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유미-
dc.creator허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5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1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51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the basic data which are necessary in reducing the event record and to examine the start type which is advantageous of reducing the start time, out of the types of start of the swimmers of Korea. For this, the researcher tried to examine the influence degree that each detailed section has on the start time and to grasp the feature of type by comparing the section time and section distance about the detailed section by types and to compare the start time attendant upon the types of start. As for the subjects of study, out of 112 male players at high school department and general department who participated in the tournament of 50m, 100m and 200m freestyle swimming at the 76th nationwide gymnastic festival in 1995, the researcher made the random sampling by 30players to use Flat start and Fold start respectively. The researcher measured and calculated the start time and the section time and section distance of block time, flight thme, water time and stroke time through the video analysis after videotaped preliminary contest and semifinals by using video camera. The calcula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PC+statistical program of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 and conclusion obtained through data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tart time based on the types of start, the Fold start to stretch the body straight before entering water after folding the leg in the air by jumping was faster than the Flat start to enter the water in the state to stretch the body in the air straight with about 0.4secs. So, for reducing the event record, the Fold start is advantageous in comparison with Flat start. Second, as for the time of detailed section of Fold start, it took 0.065secs in flight time, 0.049secs in water time more than Flat start. But, in block time and stroke time, 0.095secs and 0.417secs were reduced. Fold start is reduced because it take off early and kick the start stand in a moment in the block time, and though the flight time is delayed because of the motion to fold the leg in air, if one enters water with fast speed by obtaining the descent acceleration. If one performs the gliding for long effectively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of water in water time, stroke time may be reduced. Resultingly, the record of 0.5secs in block time and stroke time may be reduced with the investment of time of 0.1sec in flight time and water time. Third, in the start distance that flight distance and water distance were totalled, Fold start was long in comparison with Flat start,. The start distance is the distance that the player advanced only with the power to kick the start stand without stroking after jumping the start stand. So,, according as the start distance is long, the player gets to start the stroke late. Thus, the power to that extent may be saved. Therefore, in this point, Fold start was advantageous in comparison with Flat start. Fourth, in the type of Flat start, the variable to have influence on the start time appeared in the order of stroke time(β=2,6137), water time(β=2.0957), block time(β=2.6137), water time(β=2.0957), block time(β=0.3759) and flight time(β=0.3751). And, in the type of Fold start, the variable to have influence on the start time appeared in the order of stroke time(β=2.5550), water time(β=2.1591), flight time(β=0.3911) and block time(β=0.3236). From the above result, it can be seen that stroke time and water time are the important section from start to the section of 10m. So, it can be said that the training to enable the players start the stroke at the proper point to minimize the speed reduction by gliding effectively and by entering after making the resistance of water small is most necessary. In the Flat start, the relative importance that block time and flight time have influence on the start time was similar. However, in the Fold start, the flight time had much more influence on the start time than the block