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史恩玲-
dc.creator史恩玲-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0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1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039-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어린이들은 점차 조숙화되는 추세에 있고, 현대사회의 자극적이고 개방적인 성문화와 날로 증가하는 성범죄에 대해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성교육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성교육은 대상자의 연령 및 발달 단계에 맞는 내용이 제공되어야 함과 동시에 그 내용과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성교육 방식이 마련되어야 함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4년 6월 20일부터 1994년 7월 15일까지 4주간 국민학교 6학년생 222명을 대상으로 읽기식 교육군과 토의식 교육군의 두 실험집단을 설정하여 성교육을 실시한 후. 두 학습방법에 따른 성교육 효과를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성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지식과 성태도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응답사항을 점수화한 후 SPSS package를 이용하였다. 성교육 유무에 따른 성교육 효과와 학습방법에 따른 성교육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4가지 가설을 설정하였고,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교육 관련 특성을 조사한 결과, '성정보의 출처'로는 1위가 양호교사 57.7%, 2위가 서적류 47.8%. 3위가 TV·VIDEO·영화 27%, 4위가 부모님 26.1%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차 성징 출현 정도"는 79.9%로 나타났고, 그 중 남자의 경우 '몽정'이 40.4%, 여자의 경우 '월경"이 27,1% 출현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 성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이 30.6%였고, '성인용 비디오를 접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은 33.3%로 나타났다. 2. '성교육 후 성교육을 받은 집단의 성지식 점수는 성교육 전에 비해 더 높아질 것이다' 라는 「가설 1」은 입증되어, 통제군을 제외한 두 실험군인 읽기식 교육군과 토의식 교육군의 성지식 점수가 각각 교육 전 12.1점에서 교육 후 16.2점, 23.0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3. '성교육 후 성교육을 받은 집단의 성태도 점수는 성교육 전에 비해 더 높아 질 것이다' 라는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입증되었는데, 두 실험군 중 토의식 교육군의 성태도 점수는 교육 전 103.0점에서 교육 후 108.7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읽기식'교육군의 성태도 점수는 교육 전 103.0점에서 교육 후 104.4점으로 교육 전·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성교육 후 토의식 교육군의 성지식 점수는 읽기식 교육군에 비해 더 높아질 것이다' 라는 [가설 2]은 입증되어, 토의적 성교육이 성지식을 향샹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성교육 후 토의식 교육군의 성태도 점수는 읽기식 교육군에 비해 더 높아질 것이다' 라는[가설 4]는 입증되어, 토의식 성교육이 성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성교육 영역별 정치적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성지식이 가장 많이 향상된 영역은 '남성생식생리' 영역으로 47.6점이 향상되었고, 다음은 '에이즈' 43.0점, '여성생식생리' 36.6점, '생명의 탄생' 26.1점 순으로 향상되었다. 7. 성교육 영역별 성태도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성태도가 가장 많이 향상된 영역은 '친구관계' 영역으로 6.2%가 교육 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다음은 '신체의 변화' 5.9%, '가족관계' 4.5%, '자아개념' 4.0%, '성역할 개념' 0.4%의 순으로 나타났다. 8. 토의식 교육군은 대상으로 성교육 수업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가장 도움이 된 수업'은 '자아개념'에 관한 수업(26.9%)으로 나타났고,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은 '성폭력 및 에이즈' 에 관한 수업(37.6%),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수업'도 '성폭력 및 에이즈'에 관한 수업(34.4%)으로 나타났다. 9. 성교육 수업에 대한 연구자의 관찰 결과, '수업 분위기'면에서 읽기식 수업 보다 토의식 수업이 더 진지하고 적극적이었고, '수업 내용면'에서 '에이즈', '성폭력', '사정', '사춘기' 등의 내용에 가장 진지한 관심을 나타내었다.;The rate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has been accelerated recently. Westernization of our culture have resulted in the open practicing of sexual behaviors and commercialization of sex. The children in our country have been exposed to a variety of sources of information relative to human sexuality, and violent sexsual crimes. Th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are sexually naive because of lack of clear sex information in school. Therefore, it is needed that sex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rotect children from sexual anuse and unprotected sexual behavior. Sex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sex information appropriate for children's age, developmental stage, and their characteristics using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s. The purpose of thhis study was, to see the relative educational effects of discussion and reading in the sex education class. An experimental program was implemented to 222 students in a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from 1994.6.20. to 1994.7.