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리-
dc.creator박혜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0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1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09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delivery in the present public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lans for establishing the health & welfare office based on those results to provide basic data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 welfare office that will be soon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I set the criterion o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t the productivity and lack of conflict, and with regard to this two aspects analyzed its organization, service and personnel as the elements of it. And the effectiveness indicator by the elements analyzed is as follows: The effectiveness indicator for the organization is the classification of posi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peciality, and the pathway of horizontal or vertical communication, while the effectiveness indicator for the service is the level of unification or comprehensiveness of service, and flexibility of it. The effectiveness indicator for the personnel is the number of professional ones, qualification of them and supervising system.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oretically, relevant studies, theses and data were referred,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As for the organization, present organizational system of governmental and public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s not fully specialized because of appointing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as personnel, and vertical communication is one sided as the business is being carried out by the orders and instructions of superior offices, also horizontal communication is not smooth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in giving services to the subjects of them. On the other hand, the health & welfare office has a rather specialized organizational system in the case of substructure, the department of welfare work, by supplying professionals for the work, and as to communication, vertical communication is supposed to be difficult due to the varied construction of office, but horizontal communication is smooth between professional personnels in the department of welfare work. 2) As for the service, present public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lacks uniting and controlling capacities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and payment centered around public assistance brings out problems of un comprehensive service, and service performance by laws and instructions of superior offices wants flexibility.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health & welfare office, every available services will be done collectively, and the detail and level of service will be diversified, therefore is supposed to have united and comprehensive works and flexibility for planning and executing services subjectively. 3) As for the personnel, in present system, servers are absolutely insufficient, and professional personnels already in work do not show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enough because of the administration oriented business and excessive works and the supervising system is not professional. in the case of health & welfare office, lack of professional personnel is the same in Kwanak-ku and Wanju-kun, and numbers of them are below the half of optimal level, but qualifications are satisfactory in three regions and professional supervising system would be established by appointing expert social welfare personnel in the department of welfare work. Based on these results of analysis, plans for increasing effectiveness of health & welfare offic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1) To complement unsatisfactory parts of organizational system, intermediate managerial officers' (chief clerk, chief of team) linked roles and superior officials' efforts for understanding social welfare work are required to be expanded in a short term. Besides, as a long term plan, professional manpower must be given open opportunity of promotion through position classific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organizational system should be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peciality. 2) To prevent conflicts between experts in different classified position in the health & welfare office, and to make their vertical, horizontal communication smooth, certain techniques for conflict management are necessary. 