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무용학습이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학생(EMR)의 지각-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학습이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학생(EMR)의 지각-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Dancing Program on the Perceptual-Motor Development of EMR Students
Authors
박난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무용학습교육가능급정신지체학생지각-운동기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인식적인 움직임을 통한 환경의 탐구작업으로서 무용학습이 EMR(Education Mental Retardation)학생들의 지각-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 특수학교인 ○○학교 중고등학생 중에서 신체적 결함이 없고 중복장애가 없는 학생으로 다음의 선정기준에 따라 30명을 선정하였다. CA(생활연령): 15∼20세 MA(정신연령 ): 5∼6세 IQ(지능지수): 50에서 85까지의 교육가능급 SA(사회연령): 7세 이상 MA와 IQ 판별은 학교내에서 실시된 '인물화에 의한 간편지능검사' 결과에 의한 것이며, 사회연령의 판별은 '사회 성숙도 검사(김승국번안)'를 기준으로 삼았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30명의 피험자를 부작위 추출법에 의해 실험군과 통제군으로 각각 15명씩 나누었다. 무용학습효과를 검사하기 위해 Roach와 Kephart의 지각-운동기능 검사도구를 사전과 사후에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8주 동안 주3회 1시간씩 무용학습이 실시되었으며, 통제집단에게는 정규수업 중 생활영역인 사회, 언어, 작업시간의 교과수업이 진행되었다. 8주후 두집단에게 사전검사와 같은 검사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의 검증에 사용된 통계적 방법은 t 검증이다. 검증에 의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무용학습을 받은 실험집단은 사후검사에서 무용학습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지각-운동기능검사 모든 영역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무용학습이 EMR 학생들의 지각-운동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는 균형과 자세, 신체상과 분화 이 두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그 다음은 지각운동조화, 시각 조정, 형의 지각 순으로 평균점수가 낮아졌다. 사후검사에서는 시각조정에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두번째는 지각운동조화 영역으로 나타났다. 균형과 자세, 신체상과 분화영역에서는 같은 수치의 점수를 보였으며, 마지막 형의 지각 순으로 정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본 연구의 무용학습이 공간인지를 학습목표로 하여 구상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들이다. 사후검사에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인 시각조정과 지각운동조화 영역은 외부공간에 대한 시각적 활동이다. 이것이 먼저 발달하였다는 것은 근육운동지각을 통한 공간인지발달을 목표로 하는 무용학습이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무용학습이 외부세계에 대한 적응문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유추해 본다. 3. 사전과 사후검사사이에 가장 큰 t값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균형과 자세, 형의 지각 영역이다. 균형과 자세, 형의 지각에서 가장 큰 t값의 차이를 보인 결과를 통해 무용학습의 신체적가치 및 인지적가치를 나타내준다. 무용을 통한 에너지의 조절에 의해 균형과 자세 영역의 점수는 향상되었을 것이다 형의 지각은 공간에 대한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영역이므로, 무용학습을 통한 공간인지의 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 영역의 발달은 무용의 지각적 근육의 움직임을 통한 공간인지학습이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공간인지 위주로 구성된 무용학습이 EMR학생들의 지각-운동기능 발달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effects of the dancing program on the perceptual-motor development of EMR students in an effort to review their exploration of the space through perceptive movements. To this end, 30 physically normal and not dually disabled students were sampled from a special middle/high school located in Seoul, in consideration of their IQ, MA, CA and SA.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ancing program lasting for 8 weeks, Roash's & Kephart's Perceptual-Motor Scale was applied to the sampl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test,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T-tested, and the results of the tes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overall test of perceptual-motor development, for the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5% between prior and post tes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dancing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EMR students' perceptual -motor development. 2. In the prior test, the subjects scored highest in such are areas balance-stance and differentiation of the upper body followed by perceptual-motor harmony, visual adjustment and sense of form. While, in the post test, they soloed highest in the area of visual adjustment, followed by the perceptual-motor harmony. And they scored the same in the areas of balance-stance and differentiation of upper body. The area scored lowest was the sense of form. This result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is dancing program aimed at improving the sense of space. Therefore, this program seemed to improve the perceptual activities towards the external space, namely the visual adjustment and perceptual-motor harmony. 3. In the post test, the areas of balance-stance and sense of form showed the highest t-value, which suggests that the dancing program have been more effective for the physical, perceptual development. In other words, subjects' sense of balance-stance was improved through controlled energy. The sense of form is measureable because it is related with the sense of time and space. All in all, it has been disclos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dancing program is useful to measure students' improvement of sense of space and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learning of spacial concepts through perceptual -motor movements of danc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