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Title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Other Titles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poorness-of-fit of temperament
Authors
한세영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아동어머니기질적 부조화양육 스트레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조화/부조화를 이루는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결합유형을 밝히고,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모자녀간 기질적 부조화에 따라 일상적인 모자녀관계에서 발생하는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의 빈도와 어머니가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의 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4,5,6세의 아동을 자녀로 둔 236명의 어머니들이며,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Buss 와 Plomin(1984)의 아동용 EAS와 성인용EAS (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조화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기질에 대해 어머니가 어느정도 불만족하는지를 측정하였으며,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지각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rnic과 Greenberg(1990)가 개발한 PDH(Parental Daily Hassle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화/부조화를 이루는 아동기질-어머니기질 결합유형을 알아본 결과, 쉽게 기분이 나빠지는 특성을 뜻하는 정서성의 경우 아동의 정서성이 높고 어머니의 정서성도 높은 결합, 아동의 정서성이 높고 어머니의 정서성은 낮은 결합이 부조화되는 결합이었으며, 아동의 정서성이 낮고 어머니의 정서성도 낮은 결합, 아동의 정서성이 낮고 어머니의 정서성은 높은 결합이 조화로운 결합이었다. 활동성의 경우 아동의 활동성이 낮고 어머니의 활동성도 낮은 결합, 아동의 활동성이 낮고 어머니의 활동성은 높은 결합이 부조화되는 결합이었으며, 아동의 활동성이 높고 어머니의 활동성도 높은 결합, 아동의 활동성이 높고 어머니의 활동성은 낮은 결합이 조화로운 결합이었다. 사회성의 경우 역시 아동의 사회성이 낮고 어머니의 사회성도 낮은 결합, 아동의 사회성이 낮고 어머니의 사회성은 높은 결합이 부조화되는 결합이었으며, 아동의 사회성이 높고 어머니의 사회성도 높은 결합, 아동의 사회성이 높고 어머니의 사회성은 낮은 결합이 조화로운 결합이었다. 둘째,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기질에 따른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지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정서성요인만이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지각강도에 유의한 주효과를 나타내었다. 쉽게 화를 내고 기분이 나빠지는 특성을 지닌 정서성이 높은 아동일수록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사건이 많이 발생하여 어머니가 일상적 스트레스를 많이 지각하고 있었다. 반면, 아동의 활동성과 사회성요인은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지각강도에 유의한 주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기질 또한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지각강도에 유의한 주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모자녀간 기질적 조화/부조화에 따른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지각강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정서성의 조화/부조화결합유형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정서성이 부조화되는 결합에서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지각강도가 높았으며 조화되는 결합에서는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지각강도가 낮았다. 활동성과 사회성의 조화/부조화결합유형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모자녀간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빈도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지각강도에 상대적으로 가장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정서성의 부조화와 어머니의 정서성으로 나타나 모자녀간의 정서성이 부조화할수록, 어머니의 정서성이 높을 수록 일성적 스트레스사건이 많이 발생하여, 어머니가 일상적 스트레스를 강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기질이나 어머니의 기질보다 모자녀간의 기질적 조화/부조화정도가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지각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Buss와 Plomin의 기질적 조화/부조화이론에 근거한 모자녀간의 양방향적인 관계를 입증하였으며, 어머니의 정서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작용 지향적인 스트레스이론을 지지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temperament, mother's temperament and poorness-of-fit. A total of 236 mothers who have 4-6 years old children in Seoul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Buss and Plomin(1984)'s EAS and Crnic and Greenberg(l99O)'s PDH were used to measure child's and mother's temperament, poorness-of-fit, daily hassle, and parenting stress intensity. Correlations, Analysis of variance,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poorness-of-fit, four combinations of child's and mother's temperament(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based on each mean were foun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 1.The most poorness-of-fit of emotionality was child's high - mother's high(CH-MH) and high - low(CH-ML) combination. The most poorness-of-fit of activity was child's low - mother's low(CL-ML) and low - high(CL-MH) combination. And the most poorness-of-fit of sociability was CL-IN and CL-MH combinatio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hassle frequency and daily parenting stress intensity perceived by mothers as a function of child's emotionality. That is, mothers who had highly emotional child perceived more daily hassles and more intensive daily parenting stresses. As for child's activity and sociabi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perception. Mother's temperament itself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explaining daily hassles and parenting stress intensit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daily hassles and daily parenting stress intensity as a function of poorness-of-fit. That is, mothers who were in poorness-of-fit of emotionality perceived more hassles and more intensive daily parenting stresses. As for poorness-of-fitness of activity and sociabi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hassle frequency and daily parenting stress intensity. 4.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the mother's hassles and daily stress intensity was poorness-of-fit of emotionality, followed by mother's emotion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