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문선-
dc.creator장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1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4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1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438-
dc.description.abstract예술사의 시작은 정확히 언제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인간의 역사와 같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동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연물이나 보이지 않는 인간의 내면세계와 같이 다양한 소재들이 예술활동의 대상이 되어왔다. 예술은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내포한다. 예술가는 그 무한한 가능성 가운데 적절한 소재를 택해 예술가 개인적 감성을 행위를 통해 표현한다. 예술가의 창작행위는 개인적인 경험이 바탕이 된다. 그러므로 완전한 무에서의 창조는 불가능하다. 예술가에게 내포된 인식의 표출로서 하나의 의식적인 인간활동인 예술은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한다. 때문에 새로운 세계에 대한 인식을 위하여 시각범위는 무한대로 확장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한 과학적인 도움은 필수적 요건의 하나이다. 과학의 발달은 경험의 세계를 확대시켜 조형예술의 소재를 폭넓게 제공해 주었고 발달된 과학의 산물인 현미경을 통해서 본 소우주라고 불리는 세포가 본인에게는 일상에서 볼 수 없는 소재라는 점에서 창작의 동기를 부여했다. 본 연구의 소재에 대한 자료는 문헌을 통해 수집하였고 현미경을 통해서 본 세포에서 얻은 미적 감흥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조형화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론에서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예술에서 다루어진 조형의 소재들을 살펴 보고, 소재를 표현할 때 감각을 통해 얻는 경험이 바탕이 되므로 보다 다양한 표현을 위해 경험의 확대가 필요함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그리고 조형 표현의 대상인 세포의 개념적 정의를 고찰하였고 아울러 조형적 특성도 알아보았다. 또한 세포의 이미지와 유사하게 표현된 다른 작가의 작품에서 조형적 측면을 살펴보고 시각적 효과의 측면을 연구하였다. 작품제작에 앞서, 디자인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세포를 접하고 각기 다른 세포의 특성이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는 표현이 되도록 유기적인 형태로 조형화 하였다. 제작방법은 형태의 표현과 변형이 자유로운 코일링 기법을 주로 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적절한 물레성형, 판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압축성형을 하였다. 태토는 형태의 특성에 따라 백자토, 산청토, 내화성 점토, 밀양백토 등을 사용하였고, 세포의 이미지에 알맞도록 도자기용 물감, 안료, 색유 등으로 다양하게 표면처리하였다. 소성은 0.7m^(3) 석유가마에서 900℃를 마침온도로 1차 소성한후 <작품 4> <작품 5>는 환원으로 나머지 다른 작품은 산화소성으로 0.7m^(3) 석유가마와 1.5m^(3) 가스가마에서 1250℃, 1230℃를 마침온도로 8시간 소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형의 시각에서 본 소재의 선택은 예술가의 표현욕구를 고조시키며 이것을 통해 예술가는 미적 의지를 반영한다. 그리고 선택의 대상은 모든 것이 될 수 있으며 과학을 통해 이루어진 경험세계의 확대는 소재의 다양화를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된다. 이러한 경험세계의 확대를 통해 선택한 소재인 세포는 변형의 가능성을 무한히 내포한 조형의 대상으로 적절하며 제작과정에서 표현매체인 흙의 성질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창작활동을 통해 보다 깊이 있는 조형성의 연구와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 발전적인 도자표현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Art can be presented through many different subject matters. The possible subject matters that can present art are infinite. Throughout the long Art History, which is as long as the human history, various subject matters have been used in human artistic activities. They vary from those seen objects in nature to the unseen world of inner sensitivity of a person. An artist choose an object and expressed her personal sensitivity through her artistic action on it. Her artistic, that is her creating action, is usually based on something or some sense she has experienced. Therefore, for an artist who always search for creative and new ways of expression, widening the optical world is very crucial. The widened optical sense could introduce her to a world of new sensitivities. In this sense, Scienc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widening the world of artistic presentation. Science has enlarged scope of experiences of sensitivities and therefore stimulated artistic inspiration. I used cells for my subject matter. A cell is like a small universe that gave mee a motivation for creativity for something which is unusual in everyday visual environment. I have collected material for my subject matter through books. The purpose of my study was to form images with the aesthetic inspiration from pictures of cells. In this writing I have studied various subject matters for the formative art through history. My theoretical backbone is that widening of experience is crucial for presenting various expression, for sensitive experience is the basis for expression, I studies conceptual difini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ells. Other artists' works that includes cell-like figures were also very helpful in my study of visual effect. Before I started my production, I had examined many kinds of cells and studies their characteristics. Then I form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mages of cells to become organic form in vivid and lively expression. For my works I mainly used the coiling method which enables various formative expression and transformation of an object. I also used spinning method, disk method, press-forming by gypsum molding in parts of my works. For clay, I used mullite clay, San-Chung clay, mixed body clay, Mil-Yang mullite cla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y works. Colors were important for me to express the feelings of cells. I used pigment, porcelain paint, glaze for the surface. The first firing was taken up to 900℃ in a oil kiln of 0.7m^(3) with the temperature of 1250. Other works were fired by the method of oxidization in a gas kiln of 1.5 with 1230. Both of the second firing took 8 hours. Through my study I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In visual arctic point of view selecting the subject matter for the works encourages the artist's artistic inspiration and therefore reflects the artist's artistic intension. Subject matters can be anything. Science can play a big part in widen the variety of the subject matters. I chose cells as my subject matter which enlarged my sensitivity, In my opinion cells are very suitable as a subject matter for art works for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ransforming of their forms. Through my study 7 I have obtained more understanding of clay. This study was a great opportunity for me to study formative art through creative activity. With the experience from this study, I will develop creative ceramic expression through various meth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내용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조형의 대상 = 4 1. 조형의 소재 = 4 2. 경험의 확대 = 7 B. 세포의 개념 및 조형성 = 8 Ⅲ. 예술작품에 표현된 세포의 이미지 = 12 Ⅳ. 작품제작 및 해설 = 27 A. 디자인과정 및 제작과정 = 27 1. 디자인과정 = 27 2. 제작과정 = 38 B. 작품해설 = 40 Ⅴ. 결론 = 60 참고문헌 = 62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518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세포이미지-
dc.subject도자-
dc.subject표현-
dc.subject도예-
dc.title세포이미지의 도자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F FORMATIVE CERAMIC EXPRESSION THROUGH CELLS-
dc.format.pageviii, 6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