기교, 어수룩하고 구수한 맛과 멋, 꾸밈없는 소박함 등으로 나타난다. 세째, 세계화속에서 우리의 고유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한국적 문화의식과 조형의식의 바탕위에서, 서구로부터 받아들여야 할 것들은 주체적으로 소화해내야 하고, 우리의 근본 뿌리의 흔들림 없이 화합시켜 재창조해나가야 한다. 본 연구자는 상징적 해석을 통한 한국인의 정서의 시각화 표현을 통해 우리 민족의 고유성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시각화하고 우리만의 독창적인 표현을 재발견하여, 세계속에서 한국적 일러스트에이션의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To perceive is to think, to reason is to intuit, and to observe is to create. This point of view gives lots of influence up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t. The process of artistic creation is not something quite different from the everyday lives of common people, or suddenly inspired by the mysteries of heaven. On the contrary, the sublime prospect that leads to a great creation comes out from the ordinary, casual activities of everyday life. We often refer to something ordinary as ‘artistic’ when we can find forms and meanings through it, therefore, an artist’s idea is a tool of living and a sophisticated mode of life upon which we can understand what we are and where we are. That is, every artistic behavior can be said as a symbolizing work. A symbol means an expression of human mentality. Also seen from the cultural point of view, a symbol is a product of group not of an individual. That is to say that common factors collected from common modes of life and consciousness consist some traditional symbols through learning of members of society as time goes 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mbolic factors in the Koreans’ culture, religion and art, and to visualize our race’s peculiarity into the modern images based upon the inherent formativity and aesthetics by analyzing our people’s emotions prevalent from the beginning of our history, and finally to rediscover unique expressions of our own. The text of this study includes details as follows: at first, review of theories about Korean mental culture and symbols, and about symbolic systems in the myth, folk religion, art and culture, and next actual making of works through symbolical analysis to express frank feelings and desires of man in everyday life such as craving for long live, health, wealth, prosperity, happiness and success so on. And finally analysis of the works from the formative viewpoint defining symbolic meaning, material and technique. Approaches in this study have been literature reference and analysis as well as actual making of work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analysis of the symbolic meanings included in our culture, religion and art, we can find that there is our ethnic uniqueness and inherent world of mentality, which won’t be changed in the future. Second, the unique sense of form and aesthetical emotions of the Korean people collected throughout the long history and internal, external environments mostly resulted in the harmony with nature, incomplete completion and technique without artificiality. Third, to recover our peculiarity in the streams of world wide globalization, we must take in what we think we have to take in from the West based upon our cultural conceptions and aesthethics, and recreate things harmonized with what we have taken, but without losing our fundamental roots. The author of this study hopes that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symbolic meanings and making works to shape the Korean emotions into visual expressions from the modern point of view, we can rediscover our own unique expressions to place the Korean illustration on a firm ba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한국인의 정신문화 = 3 1. 문화와 사상 = 3 2. 조형의식에 있어서 풍토적 영향 = 8 B. 인간과 상징 = 10 1. 시각언어로서의 상징 = 10 2. 상징과 해석 = 13 3. 예술에서의 상징 = 15 C. 한국인의 상징체계 = 19 1. 신화에서의 상징 = 19 2. 민간종교에서의 상징 = 23 3. 한국의 예술·문화속에서의 상징 = 26 Ⅲ. 표현 및 분석 = 39 A. 제작의도 및 방법 = 39 B. 작품표현 및 분석 = 41 Ⅳ. 결론 = 57 참고문헌 = 59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629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인-
dc.subject정서-
dc.subject상징-
dc.subject표현-
dc.title한국인의 정서의 상징적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the Symbolical Expressions for the Korean Emotion-
dc.format.pagevi, 6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보디자인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