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한국 중학생들의 학교음악과 대중음악에 대한 태도 분석

Title
한국 중학생들의 학교음악과 대중음악에 대한 태도 분석
Other Titles
(An) Analisys of the Attitude Toward School Music and Popular Music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n Accommodation of Popular Music to the School Music Education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한국 중학생학교음악대중음악태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The origin of the Korean school music can be traced back to the Western church hymns. Before the Western music had a chance to be assimilated or absorbed into the indigenous folk music, the nation fell under the colonial domination of Japan, thereby subjecting it to a distorted development in Korea. Under the Japanese rule, all forms of the Western culture being introduced to Korea were manipulated and distorted by the Japanese. The Japanese folk song, called "Chang-ga would b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Japanized Western culture. Therefore the Korean school's music education was formulated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of the Japanized Western music. Since the introduction of music as a regular course in school education, the school music programs of such disturbing origin have continued to determine the musical sensitivity of our youths. Even more serious is the fact that such school music programs are considered as a fully viable system of knowledge selected in strict adherence to absolute principles and organized in systemic manner. Daniel Liston once said that education was a selection of culture. Therefore, the content of a music curriculum is a part of culture which is chosen in certain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it Is not a creation of genius, chiseled in stone and meant to transcend time and space. Then, the question is who is the proper authority to select the content of a music curriculum? Whose interest must it serve? And what is the appropriate criterion in the selection? The rapid pace of industrialization and cataclysmic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cene are paving way towards a world of diversity and pluralism in which more diverse values can breathe together. Such trend is true not only of music but of all genres of art. Music of a certain country, a certain time or a certain type no longer dominates. This is cultural pluralism, and, furthermore, a praxis of cultural democracy. Other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knowledge-social science and racial music theory, also call for a need for the field of music to reestablish its ideas. If so, what future direction should our school music education take? Certainly, knowledge-social scientists' and racial music theorists' views of embracing pluralism in music are worth paying heed to. Western classic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popular music, music of different cultures and avant-garde music; all of these music should be assimilated and find appropriate niches in our culture. The focal point of this paper is the Korean popular music. The reason is that owing to the ever growing power of the mass media, youth culture has become synonymous with popular music culture. Despite such reality, schools have snubbed popular music in their programs, which, in turn, created a strange notion that school music is basically the Western classical and non-school music equals popular music. Under such duality of culture, the cultural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crepancy experienced by our youths have find ways to be expressed in social discordance. Now the time has come to reevaluate the position of our youths whose dilemma is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school music culture and yet are not able to openly embrace and enjoy popular music, and newly modify the existing rigid values in school music programs. Of course, one should be wary of over compensating by superficially introducing the popular music just to amuse the students. Theoretical and systematic studies about popular music are an essential prerequisite in order to establish a school music program which embraces musical pluralism and is in tune with time. Amidst the pros and cons concerning the introduction of popular music into the school curriculum, it might be worthwhile to point out that many other countries have already inducted the popular music, though selectively, into their school programs. This move is an indicator that they translated the differences in music as diversity in music. In other words, various criteria coexist and one may not use the