time. This is what suggests that the flight time is the important factor for the reduction of record. So, at the time of Fold start, so as to fold the leg in air, the training to enable the players to kick the start stand and rise high and to kick after folding the leg for the short moment which is 0.3secs is necessary.;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영선수들의 출발동작 유형 중 출발시간을 단축시키기에 유리한 유형을 규명하여, 경기기록을 단축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출발동작 유형에 따른 출발시간을 비교하고, 유형별 세부구간에 대한 구간시간 및 구간거리를 비교하여 유형의 특징을 파악하며, 각 세부구간이 출발시간에 미치는 영향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1995년 제76회 전국체전 자유형 50m, 100m, 200m 경영경기에 참가한 고등부·일반부 남자선수 112명 중 Flat start와 Fold start를 구사하는 선수를 각 30명씩 무선표집하였다. Video camera를 사용하여 예선과 결승경기를 촬영한 후 영상분석하여 출발시간과 준비기, 공중기, 수중기, 속영기의 구간시간 및 구간거리를 측정·계산하였다. 산출된 자료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PC+ 통계 프로그램의 T-검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자료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출발동작 유형에 따른 출발시간은 도약하여 공중에서 다리를 접은 후 입수 전에 동체를 쭉 펴는 Fold start가 공중에서 동체를 쭉 편 채 입수하는 Flat start에 비해 약 0.4초 정도 빨랐다. 그러므로, 경기기록을 단축시키기에는 Fold start가 Flat start에 비해 유리하다. 둘째, Fold start의 세부구간 시간은 Flat start와 비교했을때 공중기에서 0.065초, 수중기에서 0.049초 더 걸렸으나, 준비기에서 0.095초, 속영기에서 0.417초가 빨랐다. Fold start가 Flat start보다 출발시간이 빠른 것은 준비기와 속영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Fold start는 출발대를 순간적으로 차줌으로 일찍 발을 떼어 준비기를 단축하고, 공중에서 다리를 접는 동작으로 인하여 공중기가 지연되더라도 낙하가속도를 얻어 빠른 속도로 입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중기에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효과적으로 오래 글라이딩을 한다면, 속영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Fold start는 공중기와 수중기에서 0.1초의 시간투자로 준비기와 속영기에서 0.5초의 기록을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 공중거리와 수중거리를 합한 출발거리에 있어서는 Fold start가 Flat start에 비해 길었다. 출발거리는 선수가 출발대를 도약하여 스트로크를 하지 않고 출발대를 차는 힘만으로 나아간 거리이므로 출발거리가 길수록 스트로크를 늦게 시작하게 되어 그만큼의 힘을 절 약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Fold start가 이 점에서 Flat start에 비해 유리하다. 넷째, Flat start유형에서 출발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속영기(β=2.6137), 수중기(β=2.0957), 준비기(β=0.3759), 공중기(β=0.3751)의 순으로 나타났고, Fold start유형에서 출발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속영기(β=2.5550), 수중기(β=2.1591), 공중기(β=0.3911), 준비기(β=0.323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준비기, 공중기, 수중기와 출발시간의 상관을 조사한 Guimaraes와 Hay의 연구에서 수중기만이 출발시간과 상관을 가졌으며, 이 구간이 출발시간의 변화에 94%의 원인이 된다는 결과와 같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tart에서 10m 구간까지는 속영기와 수중기가 기록단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구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선수에게 물의 저항을 작게 하여 입수하고, 수중에서 효과적으로 글라이딩을 하여 속도의 감속을 최소화하며, 적절한 시점에서 스트로크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 가장 필요하겠다. 수중기와 속영기 다음으로 출발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구간을 살펴보면, Flat start에서는 준비기와 공중기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Fold start에서는 공중기가 준비기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Fold start에서는 공중기가 출발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Fold start시에는 공중에서 다리를 접기 위하여 출발대를 높이 차오르며, 0.3초라는 짧은 순간 동안 다리를 접었다가 차 줄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출발기술의 종류 및 특성 = 8 B. 수영에서의 인체측정학적 변인에 관한 선행연구 = 11 C. 수영에서의 운동학적 변인에 관한 선행연구 = 13 D. 수영에서의 운동역학적 변인에 관한 선행연구 = 15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변인의 설정 = 17 C. 실험기자재 = 18 D. 실험기자재의 배치 = 21 E. 촬영절차 = 22 F. 분석 및 자료처리 방법 = 24 Ⅳ. 결과 및 논의 = 25 A. 출발유형에 따른 출발시간의 비교 = 25 B. 출발유형에 따른 세부구간의 비교 = 26 1. 출발유형에 따른 세부구간 시간의 차이 = 26 2. 출발유형에 따른 세부구간 거리의 차이 = 33 C. 출발유형별 세부구간이 출발시간에 미치는 영향 = 36 1. Flat start에서 세부구간이 출발시간에 미치는 영향 = 36 2. Fold start에서 세부구간 시간이 출발시간에 미치는 영향 = 40 3. 출발유형별 출발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구간의 비교 = 43 Ⅴ. 결론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8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41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유형 출발동작-
dc.subject운동학적 변인-
dc.subjectFreestyle Swimming-
dc.title자유형 출발동작 유형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의 비교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Analysis of Kinematic Variable Attendant upon the Types of Start in Freestyle Swimming-
dc.format.pageix, 5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