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재연-
dc.creator이재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3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2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웅담 및 사람의 담즙 성분을 HPTLC 및 HPLC, Mass Spectroscopy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olch-Suzuki의 분배법을 이용하여 담즙의 성분 및 웅담의 당지질 성분을 추출하였고 일반적인 담즙 추출 용매인 acetone-methanol(1:1,v/v)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웅담에는 주요 성분으로 tauroursodeoxycholic acid(TUDCA)와 taurochenodeoxy-cholic acid (TCDCA)가 존재하였고 소량의 taurocholic acid(TCA)가 있었다. 이는 orcinol, phosphomolybdic acid 등의 발색 시약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Acetone-methanol 용매의 추출로는 주성분(TUDCA, TCDCA, TCA) 외에도 유리 담즙산 및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이 존재하였으나 Folch 분배법을 통해서는 주요 성분만 분리 가능하였고 TCA성분 분리에도 효과적이었다. μBondapak-C_(18) column을 이용한 high performance liquid choromatography (HPLC) 분석에서는 4개의 peak로 분리되었는데 이를 각각 Electron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scopy(ESI-MS)을 통한 분석 결과 당지질은 sensitivity가 낮아 관찰되지 않았지만 각 peak에서 모두 분자량이 44씩 차이가 나는 peak pattern을 보임으로써 detergent 계열의 한 성분과 당지질이 micelle을 형성한 것으로 생각되어 졌다. 또한 웅담의 당지질을 더욱 분리하기 위하여 Carbopac PA-100 column과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PAD)를 이용한 HPLC와 Electron Impact Mass Spectometry (EI-MS) 분석에서는 monosialoganglioside와 유사한 당지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고 High 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ms (HPTLC)상의 당지질 성분을 추출하여 다시 HPTLC로 확인해 본 결과 monosialoganglioside 외에도 여러 종류의 당지질을 관찰할 수 있었다. 질병에 따른 사람의 담즙 성분을 HPTLC로 분석한 결과 glyco-chenodeoxycholic acid (GCDCA), glycocholic acid (GCA), TCDCA, TCA가 주요성분이었으며 함량에 있어서는 총담관 담석 (CBD stone)을 가진 환자에게서는 GCA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간내 담석(IHD stone)을 가진 환자의 경우는 독특한 unknown band가 관찰되었으며 담석이 없는 환자와 담낭 담석(GB stone)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The compositions of bear bile and human bile were investigated and detected with HPTLC, HPLC, and ESI-Mass Spectroscopy. Human bile and the glycolipids of bear bile were extracted by Folch-Suzuki's method and acetone-methanol (1:1, v/v) solvents. The major components of bear bile were TUDCA and TCDCA which were detected with orcinol and phosphomolybdic acid spray. Free bile acids, cholesterol, and phopholipid as well as major components were observed in bear bile extracts by acetone-methanol solvents., Folch partition was effective method for separation of TCA. In the HPLC analysis using a μBondapak-C_(18) column, bear bile extracts separated into four peaks with each peak differing in molecular weight by 44 shown by the ESI-MS analysis. However, Glycolipids of bear bile were not detected because of low sensitiv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lycolipids form micelles with the detergent. For further isolation of glycolipids in bear bile extracts, carbopac PA-100 column and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PAD) were used. As a result, monosialoganglioside, was presented and glycolipids of six types were observed in HPTLC. The bile of patients with gallstone was analyzed by HPTLC. The major components of bile were GCDCA, GCA, TCDCA, TCA. A patient with CBD stone had a relatively high quantity GCA and an unknown band was obersved in a patient with IHD stone. It wasn't the difference between a free stone(control) patient and GB stone patients in quant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실험 = 9 A. 실험에 사용된 기기 = 9 B. 실험에 사용된 시약 및 재료 = 10 C. 실험 방법 = 10 1. 시약용액의 조제 = 10 2. 웅담 및 사람 담즙에서 담즙산과 당지질의 분리 = 11 가. Folch-Suzuki 방법을 이용한 분리 = 11 나. Acetone-Methanol을 이용한 분리 = 12 3. Chromatography에 의한 분리 = 13 가. High Performance Thin Layer Chormategraphy (HPTLC) = 13 나.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 = 13 다.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 14 4. Mass Spectrometry에 의한 분석 = 15 가. ESI-MS에 의한 분석 = 15 나. 당지질의 메틸화 반응 (glycolipid methylation) = 15 다. EI-MS에 의한 분석 = 15 5. Densitometric Scanning에 의한 분석 = 16 6. HPTLC plate로부터의 성분 추출 = 16 Ⅲ. 결과 및 고찰 = 17 A. 웅담의 성분 분석 = 17 1. 웅담에 존재하는 당지질의 추출 및 HPTLC에 의한 분리 = 17 2. ESI-MS에 의한 분석 = 18 3. Densitometric Scanning에 의한 분석 = 19 4. DEAE-Sephadex A-25 column cormatography를 이용한 당지질의 분리 = 24 5. HPLC에 의한 분석 = 24 6. HPLC로 정제된 웅담의 당지질 분석 = 26 7. HPTLC band extract의 당지질 분석 = 26 B. 사람 담즙의 성분 분석 = 38 결론 = 42 참고문헌 = 43 부록 = 46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85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웅담-
dc.subject사람담즙-
dc.subject성분분석-
dc.title웅담 및 사람 담즙의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ies on Analysis of Composition of Bear Bile and Human Bille-
dc.format.pagevii , 5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화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화학·나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