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찬화-
dc.contributor.author金貞淑-
dc.creator金貞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2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0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5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training, which furthers the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stress and aids in acquiring the methodology and skill needed to remedy stress, on the anxiety reduction and self-actualization tendency of Girl's highschool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 1. Has the anxie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hown meamingful reduction after undergoing the stress coping training? 2. Has the potential for self-actualization tend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shown a meaningful increase after undergoing the stress copint training? 3. Where will a significant difference be found, if there is an enhancement in a score of the Self-Actualization test after treatment?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first commenced pre-tests on 123 persons of the humanities study orented Y girls'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s, 36students who demonstrated similar scores on the anxiety exam and self-actualization examinations and those who were willing to undergo the aforementioned stress coping training, were placed 18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further partitioned in two(each group with 9 persons) and a researcher posing as counselor administered four 3-hour sessions a week to the total of six sessions of 18hours, in which the coping training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such attention. The program used for the stress coping training was based on the Lazarus(Lazarus, 1981: Lazarus & Folkman, 1984)-type mutual dynamics stress remedy model. The researcher, further taking into account the consulting programs of previons studies done nationally,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to suit highschool students. A means of this study used self-actualization scale and standardied Anxiety scale, the data has been analized by using paired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SAS package. The resuls of the effects of training were as follows : 1. After undergoing the stress coping training, the exp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ed meaningful decreases in anxiety levels in the 6 categories of stress measurement as follows ; classical·phobia anxiety, sexual maladjustment·hetero-sexualdenial anxiety (P< .01), soci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ease·aging·death anxiety, study·exams·ability and other emotive anxieties(P< .001). 2. After the training, the stress coping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degree of enhancement of self-actualization tendenc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P< .01). 3. After undergoing the aforementioned training, the exprimental group shows significant changes in 9 out of the 10 categories, excluding perception of humanity, in the self-actualization examination. The categories of present oriented direction(P< .05), self-actualization, existentiality, sensibility, folerance(P< .01), inward direction, spontaneity, self-positivity, self- reception'(P< .001) showed changes.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ough placed in like situations, had lessened the tendency to feel anxiety than before, and showed improved in the potential for self-actualization tendency in which the internal motivation directs the search for a more satisfactory present situation. Results as such imply that the decrease of anxiety levels and changes in self-actualization tendency protential found these Girl's highschool students can be approached from perspective of mutual dynamic stress. And furthermore, the stress remedial training based n a concept model can remedy actual stress and provide methods for objective observation and realistic evaluation, effective self-control and positive social skills.;본 연구는 스트레스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하는 방법과 기술을 익히는데 도움을 주고자 실시된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여고생의 불안감소와 자아실현경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이 목적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불안정도가 의미있게 감소할 것인가? 2.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실현경향성이 의미있게 높아질 것인가? 3.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실현검사의 어떤 하위 영역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겠는가? 실험절차를 보면 먼저 인문계 Y여고 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훈련을 희망하는 학생중 불안검사와 자아실현검사에서 비슷한 점수를 보이고 있는 학생 36명을 선정,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동질적으로 18명씩 배정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을 다시 2집단(각 집단별 9명)으로 나누었고 연구자가 상담자가 되어 1주일에 4회 각각 3시간씩 총 6회 18시간에 걸쳐 대처훈련을 실시하였는데 그 동안에 통제집단은 아무런 조치를 받지 않았다. 스트레스 대처훈련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Lazarus (Lazarus, 1981: Lazarus & Folkman, 1984)에 의해 대표되는 상호역동 스트레스 대처모형에 근거를 두고 국내의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을 토대로 연구자가 고등학생에게 실시하기에 적당하도록 수정 보완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표준화 불안검사(주영숙, 김정휘, 1986)와 자아실현검사(김재은, 이광자, 1977)이며, 자료는 SAS Package를 사용하여 Paired t-test와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 ANOVA)으로 처리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훈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불안척도 영역중 고전적·공포 불안, 성적 부적응·이성 거부에 대한 불안(P< .01), 사회 대인관계에 대한 불만, 질병·노쇠·죽음에 대한 불안, 학습·시험·능력에 대한 불안, 기타 정서적 불안(이장 P< .001)의 6개 영역에서 불안이 의미있게 감소되었다. 2.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실현경향성이 의미있게 높아졌다(P< .01). 3. 스트레스 대처훈련 경험 후, 자아실현검사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10개 영역중 인간관을 제외한 나머지 9개 영역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현재지향성(P< .05), 자아실현성, 실존성, 감수성, 포용성(P< .01), 내부지향성, 자발성, 자기긍정성, 자기수용성(이상 P< .001) 영역에서 각각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통제집단과 비교해 볼 때 실험집단은 같은 상황일지라도 예전에 비해 불안정도를 지각하는 경향이 감소하였으며, 내적 동기에 의해 현실을 보다 충만하게 영위하고자 하는 자아실현경향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여고생의 불안 감소와 자아실현경향성이 상호역동적인 스트레스의 관점에서 이해, 접근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훈련을 위한 개념모형을 근거로 한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과 현실적인 평가 그리고 효과적인 자기통제, 나아가서 적극적으로 사회적 지지세력을 찾는 법 까지도 가르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스트레스의 모델 개관 = 4 B.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 = 6 C. 스트레스와 불안과의 관계 = 9 D. 스트레스와 자아실현경향성과의 관계 = 11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및 실험 = 16 B. 실험 도구 = 16 C. 실험 절차 = 17 D. 실험설계 및 자료처리 = 20 Ⅳ. 결과 및 해석 = 21 A. 사전검사를 통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비교 = 21 B.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 22 C.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자아실현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 25 D. 스트레스 대응질문지 = 28 Ⅴ. 요약 및 논의 = 34 참고문헌 = 37 부록 = 41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223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스트레스 대처훈련-
dc.subject여고생-
dc.subject불안감소-
dc.subject자아실현경향성-
dc.title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여고생의 불안감소 및 자아실현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Training on the Reduction of Anxiety and Self-Actualization Tendency for Girl's High school Students-
dc.format.page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