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종이 Casting을 이용한 자수 표현 연구

Title
종이 Casting을 이용한 자수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mbbroidery Expression Using Paper Molding Technique
Authors
호유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종이Casting자수 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미술에 나타나고 있는 기존의 재료나 형식을 벗어나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기법의 혁신, 예술 영역의 모호함등의 특징은 현대 섬유 예술의 특징으로서 반영된다. 또한 현대 미술의 재료 자체를 이해하고 본질적 의미로서의 물질성을 개념화하려는 경향에 의하여 종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예술 매체로서의 종이의 발견은 예술가들에게 현대 조형 영역의 확대와 재료사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자는 우리 역사와 전통을 통해 내려온 우리 민족의 정서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소재와 기법의 연구를 반영하여 내적인 미적 체험과 외적인 표현 양식이 조화로운 사실적이고 부조적인 섬유 작품을 추구하려 한다. 이에 1980년대 이후 새로운 소재로서 부각된 종이가 많은 작가들에게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종이 Mold-casting의 방법을 자수와 함께 작업한 내용에 대한 연구가 없어 섬유 예술의 부조적 방법에서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이론적 고찰을 하고 실제로 작품 제작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수 작품에서 한지 casting의 부조적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고 이론적 배경으로는 종이가 회화와 섬유 예술에 나타나는 사적(史的) 고찰과 현대 종이 작가의 작품경향, 현대 한국 자수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종이 Mold-casting의 방법이 잘 나타나는 옥수수라는 조형물에 우리 민족의 정서와 정신적 바탕이 되어온 자연주의적 성향을 재 해석하여 그 이미지를 유추해 주제를 설정하고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시도된 연구를 토대로 실재 작품을 제작하여 분석한 결과로 얻은 결론이 다음과 같다. 첫째, 옥수수를 석고로 mold한 후 한지로 casting한 것은 옥수수의 표현에 있어서 자수에 의해 표현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실재적 양감을 나타내기 쉬웠고, 자수나 퀼팅에서는 같은 것을 만들기 어렵거나 하나 하나를 만드는 시간이 거의 비슷하나 한지 casting의 경우 mold가 만들어진 후에는 빨리 쉽게 여러 개로 만들 수 있었다. 둘째, 붓을 사용하여 염색된 천은 침염을 사용한 것보다 깊이감과 공간감의 표현에 도움을 주었으며 촘촘하고 매끈한 실크보다 성글고 거친 느낌의 면 마혼방천이 촉각적 질감을 나타내는데 용이하였다. 세째, 자수 기법중 평수는 염색된 천에 종이노끈, 비닐끈, 망사, 한지 casting을 고정시켜주는 동시에 천과 부재료간의 재질감 변화에 통일감을 줄 수 있었으며 자수 기법중 속수는 평면인 천과 한지 casting된 옥수수간의 높이 차이를 크지 않게 하여 시각적뿐아니라 실재적인 양감 조절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의도보다는 실재적 양감의 차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았다. 네째, 곡식을 일던 키와 짚단, 옥수수 껍질의 표현은 풀어서 염색한 종이 노끈을 사용하였는데 색감과 재질감이 실제와 비슷하여 사실적인 표현에 효과적이었으며 짚의 표현중 일부는 얇은 비닐끈을 아크릴 물감으로 칠하여 사용하였는데 약간의 광택이 바탕천이나 종이 노끈과의 질감에 차이를 주어 공간감 표현에 도움이 되었다.;The character of modern fiber art is reflected in the making use of various materials, technical innovation and ambiguity of artistic genre sloughing off the existing materials and form of art. And by the tendency to understand the material itself in the modern art and to conceptualize material quality into an essential meaning, it is possible for us to analyze paper on a new ground. Recognition of paper as one of the artistic medium has provided artists another new prospect about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in the formative area and the use of material. Like this, the paper as a new material of art has been used by many artists since the 1980s, but attempt to unite paper casting with embroidery has not been anywhere. So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explored theories and tried to make actual works of embroidery using paper mold-casting technique to be a help in developing relief expressions in the field of fiber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ief effects of casting Korean papers on the embroidery work, and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of paper throughout the history of painting and fiber art, characteristics of work by modem fiber artists and the current of modern embroider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t first, choosing the corn as an object because of its excellent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 of paper mold-casting, I have reconstrued the naturalistic tendencies that has been the base of our ethnic emotions and mentality to got images and themes, and made works based up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works are as follows. First, casting the Korean paper after piaster molding a corn takes many hours to be expressed on the embroidery, but easily shows the realistic volume. In embroiling and quilting, it is difficult to make same shapes, and making shapes one by one requires almost the same time while in the case of Korean paper, it is possible to make easily and quickly several shapes at the same time after molding. Second, a dyed cloth through brush dyeing helps expressing the depth and spatiality more than a unicolor cloth and the loose and tough mixed cloth with cotton and gunny than the compact and smooth silk is easy to represent the texture. Third, in plain embroidery, we can fix things like paper string, vinyl string, gauze and paper casting on a dyed cloth as well as we can bring unity when changing the quality of the texture between the cloth and secondary materials. In using Soksu technique, we can control the quality of volume acually as well as visually since the difference of height between the plane cloth and casted paper corn. But controlling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volume is not easy as we think. Fourth, in depicting such shapes of a winnow, straw sheaf and husk of the corn, I used dyed paper strings, and knew that since the color and texture of string was similar to those actual things that the result was realistic and effective. Parts of the straw sheaf were made of thin vinyl string and aryl colors, and the faint polish discriminated the quality of texture between the string and base cloth, thus helped the expressing having certain spati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