yardstick used to measure the Western classical music to measure popular music. Furthermore, insightful speculation and self refection is called for considering the fact that foreign culture appreciated by few intellectuals seeped into our regular pedagogical program without critical consideration has effectively undermined the value of the rest of indigenous culture as being low brow culture of the ruled, planting a sense of inferiority in the mass cultur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re has always been "music from the above" and "music from the below" in any given period. Despite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whether the music had the patronage of the church, the court or the aristocracy and never was the qualify of the music itself, "the music from the above" has always been held in higher esteem, because it was the music of the vested interests. As can be seen in the above argument, it is true that the social context of the music has, in fact, degraded music as the social and political product far removed from human nature. However, now the time has come gain a fresh perspective to consider the subject of the music studies to cover not just "music works", but also "human beings" as the very actors who create and consume music.;한국의 학교음악은 근본적으로 서양의 찬송가에서부터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서양음악의 영향이 전통적 민요형태 속으로 소화·흡수될 시간적 여유도 없이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됨으로써 한국에 있어서의 서양음악은 매우 기이한 양상으로 발전해 왔다. 일제의 지배 밑에서 유입되는 서구적인 문화양식은 모두 일본을 통해서 왜곡·조작되어진 서구문화였다. 일본창가는 일본화된 서구문화의 대표적 형태이고 한국의 학교음악의 일본화된 서구문화의 영향아래 성립되었던 것이다. 이런 현실의 학교음악 교육과정은, 음악이 학교 정규교과로 제정된이래 현재까지 우리 청소년들의 음악적 감수성을 결정짓고 있다. 한편, 한국 청소년 문화를 대표하고 있는 것이 곧 대중음악문화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을 만큼 대중음악문화의 발달은 급격하게 이루어졌다. 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대중음악 도입론에 비판론과 긍정론이 끊임없이 대립되는 가운데에서도 이미 대중음악을 선별적으로 학교교육에 포함시켜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국의 학교는 대중음악문화에 노출되어 있는 학생들의 흥미와 욕구에는 무관심한 채, 과거음악문화--그중에서도 서양의 고전음악--전달에 크게 비중을 두는 보수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학교가 대중음악을 배척하여 왔다는 사실에서 학교음악은 곧 서양의 고전음악이고 곧 대중음악이라는 대립현상이 빚어졌고 이러한 이중적인 문화양상 아래, 한국 청소년들이 겪어온 문화적 갈등과 괴리감은 사회적 문제로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학교음악에서도 만족감을 찾을 수 없고, 대중음악을 적극적으로 향유할 수도 없는 딜레마에 처해 있는 한국 청소년들의 현실을 직시하여 학교음악 교육과정이 기존의 고정된 가치관을 다시 검토하는 계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 하에, 한국의 4개도시--서울, 인천, 전주, 구미--의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 1,500명을 대상으로 학교음악교육에서 크게 비중을 두고 있는 서양고전음악에 대한 선호도는 어느 정도이며, 대중음악에 대한 선호도는 어느 수준인지, 또한 학교음악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이고, 대중음악이 학교음악교육에 도입되어야한다고 보는 태도는 어느 수준에 이르렀는지를 조사하였다. 수거된 1,435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로서, 5점 평정 척도상의 평균치를 통해 고찰하면, 한국 중학생은 서양고전음악에 대해 별로 관심을 갖고있지 않으며 학교음악에 대해서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중음악에 대한 선호 정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대중음악이 학교음악교육에 포함되어져야 한다는 긍정적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한국 청소년들이 학교음악과 비학교음악의 문화적 괴리감에서 갈등하고 있다는 것이 자명한 사실로 드러났고, 그렇다면 "누가", "누구의 이익을 위하여", "어떠한 기준에의해서" 학교음악교과의 내용을 선정해야 할지의 문제가 대두된다. 다니엘 리스톤에 의하면, 교육은 곧 문화의 선택이라고 했다. 즉, 음악교과의 내용도 사회·역사적 특정 상황에서 선택된 문화의 일부이지, 시공을 초월하는 천재의 창조물로 구성된 것은 결코 아니라는 것이다. 산업의 급속한 성장, 세계 정세의 다각적인 변화는 한층 더 다양하고 다원적인 "다가치"사회로 이끌고 있다. 이것은 음악을 비롯한 모든 예술분야에도 적용되어서, 어느 나라, 어느 시대, 어느 형태의 음악만이 우월하다고 규정짓지 않는다. 이것은 문화적 다원주의이며 더 나아가 문화적 민주주의의 실천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한국의 학교음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은 무엇이겠는가? 지식사회학이나 종족음악학적 입장을 수용하여 음악의 다원성을 인정하는 방향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서양고전음악뿐만 아니라 한국의 전통음악, 대중음악, 타문화의 음악, 전위음악 등이 적절한 방법으로 수용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음악의 차이를 음악의 다원성으로 환원해서 파악하는 것을 뜻한다. 즉, 여러가지 기준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며 서양의 고전음악을 평가하던 기준으로 대중음악을 평해서는 안된다는 취지이다. 더구나 소수 지식층들만이 향유해온 외래문화가 비판없이 우리의 정규 교육과정으로 전승되어 온 것은 그 이외의 문화를 피지배계급의 저급한 문화로 보편화하여 열등감을 조장시키는 장치였다는 것에 주목하고 반성해야 옳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어느시대나 "위로부터의 음악"과 "아래로부터의 음악"이 있었다. 그런데 이것은 교회나 궁정, 귀족계층의 경제적 후원이 있는 음악인가 그렇지 못한가의 차이이지 결코 음악의 질적 차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위로부터의 음악"만에 가치를 두게 된 것은 그것은 이미 기득권을 가진 계층의 음악이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음악의 사회적 배경은 "음악작품"을 인간의 본성과는 멀리 떨어진 사회적, 정치적 산물로 퇴색시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는 음악의 연구대상이 "음악작품"일 뿐 아니라, 음악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주체 즉, "인간"이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새로이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