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자아표현으로서의 인물화

Title
자아표현으로서의 인물화
Other Titles
Figure painting as an expression of self
Authors
박현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자아표현인물화Figure painting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삶과 예술은 서로 분리될 수 없이 유기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전제에서 이 논문은 출발한다. 삶의 체험은 예술로 형상화되고 또 예술은 인간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끌어가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러 회화의 양식 중에서 특히 인물화는 인간과 그가 처한 시대와 사회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양식이라고 볼 수 있다. 인물화의 이런 특성에 주목하면서 이 논문은 어떻게 인물화가 작가의 개인적 삶의 체험과 사회, 그리고 시대 정신을 표출해 내는가를 살펴 보았다. 이런 고찰을 토대로 나아가 나의 인물화들이 어떻게 나의 체험을 반영하고 해석하는가를 설명, 분석했다. 제 1장은 서론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삶과 예술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 주목하며 이 논문의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제 2장에서는 첫째로 인물 표현의 출발점이 되는 인간관의 동, 서양의 차이와 그에 따른 상이한 인물 표현 양식들을 고찰했다. 그 차이점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생기는 것인데, 동양에서는 둘이 합일되는 것으로, 서양에서는 대립되는 것으로 해석함에 따라 그 표현 양식으로 상이하게 발달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두번째로 현대의 특수한 상황이 어떻게 인물화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세 가지 유형-(1) 허무와 절망의 인물 표현, (2) 환상적인 인물 표현, (3) 상품으로서의 인물표현-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세번째로 현대의 허무주의적이고 절망적인 세계관을 극복하면서도, 한국인들의 삶을 성공적으로 담아낸 인물상 중에서 특히 두가지-(1) 서정적 자연주의의 인물 표현, (2)서사적 인물 표현-를 살펴 보았다. 제 3장에서는 내가 인물화를 그리게 된 동기를 밝히고 그 인물화들에 대해 설명과 분석을 했다. 그 동기는 1) 나의 인물화의 출발이라는 제목하에 기술하고, 다음 2) 에서는 나의 작품 제작 시기와 특징에 따라 (1) 한 사람을 소재로한 인물화, (2) 여러 사람을 소재로한 인물화, (3) 최근의 인물화 등의 세부분으로 나누어 개별 작품을 설명, 분석했다. 제 4장의 맺는 말에서는 이 글을 정리하며 나의 인물화에 대해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반성했다.;The major premise of this thesis is that life is continuous with art. For experiences in life are crystalized in art, and art, in its turn, leads life toward its ideal plane. Of all kinds of paintings, the figure-painting is one which most effectively substantializes the spirit of the author, his age and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figure-painting in consideration, this paper proposes to elucidate how the figure-painting represent the painter's individual life, his social circumstances and Weltgeist. After the elucidation it explains my own figure-paintings in terms of the continuity of life and art. Chapter one is the introduction which manifests my holistic vision of all human activities, especially the continuum of man's life and art as the expression of it. Chapter two firstly explicates the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view of life, and their respective styles of painting human figure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m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their view on the relation of nature and art: the Orientals concern themselves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Occidentals consider them as discordant realms. Hence different styles of figure-painting between the Orientals and Occidentals. Secondly, it surveys three kinds of modem figure-paintings as reflections of our age: (1) figure-paintings of nihilism and despair, (2) figure-paintings of fantasy, and (3) figure-paintings as merchandises. Thirdly, it illuminates two styles of Korean modem figure-paintings which effectively embodies the spirit of Koreans and their lives: (1) lyrical and natural ones, and (2) epic ones. Chapter three reveals the motivation of my figure-paintings under the title of 'the beginning of my figure-paintings' in part 1), and then part 2) analyzes my recent paintings. The analyses are consisted of three parts: (1) paintings of sole figure, (2) paintings of many figures, and (3) most recent figure-paintings. Chapter four concludes this paper with the reflection and prospect of my figure-pain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