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현주-
dc.creator정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8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1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896-
dc.description.abstract박물관은 인류가 이룩한 물질문명과 정신문화의 집적을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표현하는 문화공간으로서 한 나라의 문화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장소이며, 역사적으로 가치있는 조형예술을 보존하고 계승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박물관은 사회적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전시기술상의 시각적 및 행태적 기능과 사회문화적이고 사회교육적인 기능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박물관이 점차 대중교육을 목적으로 일반시민에게까지 공개를 확대함에 따라 결론적으로 전시를 통해 관람자에게 지식과 정보론 제공하는 박물관에서 전시기능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었다. 이와 같이 전시의 비중이 높아지고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현대 박물관에는 새로운 사회에 적합한 전시형태가 요구되어지게 되었다. 현대의 박물관 전시에서 요구되는 것은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과거의 단순나열이나 실물위주의 진열에서 벗어나 뚜렷한 전시의 목적과 의도를 내세워 다양한 전시자료의 활용에 의한 보다 효과적인 전시를 추구하며, 물리적인 측면에서는 과학기술을 이용한 첨단장치들을 이용하여. 계획되어진 전시내용을 보다 더 적극적으로 활성화시키고 관람자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공유 할 수 있는 전시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출발하여 박물관 전시목표를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고 그것을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서 박물관 전시계획과 디자인방법을 연구해봄으로서 현대적 개념의 박물관 전시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전시계획과 디자인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안과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상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박물관 전시의 이론적 고찰에서 박물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통해 현대박물관에서 차지하는 전시의 의의와 역할을 재조명해 보았다. - 이로써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전시방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 박물관 전시계획을 위한 다각적 기능분석을 문화적, 교육적, 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에 따른 사례분석을 통해 실제전시상황을 검토해 보았다. - 현 상황을 검토해봄으로서 적극적인 전시방법과 소극적인 전시방법이 갖는 관람자와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비교해 볼 수 있었고, 기존 전시 방법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3. 실제전시의 계획단계를 전시의 기본계획단계와 전시환경디자인단계로 나누어 그 과정들을 살펴보았다. - 전시의 주제는 (디자인 개념)의 대중교육적 측면에서 디자인 박물관으로 설정하여한 근대 디자인 사저에서 대표적인 양식사적 분류로서 아르누보(ART-NOUVEAU), 아르데코(ART-DECO), 모던(MODERN), 포스트 모던 스타일(POST-MODERN STYLE)올 추출하였다. - 각 사조들을 연대기적으로 전시공간에 배치하되, 그 전시방법은 종래의 쇼케이스식 진열방식을 탈피하여 그 사조들을 표상하는 대표적 조형요소, 조형물들을 공간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전시방식을 취하고자 하였다. - 전시의 내용은 줄거리(Story)를 가지고 전개해 나가며 전시공간을 연출하였다. - 전시방법은 체험적 전시를 현실화하기 의하여 영상전시방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 이와 같은 전시방법으로 관람자에게 보다 많은 흥미(Entertainment)와 지적 호기심의 자극과 만족을 함께 줌으로 인해 전시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켰다. - 과도공간이자 휴식공간을 중앙부에 배치하여 관람자의 전시관람시 피로를 최소화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보다 적극적인 전시연출방법을 통하여 관람자에게 (디자인)이라는 단어가 갖는 의미와 역사적 가치를 이해하기 쉽게, 또한 디자인 발달사의 흐름을 그 양식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서부터 전개과정, 그 이후 다른 양식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대중교육적인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디자인 발달사를 연대기적으로 전시함으로서 과거 디자인사를 바탕으로 현시점에서 디자인인 가지는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해보고 우리나라의 디자인 위상을 재확립해볼 수 있었으며, 현대의 박물관 전시발전을 위한 가능성을 제시해 보는데 그 미학적 가치를 지닌다.;The prominence of a museum has grown over the years to commensurate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within our society. Thus, its cultural, educational, social, and behavioral roles have become increasingly more significant and valuable. A museum i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that plays a vitan role in teaching us our national heritage and cultural background. A museum is like a large treasure chest: it contains arts and crafts, preserves historically significant artifacts, and can visually describe how our culture has evolved over the years. Culture is a mixture of all the following concepts - "Knowledge, experience, value, behavior, obligation, systematic order, religion, role, relationship, and world". At its lowest level, communicational habits, thoughts, rules and regulations dominate and lead to so-called higher cultural levels which are responsible for creating visual effects. Museum exhibitions are used to create this visual