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2 Download: 0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소설 교육 방안 연구

Title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소설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textuality and Novel Education specially though themes
Authors
조소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구성주의 문학 교육 이론 아래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을 소설 교육의 방법론에 적용하여, 주제 중심 소설 교육 방법론의 정립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란 어느 한 문학 텍스트가 다른 문학 텍스트와 맺고 있는 상호 관련성을 말하며 이는 어느 한 작품이 그 이전의 특정 텍스트들과 맺고 있는 관련성을 지칭함과 동시에 그 작품이 한 문화적 담론과 맺고 있는 관련성을 가리킨다. 상호텍스트성을 소설 읽기 방법론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은 최근에 들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소설의 의미는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 그리고 텍스트가 쓰이고 읽히는 사회 문화적 맥락과의 관련성, 즉 대화적 관계를 통해 그 의미가 구성된다. 학습자가 상호텍스트성의 의미를 바탕으로 소설을 읽을 때 그 관련성을 중심으로 여러 텍스트를 함께 읽으며 반복과 변주를 보게 되는데 이는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는 우리 소설 작품들 사이에서 보이는 반복, 즉 문학적 문법과 관습을 보여줌으로써 우리 문학에 축적된 문학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여 학습자 스스로 문학 문화를 형성,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이는 바로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학 교육의 목표인 문학 능력의 향상이다. 상호텍스트성의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 중, 본 논문은 논의의 초점을 소설의 주제에 두고자한다. 소설의 주제에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동이한 주제가 작품에 따라 어떻게 구체적으로 형상화 되는가와, 주제의 형상화에 기여하고 있는 각 소설 요소들 사이에는 어떤 상호텍스트성이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소설의 주제에 대한 이해는 소설 요소에 대한 이해이며, 요소에 대한 이해는 이 텍스트가 다른 텍스트와 맺고 있는 상호텍스트성을 이해할 때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소설의 주제, 즉 작가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본인이 살고 있는 시대에 대한 고민이자, 인간의 근원적 삶의 문제에 대한 작가의 조망으로 이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 반복 ㆍ 확대된다. 과거에서 현재까지 인간은 동일하거나 매우 비슷한 문제에 직면해 왔으며, 소설이 이를 담아 낼 때는 소설의 배경이 되는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의 차이가 드러나며 변주, 변이된다. 따라서 소설의 주제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 소설의 본질과 내용을 이해한다는 것이며, 시대의 담론, 인간의 삶의 문제를 이해한다는 것이 된다. 즉 소설의 주제의 본질은 상호텍스트성의 본질과 맞닿아 있다. 그러므로 소설의 주제를 교육함에 있어 상호텍스트적 접근을 통해 이해함은 깊이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을 통해 주제를 공부함은 여러 텍스트를 함께 읽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문학적 체험을 극대화하여 문학사적 안목을 길러 줄 수 있다. 또한 그 범위를 현대 문학 뿐 아니라 고전 소설, 시, 등 다른 문학 장르에까지 넓혀 고전에 대한 이해, 문학 장르에 대한 이해에서 나아가 문학의 실체에 대한 이해에 보다 근접해 갈 수 있게 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소설 주제 교육을 위해 현 문학교과서의 수록 작품의 주제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작품을 분류해 보았다. 주제 범주 중, ‘산업화 자본화에 따른 소외되고 피폐하진 개인의 삶’과 전쟁과 분단 이데올로기‘의 속하는 작품들을 상호텍스트성을 이용하여 읽어 보려 했다. 이를 위해 읽기 전, 중, 후의 과정 중심 읽기 전략과 상호텍스트성의 원리를 동시에 이용하여 독자가 작품의 주제를 스스로 읽어낼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구안해 보았다. 이는 학습자의 문학과 사회의 이해를 도모할 뿐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 유도에도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seek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methodology with novel texts as material under the educational theory of constructivist literature by applying inter-textuality to the methodology of novel education. 'Intertextuality‘ means the interrelatedness that one text has with the others. The interrelatedness does refer to both the one that one work has with precious particular text and that it has with one cultural discourse, which is applied to a way of literary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explore a way for a learning reader to have a broad perspective to a literary work. Furthermore, it improve his or her ability to interpret the meanings each novel has. Expending the ability to appreciate a work of novel is the ultimate aim of novel education. Appreciating a text should not mean only understanding it. An educator should be able to have his or her learners read a selected novel well and make them understand other texts easily when they encounter them. It will make readers feel like to read other texts. The current educational filed are focused on learner-centered education, however, it does not carry our much concrete and well-planed teaching method. Therefore, the writer will examine intertextual elements in novel text, of which themes are agony of individuals who come through ideological conflict of Korean Civil war and alienation of certain social group in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I expect that though this way a leaner will be able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a work based on the relatedness between works because he or she takes a macroscopic view of a literary work, which leads to improving the deeper ability to appreciate a work in various aspects such as an intention of the literary devices used by the author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e work emerges, and an author's recognition of reality. Like this, this study will have its significance in seeking concrete method of improving learner's ability to interpret literary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