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韓榮辛-
dc.creator韓榮辛-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7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1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10-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expression theory of dance through analyzing its deep relations with expression theory of art. In order to do this, the writer employs the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ose two theories. In nineteenth century, western ideology especially the Romanticism enhanced the social position of artist and art itself. As well, in the field of the philosophy of art, a new idea of expression theory of art developed under Romanticism. In twentieth century, the expression theory of art has developed more and explained the process of art using concrete mechanism. And in the field of dance, a new theory named expression theory of dance which employed the idea of expression theory of art was established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idea of expression' on the stage prevailed. With those background in mind, the writer employs three comparison standards such as main idea, fundamental hypotheses, and viewpoint on dance for the clear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expression theory of dance and expression theory of art. Firstly, in comparing the main idea of both theories, the writer found out that the two theories have the same understanding which are 'the emphasis on artist', the explanation of art using expression-communication structure' and 'life-based interpretation on communication'. Secondly, it was proved that the six fundamental hypotheses of the expression theory of art which Kim Malborg once suggested can also be applied to the expression theory of dance. Finally, concerning the viewpoints of the two theories on dance, they were found out to be different. Theorists of the expression theory of art emphasized that dance is the origin of art.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y, being an outsider of the field of dance, lacked object and comprehensive analysis. And seen from the analysis of the major four concepts such as the movement, expression-communication process, formality, and dynamism, the expression theory of dance, to the contrary, explained the dance concretely, objectively, and comprehensively. Although this fact can be taken for granted that happen in the theories of each field of art, it suggests an important lesson that the theorist's proper attitude of analysis in each field of art should be proceeded in the acceptance of a general theory of art.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hat theorist in each field of art should establish a theory from the very object field of art, which requires outstanding power of analysis and observation. In conclusion, the expression theory of art has importance from the fact that its theoretical mechanism has elements which is applicable to the theory of dance. However, it should not be neglected that the expression theory of dance has its own limit because its theoretical structure was not built from the dance which is the very object of discussion.;본 연구는 표현주의 무용론의 형성에 미친 예술표현론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표현주의 무용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갖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비교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19세기에 들어서 서구 사상 특히 낭만주의 사상은 예술가와 예술의 지위를 격상시켰다. 그리고 낭만주의 사상은 예술 철학에 있어서 표현론의 바탕이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표현론은 더욱 발전된 모습을 갖추어, 구체적인 메카니즘으로 예술의 작용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무용 분야에서는 이미 무대에서의 표현 사상이 충만해진 상황하에서 표현론의 사상을 빌린 소위 표현주의 무용론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에서는 표현주의 무용론과 예술표현론의 영향관계를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하여 사상, 기본전제, 무용에 대한 관점 등을 중심으로 양 이론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중심 사상을 통하여 표현주의 무용론을 예술표현론과 비교하여 볼 때, 양 이론은 예술의 주체로서의 예술가에 대한 강조, 예술의 작용을 표현-전달 과정으로 보는 관점, 의사소통을 우리의 삶에 근원하여 해석하고 있다는 관념 등과 같은 동일한 인식을 갖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또한 김 말복이 그녀의 저서에서 주장한 예술표현론의 여섯 가지 기본전제에 관해 볼 때, 표현주의 무용론은 예술표현론의 영향하에서 이러한 기본 전제를 공유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다음으로 무용에 대한 관점을 비교한 결과, 우선 예술표현론자들의 무용에 대한 시각은 무용이 예술의 모태로서 의의를 갖는다는 것에 공통된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무용 세계의 외부인인 그들은 무용에 대한 본질적 속성을 통찰력있게 분석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긴다. 한편 표현주의 무용론의 무용에 대한 시각을 무용의 매체로서의 '움직임', '표현-전달 과정', '형식성', 그리고 '역동성' 등 네 가지 주요 개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표현주의 무용론은 무용 현상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이며, 포괄적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개별 예술을 대상으로하는 각 분야의 예술이론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당연한 현상이라고 받아들일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예술론의 수용에 있어서 각각의 예술이론가들의 올바른 분석이 전제되어야 함을 환기시킨다. 그리고 각 분야의 이론가들은 대상 예술 자체로부터 이론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일이며, 이를 위해 그 예술에 대한 뛰어난 분석력과 관찰력이 필수적임을 주지시킨다. 결론적으로 예술표현론은 그들 이론이 갖고 있는 메카니즘이 무용이론에 적용가능한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었다는 것에 그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표현주의 무용론과 예술표현론의 영향 관계를 볼 때, 표현주의 무용론은 그 이론의 직접적인 논의의 대상인 무용을 통해 이론의 완성을 이루지는 못하였다는 필연적 한계를 갖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 개요 = ⅱ Ⅰ. 서론 = 1 Ⅱ. 표현주의 무용론의 역사적 배경 = 10 Ⅲ. 표현주의 무용론의 분석 = 20 A. 사상 = 20 1. 예술표현론 = 20 2. 표현주의 무용론 = 26 B. 기본 전제 = 28 1. 예술표현론 = 29 2. 표현주의 무용론 = 35 C. 무용에 대한 관점 = 39 1. 예술표현론 = 39 2. 표현주의 무용론 = 47 Ⅴ. 결론 = 56 참고문헌 = 60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66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표현주의-
dc.subject무용론-
dc.subject분석-
dc.subject예술표현론-
dc.subject연계성-
dc.title표현주의 무용론의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예술표현론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Expression Theory of Dance : Comparative study with Expression Theory of Art-
dc.format.pageiii, 6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