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의경-
dc.creator이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4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0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426-
dc.description.abstract미(美)란 조화된 통일체, 통일된 조화체를 바탕으로 해서 유발되는 감각이며 이 조화에 대한 인간의 호감이 사람의 동물로서의 생명보존본능과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미란 인간이 생명과 연결되는 자연현상을 통해서 경험적으로 느끼고 형성해 온 감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선사인들은 이러한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와 자연이 실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고 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감동과 희망의 근원에서 자신을 표현하였다. 또한 이는 시대의 변화에 따른 종합으로서의 인간소외를 극복하려는 요구에서 순수하고 오염되지 않은, 무기교에 대한 동경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선사시대의 미술을 연구의 주제로 삼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꾸미지 않으면서도 소박한 최초의 우리의 민족정서가 그대로 표현된 한반도의 선사암각에 촛점을 맞춰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론에서는 먼저, 선사시대 미술의 일반적 개념을 통해 그것의 미술사에서의 가치를 알아보고 암각화의 해석에 있어서 이미 오래전부터 시도되어왔던 외국의 여러가지 학설과 암각화의 유형을 통하여 한반도 선사시대 암각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에 한반도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암각화에 관하여 지역적인 분포와 유형을 살펴보고 제작기법과 형식을 분류하여 암각화를 해석하고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한반도에서 발견된 선사시대의 암각화를 통하여 그들의 정신세계와 생활형태를 살펴보고 통합된 인간으로서의 인간과 예술과의 관계를 현대도자에 응용하여 표현해 보고자 한다. 표현방법으로는 한반도 선사시대 암각화에 나타난 물상암각과 기하학의 암각, 성혈암각을 이용하여 형태의 이미지를 찾았으며 조형화하는 과정에서 그 조형성을 추구하여 그 문양들을 입체화시켜 변형하거나 또는 의미를 재해석하고 상징화하여 표현하려 하였다. 작품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압축성형과, 코일링 성형, 물레성형, 판성형, 이장주입성형을 하였고 태토는 각 작품의 성격에 맞게 청토, 조합토, 산청토, 자기토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본적으로 모든 작품에 암각이라는 돌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거친 텍스츄어를 나타내고자 했으며 갈색톤의 통일감을 주었다. 1차 소성은 석유를 연료로 하는 0.7m^(3)가마에서 900℃까지 소성온도를 올렸으며 2차 소성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1.5m^(3)가마에서 산화소성하여 1240℃에서 마무리하였고 「작품10」은 800℃에서 3차소성 하였다. 이같은 과정을 통하여 한반도 선사시대 암각화에 나타난 문양들은 소박하고 꾸밈없는 우리의 근본적인 정서를 가장 잘 드러내주는 것이었고, 이들은 시각적 조형성, 표현상의 기술과 함께 순수성과 강한 생명력을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사미술은 현대회화의 사조를 위한 하나의 준비였다기보다는 인간과 예술의 근본적 성격에 대해 보다 많은 것을 시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선사미술의 현대적 변형은 단순한 모방이라기보다 무한한 조형성의 재창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Beauty, according to Won-Ryong Kim, is a harmonized unity, Human beings are naturally attracted to harmony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derives from the human fundamental desire to preserve life. The sense of beauty is by nature related to human life and beauty can be felt and interpreted through our sense of feel. Our prehistoric ancestors believed that nature and ego are not in opposition with one and the other, but that they work in harmon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is closely connected, and we humans choose a subject matter from nature in order to be affected as well as to be inspired by it. Only then is it possible for us to create artistically, The subject we choose to concentrate on becomes a form of aspiration. By looking at this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human beings need something to aspire and depend upon together in order to survive alienation and solitude. Taking the above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prehistorical rock pictur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Many rock pictures have been closely examined and it has been possible to learn from them the people's lifestyle as well as their psychology and their concepts. With the knowledge obtained for this study, it was then translated into clay with a modern concept. Many artists have taken prehistorical rock pictures as a subject matter to express their concepts. In order to write this thesis. it was necessary to examine how this was interpreted and to stud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prehistorical rock pictures in the western countries. To know about the periodical development of the rock pictures, the techniques used for drawing them.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to research and study the Korean rock pictures without having studies the rock pictures of other countries. The giographical conditions and the different methods used for drawing them are important. In order to express the artist's concepts, the inanimate objects and symmetrical patterns have been taken from the wallpaintings. The religious symbols and some patterns have been made into 3-dimensional forms. For making the forms the slip-casting method, coiling, wheel-throwing and press-moulding methods have been used. And the following clay bodies were used; mixed body, celadon clay, combination clay, porcelain. In order to keep rough texture of rock pictures a rough body was used mostly and it has been necessary to work in brownish tones. For the first firing of the work, the oil-kiln was used(Size 0.7m^(3)). The firing was for 9 hours and it was fired to a temperature of 900℃. The second firing was done in a gas-kiln(size 1.5m^(3)). It was oxidized for one hour and was turned off at a temperature of 1240℃. Some of the works were fired three times. The third firing was at a temperature of 800℃. This study of a series of ceramic works represent primitive art as a basic charact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kind and art, rather than the preparation of modern painting. Moreover, rock paintings of Korean peninsula are immanent in purity and strong will with techniques of expression and visual formation. Modernization of rock pictures is more than just an imitation. It is confirmed to be reproduction of formative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Ⅱ. 본론 = 4 A. 선사시대 미술의 개념 = 4 B. 선사시대 암각화의 개념과 연구 = 6 C. 한반도 선사시대 암각화 = 13 Ⅲ. 작품제작과 해석 = 32 A. 디자인 과정 = 32 B. 작품제작과정 = 42 C. 작품해석 = 46 Ⅳ. 결론 = 66 참고문헌 = 68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787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반도-
dc.subject선사시대-
dc.subject암각화-
dc.subject도자도형-
dc.title한반도 선사시대 암각화를 통한 도자도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eramic art applied from primitive rock pictures of Korean peninsula-
dc.format.page7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