effect and in turn, allow visitors to see what culture is. Hence its role has expanded to become not only a place to see historical artifacts, but also a place to learn. As museums and its exhibitions assume larger roles in our society, exhibitions must utilize new methods to keep up with our society that continues undergo changes. New methods mean improvements in the qualitative standards of its philosophical as well a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contents. The philosophical contents of a modern meseum require a more effective display. It should collect information from various historically relevant resources and present a clear purpose for an exhibition rather than just simply displaying objects for show. Moreover, the physical contents of the exhibition should be displayed by making full use of the latest technology in order to provide the most accurate setting for such a display. H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interpret the goals of an exhibition in a modern context and to study the necessary plans and designs required for the mosy effective meseum exhibition.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particulars of a museum's exhibition, the following factors are considered and analyzed: 1. Reilluminate the significance and the role of exhibition in a modern meseum by studying the historical changes of museums from "Theoretical Study of Exhibitions in Museum". 2. Study the particulars of museums theory of museography and total communication with consideration for general theory of exhibition and communication. 3. Study the factors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heories needed for planing an exhibition. 4. Analyze the various fuctions of museum's exhibition plans from cultural, educational, social, behavioral, and general perspectives, and examine actual exhibitions through case study methodologies. 5. Subdivide the planning stages of an actual exhibition into the phys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and study the processes of basic planning and designing stages. 6. In conclsion, present a suitable exhibition plan that it measured against a verifiable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comprehensive study of museum exhibitions in hopes that the viewers may identify both the historical value and the design aspect of exhibitions. If done properly, museum exhibitions is a powerful visual medium that they can, through one presentation, impress upon the viewers the entire history of so-called "design". Concurrently, it is possible to examine and understand how the past influences and contributes to modern designs. Hence, the Following thesis will examine the chronological developemental stages of the design, not only in western cultures, but also in our culture. At the same time, it will also evaluate how such museum exhibition designs have aesthetically contributed to the developement of modern day muse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목차 = Ⅰ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2 Ⅱ. 박물관전시의 이론적 고찰 = 3 A. 박물관의 개념과 특성 = 3 1. 박물관의 정의와 역사 = 3 2. 박물관의 기능과 분류 = 5 B. 현대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 11 1. 가치관의 변화 = 11 2. 박물관의 의미변화 = 11 3. 박물관의 전시방법의 변화 = 14 C. 박물관의 전시이론 = 17 1. 박물관 전시의 개념 = 17 2. 박물관 전시의 요소 = 18 3. 박물관 전시의 방법 = 28 Ⅲ. 박물관 전시계획을 위한 다각적 기능분석 = 44 A. 문화적 기능 = 44 1. 문화공간으로서 박물관 = 45 2. 문화공간으로서 박물관의 필요성 = 46 B. 교육적 기능 = 47 1. 프로그램의 목표 = 47 2. 프로그램의 형태 = 48 C. 사회적 기능 = 49 1. 행태지원성 = 49 2. 기능의 종합 = 51 D. 사례분석 = 53 1. 디자인 박물관 (영국) = 53 2. 요꼬하마 과학 센터 (1984) = 55 3. 가와사끼시 박물관 (Kawasaki City Museum 1988) = 57 4. 한국의 서울 디자인 박물관 = 59 Ⅳ. 디자인 대안제시 = 61 A. 디자인 전개과정 = 61 1. 디자인 전제 = 61 2. 디자인 대상 및 개념 = 62 3. 디자인 문제해결과정 = 66 B. 디자인의 시각화 = 94 1. 이미지의 시각화 = 94 2. 해결안의 시각화 = 104 Ⅴ. 결론 = 127 참고문헌 = 130 ABSTRACT =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542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박물관-
dc.subject전시계획-
dc.subject디자인 박물관-
dc.subject전시연출-
dc.title박물관 전시계획과 디자인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디자인 박물관 전시연출을 사례로-
dc.title.translated(A) Exhibition Planning and Designing Method for Design Museum : Based on Exhibitional Process for Design Meseum-
dc.format.pageviii, 13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