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garding sex education : 'Sources of sex information' were sex education teacher(57.7%), book(47.8%), TV · VIDEO · MOVIES(27.0%), and parents(26.1%). Among the subjects, those who had the apprearance of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were 79.9%.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Wet dream' among males was 40.4%.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Menstration' among females was 27.1%. 2. [Hypothesis 1], 'After the sex education class, the experimental groups' kmowledge scores on sexuality would be higher than thar before the class', was accepted. Both the reading group and the discussion group in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knowledge score after the sex education program. The change of knowlege score was not shown in thee control group. 3. [Hypothesis 2], 'After the sex education class, the experimental groups' sexual attitude scores would be higher than thah before the class', was accepted partially. The scores of the discussion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class, but the scores of the reading group inthe experimental groups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after the class. 4. [Hypothesis 3], 'After the sex education class, the discussion group's knowledge scores would be better than the reading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s', was accepted. The discussion method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reading method to increase knowledge on sexuality. 5. [Hypothesis 4], 'After the sex education class, the discussion groups' attitude scores would be higher than the reading groups' attitude scores', was accepted. The discussion method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reading method to improve sexual attitude. 6. The knowledge scores for each sex education dimension was evaluated. The knowlege scores in the "physiology of male reproductive system" was the most increased score(47.6 point). The knowledge scores increased in "AIDS" was 43.0 point, "physiology of female reproductive system" 36.6 point, and "birth" 26 point. 7. The positive attitudinal change for each sex education dimension was evaluated. Change in "friendship" was increased by 6.2% "physcal change" 5.9%, "family relationship" 4.5%, "self-identity" 4.0%, and "sex-role identity" 0.4%. 8. In the discussion class, the subjects' opinions on the sex education class was surveyed. Students responded that "self-identity" instruction was the 'most helpful' class(26.9%), and "sexual violence and AIDS" was the 'most memoriable' class(37.6%).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 most needy topic of the class was "sexual violence and AIDS"(34.4%). 9. Through class observation,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the class atmospher' in the discussion class was more positive and enthusiastic than that in the reading class. 'The content' of the sex education was most popular in ''AIDS", "Sexual violence", "ejeculation", "puberty", and so 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ⅶ Ⅰ. 緖論 = 1 A. 問題提起 = 1 B. 硏究의 目的 = 4 C. 硏究問題 및 假設 = 5 D. 用語의 定義 = 6 E. 硏究의 制限点 = 8 Ⅱ. 理論的 背景 = 9 A. 性敎育의 槪念 = 9 1. 성교육의 정의 = 9 2. 성교육의 목표 = 10 B. 國民學校의 性敎育 = 12 1. 국민학교 성교육 지도내용 = 12 2. 교육과정 상의 성교육 내용 = 13 C. 性敎育의 方法 = 15 1. 성교육의 계획과 운영 = 15 2. 성교육의 지도방법 = 15 3. 성교육의 학습방법 = 16 Ⅲ. 硏究方法 = 21 A. 硏究設計 = 21 B. 硏究對象 = 22 C. 硏究道具 = 23 D. 硏究節次 = 27 E. 資料分析方法 = 31 Ⅳ. 硏究結果 및 考察 = 32 A. 對象의 性敎育 關聯 特性 = 32 B. 硏究結果 및 考察 = 36 1. 각 집단의 동질성 검증 = 36 2. 가설 검증 결과 = 37 3. 영역별 성교육 효과 = 43 C. 授業 後 意見 調査 結果 및 分析 = 54 D. 授業 觀察 結果 및 分析 = 58 Ⅴ. 結論 및 提言 = 60 A. 結論 = 60 B. 提言 = 62 참고문헌 = 63 부록 = 71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235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성교육-
dc.subject학습방법-
dc.subject성지식-
dc.subject태도 변화-
dc.title性敎育 學習方法에 따른 性知識 및 態度 變化에 관한 比較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민학교 6학년생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Selected Sex Education Methods to Change Knowledge and Attitude on Sexuality : among selected 6th grade students-
dc.format.pageix, 9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강교육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