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9 Download: 0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 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 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orrelational Stud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
Authors
서보경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간호사전문직자아개념직무만족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간호사들은 학생시절의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졸업후 수행하는 실무 차이에서 많은 갈등을 경험한다. 이러한 갈등은 낮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 불만족을 초래할 수 있고 직무 불만족은 결근, 정신적 신체적 질병에 이환되는 경향을 증가시키고, 낮은 전문직 자아개념은 질적인 간호 제공을 저해하고 결국에는 이직의 주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을 알아보고,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하여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4개 대학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임상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7문항과 Auther(1990)가 개발한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측정도구를 간호학자 노춘희외가 번역, 수정 및 보완한 27문항, 그리고 Slavitt(1978)외 3인이 개발한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를 간호학자 1인이 수정, 보완한 48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4년 10월 13일부터 10월 21일까지 총 9일 이었으며 배부된 질문지는 156부(회수율 97.5%)가 회수되어 내용이 미비한 3부를 제외한 153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평균 2.96점으로 중상위 수준을 나타냈고, 구성영역중에서는 의사소통 영역이 평균 3.2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89점으로 중하위 수준을 나타냈고, 구성영역중에서는 필수적직무 영역이 평균 3.5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순상관 관계(r=0.463, r^(2)=0.214, p=0.0001)를 나타내어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3. 전문직 자아개념의 구성영역과 직무만족도의 구성영역별 상관관계에서는 전문직 자아개념의 전문적실무 영역은 직무만족도의 필수적직무 영역(r=0.33, p=0.0001), 보수 영역(r=0.20, p=0.0118)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전문직 자아개념의 만족감 영역은 직무만족도의 필수적직무(r=0.65, p=0.0001), 직업적긍지(r=0.40, p=0.0001), 자율성(r=0.27, p=0.0007), 보수(r=0.25, p=0.0021)등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타나냈다. 의사소통 영역은 필수적직무(r=0.30, p=0.0002)와 보수영역(r=0.23, p=0.0037)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전문직 자아개념의 구성영역 중에서도 만족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전문직 자아개념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항목은 연령(F=13.18, p=0.0001), 결혼상태(F=31.30, p=0.0001), 종교(F=4.01, p=0.0089), 경력(F=4.45, p=0.0002), 현직위(F=7.32, p=0.0001) 등 5개 항목으로, 연령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이, 간호사 경력이 적은 집단보다 많은 집단이, 현직위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이, 그리고 결혼상태는 미혼보다는 기혼이, 종교는 기독교, 천주교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F=1.37, p=0.2537), 현근무부서(F=1.40, p=0.2089)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인 항목은 연령(F=7.61, p=0.0001), 결혼상태(F=14.00, p=0.0003), 간호사 경력(F=2.79, p=0.0097), 현직위(F=6.72, p=0.0003), 현근무부서(F=2.31, p=0.0289)의 5개 항목으로, 연령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이, 결혼상태는 미혼보다는 기혼이, 간호사 경력이 적은 집단보다 많은 집단이, 현직위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이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근무부서는 외래/공급실, 간호부(과)에서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연령은 20-25세(r=0.49, p=0.0001), 결혼상태는 미혼(r=0.44, p=0.0001), 기혼(r=0.38, p=0.0076)에서 모두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종교는 기독교(r=0.57, p=0.0001), 무종교(r=0.51, p=0.0001)에서, 최종학력에서는 간호전문대졸(r=0.43, p=0.0001), 간호학과 또는 간호대학졸(r=0.49, p=0.0001), 대학원졸 또는 이수과정(r=0.77, p=0.0001) 모두에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간호사 경력에서는 1-2년군(r=0.62, p=0.0007), 2-3년군(r=0.63, p=0.0010), 6-10년군(r=0.39, p=0.0475)에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현직위에서는 일반간호사군(r=0.49, p=0.0001)이, 현근무부서에서는 일반병동(r=0.46, p=0.0025), 수술실/마취과(r=0.49, p=0.0272), 중환자실(r=0.69, p=0.0001)에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에서 나타난 결과와 함께 위의 결과는 신규 간호사군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가 순상관관계를 가지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관계가 있고,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는 순상관관계를 가지므로 간호교육과 임상간호행정에서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Nurses experience role conflict between nursing theory that they learned in school and clinical nursing practice. This conflict lead to lower self-image, job dissatisfactio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absenteeism, increased proneness to mental and physical illness and higher turnover r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Ultimately, this data may be used to link nursing education and nursing practic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3 to October 21, 1994.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made by Arthur(l990) and Slavitt(1978). One tool was composed of 24 items related to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made by Arthur. The other tool was composed of 45 item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made by Slavitt. The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by the ANOVA-test, and with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AS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r =0.463, p=0.000l) was found. 2. The three componen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were each compared with the four components of job satisfaction, task requirements, job status, autonomy and pay. In the area of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professional practice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 relationship with task requirements(r=0.33, p=0,0001)and pay(r=0.20, p=0.0118) among the job satisfaction components. The satisfaction dimens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 relationship with task requirements (r=0.65, p=0.000l), job status(r=0.40, p=0.000l), autonomy(r=0.27, p=0.0007), and pay (r=0.25, p=0.00211), all four of the job satisfaction components. The communication dimens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 relationship with task requirements (r=0.30, p=0.0002) and pay(r=0.23, p=0.0037). 3.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was found to vary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F=13.18, p=0.000l), marital status(F=31.30, p=0.000l), religion(F=4.01, p=0.0089), total years of clinical experience(F=4.45, p=0.0002), and position(F=7.32, p=0.000l). 4. Job satisfaction of nurses was found to vary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F=7.61, p=0.000l), marital status(F= 14.00, p=0.0003), total years of clinical experience(F=2.79, p=0.0097), position(F=6.72, p=0.0003), and work setting(F=2.31, p=0.0289). 5.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very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groups: married(r=0.438, p=0.0076) and non-married(r=0.44, p=0.0001); protestant (r=0.57, p=0.0001) and non-religious(r0=0.51, p=0.0001) ; junior college graduates(r=0.41, p=0.000l), baccalaureate graduates(r=0.49, p=0.000l) and graduate school students(r=0.77, p=0.000l); those with 1-2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r=0.62, p=0.0007), 2-3 years of experience(r=0.63, p=0.0010), 6-10 years of experience (r=0.39, p=0.0475); staff nurses(r=0.49, p=0.000l), nurses on general wards(r=0.46, p=0.0025), nurses in OR/ANE(r=0.49, p=0.0272), and nurses in ICU(r=0.69, p=0.000l). In conclusion, many different factors have influence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herefore, nursing education and nursing administration need to develop programs and policies to increas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