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과제의 복잡성에 따른 결과지식 빈도의 운동학습효과

Title
과제의 복잡성에 따른 결과지식 빈도의 운동학습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KR Frequency as a Function of the Nature of Learning Task
Authors
李美慶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Keywords
과제복잡성결과지식운동학습효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실제 경기 상황이나 기술 학습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결과지식 빈도가 수행과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결과지식 빈도에 따라 과제의 복잡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과 문헌을 섭렵하여 두 가지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즉, 결과지식의 빈도에 따라 기술학습 정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며, 과제의 복잡성에 따라 결과지식의 빈도가 기술학습에 미치는 효과에는 차이가 나타날 것이 예상 되었다. 이와같은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응용하여 자판 위에서 일련의 키를 두드리는 과제를 실험과제로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수행의 시간적인 정확성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반응건반을 눌러 다음 반응 건반을 누를 때까지의 동작시간을 msec단위로 컴퓨터에 자동 측정 입력 되도록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지식 빈도는 매 시행 후의 결과지식, 5회 시행 후의 결과지식, 10회 시행 우의 결과지식이 주어지게 되며 결과지식 빈도에 따라 과제의 복잡성은 단순과제와 복잡과제로 나뉘며 단순과제는 3개의 자판(1, 2, enter)을 복잡과제는 5개의 자판(1, 2, 3, 4, enter)을 누르게 하였다. 단순과 복잡에 따른 과제는 각각 3개와 5개로 주어졌지만 실험조건은 같게 하기 위하여 제1자판(900 msec), 제2자판(500 msec)만을 가지고 오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은 산출된 오차를 기초로 반복 측정에 의한 삼원 변량 분석(Three-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1자판(900 msee)에서는 결과지식 빈도와 과제의 복잡성, 시행간의 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과제의 복잡성과 빈도와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가설 1만을 지지하였다. 제 2자판(500 msec)에서는 결과지식 빈도, 과제의 복잡성, 시행간의 효과와 아울러 결과지식 빈도와 과제의 복잡성의 상호작용 효과, 시행과 복잡성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가설 1과 가설 2 모두를 부분적으로 지지 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단순과제에서는 매 시행후 주어지게 되는 결과지식의 양이 비효과적이며, 이에 따라 결과지식을 적게 줄 수록 운동 수행과 학습에 효과적임을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결과지식 빈도의 제공이 낮아져야 함을 나타낸다. 이는 과제 수행시 너무 많은 양의 결과지식이 학습자에게 부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학습자의 결과지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와 그로 인한 의존적인 결과지식에 대한 수행의 정보처리 기피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과다한 정보로 인하여 학습자에게 신경질적인 스트레스를 주게되어 과다 정보가 잘 처리되지 않아 정보처리 역량의 과부하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복잡과제에서는 매 시행후 주어지는 결과지식과 10회 후 주어지는 결과지식이 수행에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회 후 주어지는 결과지식이 운동 수행과 학습에 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의미를 나타내면서 적정한 결과지식의 중요성을 제시해 주었다. 즉, 결과지식의 양을 너무 자주 주거나, 적게 주는 것은 학습자에게 비효과적인 수행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도 저하됨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결과지식은 과제의 성격에 따라 적절히 제시되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effect that the frequency of knowledge of result has upon skill learning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ask. The subject's task in this experiment were to tap three(1, 2 & enter key) or five(1, 2, 3, 4 & enter key) keys on the computer keyboard. Sixt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six groups by ten. Subjects were tested under 3(frequency of result knowledge) x2(task complexity) x 20(block) factorial design wi th repeated- measure on block.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s of KR frequency and task complexity, but non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KR frequency and the task complexity. In the analysis of Key 2 respons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s of KR frequency, task complexity, block effect along with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KR frequency and task complexity. However, non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ffects of other comparisons in the performance result of this study. KR given after each trial was most effective on performance in both simple and complex task in the case of Key 1 as well as in retention. KR given after 10 or 5 trials was most effective on performance of simple task and complex task, respectively. In Key 2, the same effect was observed as that of Key 1.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oo much or too less KR is ineffective to performance and learning. Also suggested was that it is more effective on performance and learning to give more KRs in the case of complex task and less in the case of simple task, resp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