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상징적 소비성향 및 신체상과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도의 관계

Title
상징적 소비성향 및 신체상과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도의 관계
Other Titles
A Relationship among Symbolic Consumption, Body Image, and Physical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Authors
신선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상징적 소비성향과 신체상이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각 변인 간에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6년 8월부터 2006년 9월까지 서울시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0, 30대 남 ㆍ 여 일반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무선집락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600명을 표집하였다. 이 중 실제 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은 총 51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징적 소비성향 및 신체상과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개인적 특성”, “상징적 소비성향”, “신체상” 그리고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주요 통계기법은 독립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과 표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남성의 참여도가 높았다. 연령과 소득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결혼 유무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인지적 참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미혼이 기혼자에 비하여 참여도가 높았다. 학력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행동적 참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징적 소비성향은 신체상 중 외모평가 및 지향성, 체중평가 및 지향성, 질병평가와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건강평가, 신체부분 만족도와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외모평가 및 지향성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쾌락적 요인, 과시적 요인, 타인평가 중시적 요인들과도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징적 소비성향과 신체상 중 체중평가 및 지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체중평가 및 지향성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쾌락적 요인, 과시적 요인, 타인평가 중시적 요인과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상징적 소비성향이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도에 미치는 상대적 인과관계는 쾌락적 요인의 소비성향 수준이 낮을수록 행동적 참여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시적인 소비성향은 높을수록, 쾌락적 소비성향은 낮을수록 정의적 참여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상이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도에 미치는 상대적 인과관계의 분석 결과 신체부분 만족도와 건강에 대한 평가가 좋을수록 행동적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평가와 질병평가가 좋을수록 인지적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체부분 만족도와 건강 평가가 높을수록 여가활동의 정의적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징적 소비성향과 신체상이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도에 미치는 상대적 인과관계는 행동적 참여도는 상징적 소비성향보다는 신체상과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건강평가와 신체부분 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동적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참여도는 상징적 소비성향보다는 신체상과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건강평가와 질병 평가가 높을수록 인지적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징적 소비성향의 과시적 요인이 강하고, 신체부분 만족도와 건강 평가가 좋을수록 정의적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ymbolic consumption and body image have an effect on physical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and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variables. To this end,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general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August to September, 2006, while a total of 600 were selected through cluster random sampling among which data of 514 people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ic consumption and body image and physical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the study us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ymbolic consumption”, “body image,” and “physical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as a measuring tool. As major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As a result,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behavioral involvement, affective involvement, and cognitive involvement by gender were all found to exhibit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volvement of men being high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and income, while the analysis on differences by marriage statu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involvement and involvement of unmarried subjects were higher than the married. Education brought o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al involvement. Second, symbolic consumption general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appearance assessment and orientation, weight assessment and orientation, and disease assessment of body image, with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ealth assessment and body part satisfaction. Communication fact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appearance assessment and orientation, with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pleasure factor, conspicuous factor, and factor of putting importance on other’s assessment as well.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ssessment and orientation in symbolic consumption and body image, communication fa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assessment and orientation, with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leasure factor, conspicuous factor, and factor of putting importance on other’s assessment. Third, as far as relative causal relationship of symbolic consumption with physical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was concerned, the lower consumption level of pleasure factor was, the higher behavioral involvement level became. In addition, the higher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lower pleasure consumption, the higher affective involvement grew. Fourth,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relative causal relationship of body image with physical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revealed that higher body part satisfaction and health assessment resulted in higher behavioral involvement. Moreover, the higher health assessment and disease assessment were, the higher cognitive involvement got.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body part satisfaction and health assessment, affective involvement of leisure activity became. Fifth, with reference to the relative causal relationship of symbolic consumption and body image with physical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it was found that behavioral involvement was more related to body image rather than symbolic consumption, and especially, the higher health assessment and body part satisfaction were, the higher behavioral involvement was. Cognitive involvement was found more related to body image rather than symbolic consumption, and especially as health assessment and disease assessment were higher, cognitive involvement grew higher. In addition, as conspicuous factor of symbolic consumption was stronger and body part satisfaction and health assessment were better, affective involvement became hig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