3) The emphasis must be put on supplying enough professional personnel, and educations, trainings, supervisions and case conferences for improving expertness must he regularly provided. 4) To unite social welfare services diversely provided from the health & welfare office, the necessity of case management is required to be stressed. 5)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health & welfare office, budget for carring out business must be primarily ensured above all things. Even if general projects for business are properly made, without active cooperations and concerns of relevant authorities and superior offices, the business can not be smoothly carried out due to the difficulty of ensuring budget, so the effectiveness of health & welfare office will be decreased.;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적 사회복지전달체계 서비스전달의 효과성과 관련한 문제점을 규명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보건 복지사무소 설치안의 효과성을 분석함으로써 조만간 설치될 보건복지 사무소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성 평가 기준을 생산성과 갈등의 부재로 하고 이 두가지 측면에서 조직, 업무, 인력을 요소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요소별 효과성 평가지표는 다음과 같다. 조직면에서의 효과성 지표는 전문성 수준에 따른 직제구분과 횡적, 종적인 의사전달 통로이며 업무면에서의 효과성 지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통합성과 포괄성 및 사회복지업무의 유연성으로 정했다. 인력면에서의 효과성 지표는 전문인력의 수와 전문적 자질 및 지도 감독체계로 정했다. 본고의 연구내용 분석과 이론적 고착을 위해 관련서적, 논문 및 관련자료를 분석하는 문헌연구방법을 취했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직면에서 현행공적 사회복지전달체계의 직제는 대부분 행정직 공무원이 임명되어 전문성 수준에 따른 직제구분이 되어 있지 않으며, 종적인 의사전달이 상급기관의 명령과 지시에 의해 업무수행이 이루어지는 일방적인 의사전달통로로 되어있고 복지대상자별로 기구와 인력이 분리됨으로써 횡적의사전달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보건복지사무소의 경우는 계선조직의 상부는 전문성 수준에 따른 직제구분이 되어 있지 않지만 하부조직인 복지사업과는 사회복지전문요원으로 충원되어 전문성에 따른 직제구분이 되어있으며, 의사전달통로 역시 종적인 면에서는 각 직급별로 다양하게 구성됨으로써 의사전달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나 횡적인 면에서는 복지사업과내 사회복지전문요원 상호간의 의사전달이 원활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업무면에서 현행 공적 사회복지전달체계는 기구와 인력의 분리로 인해 서비스의 통합, 조정기능이 결여되어 있고, 공적부조 중심의 급여로 인해 서비스의 포괄성의 문제가 제기되며 법규와 상부지시에 의한 업무수행으로 유연성이 결여되어 있다. 반면에 보건복지사무소의 경우 복지사업과 내에서 서비스 관련업무를 총괄하고 서비스의 내용과 수준이 다양해 짐으로써 서비스의 통합성과 포괄성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되며, 욕구와 문제에 대응한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계획, 시행 할 수 있는 업무의 유연성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3) 인력면에서는 현행 공적 사회복지전달체계내의 전문인력수가 절대 부족하며 확보되어 있는 전문인력의 경우에는 행정적인 업무처리와 과중한 업무량으로 인해 전문성 발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적인 지도 감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보건복지사무소의 경우에도 전문인력의 수가 관악구와 완주군은 적정인원의 절반 정도로 크게 부족하지만 세개지역 모두 전문인력의 자질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사업과내에 다수의 사회복지전문요원을 배치하여 전문적 지도감독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비추어 보건복지사무소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문성에 따른 직제구분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기적으로는 중간관리자(계장, 팀장)의 연계역할과 상급관리자의 사회복지 업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아울러서 장기적인 방안으로는 사회복지직렬을 시행하여 사회복지전문인력의 승진 기회를 열어 놓음으로써 계선조직상의 전문성 수준에 따른 직제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서로 다른 직렬로 구성된 보건복지사무소내 전문인력들간의 갈등을 예방하고 횡적·종적인 의사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갈등 관리 기법을 도입적용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3) 사회복지전문요원의 부족한 인원을 확충할 것이 강조되며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훈련, Supervision 및 Case Conference 등의 기회가 정기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4) 보건복지사무소에서 제공될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주어질 수 있도록 사례관리 (case management)기법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5) 보건복지사무소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업 시행에 따른 예산확보가 선결과제이다. 제반 사업계획이 제대로 수립되었다 하더라도 유관부서 또는 상급기관의 적극적인 협력과 관심이 없다면 예산확보에 따르는 어려움으로 인하여 사업시행이 원활히 되지 않고 보건복지 사무소의 효과성은 저하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5 C. 연구의 한계 = 7 Ⅱ. 이론적 고찰 및 분석 틀 = 8 A. 조직효과성의 개념 = 8 B. 조직효과성의 기준 = 8 C. 본연구의 분석틀 = 11 Ⅲ. 공적 사회복지전달체계 현황분석 = 15 A. 조직 = 16 B. 업무 = 21 C. 인력 = 25 Ⅳ.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안의 효과성 분석 = 32 A. 조직 = 34 B. 업무 = 41 C. 인력 = 44 Ⅴ. 결론 및 제언 = 49 A. 결론 = 49 B. 제언 = 54 참고문헌 = 57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893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보건복지사무소-
dc.subject설치-
dc.subject효과성-
dc.subject사회복지-
dc.title보건복지사무소 설치안의 효과성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직, 압무, 인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Plans for Establishing The Health & Welfare Office : mainly around the organization, service and personnel-
dc.format.pageix, 6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