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法經濟學과 正義

Title
法經濟學과 正義
Other Titles
LAW & ECONOMICS AND JUSTICE : Focusing on R. A. Posner's Jurisprudence
Authors
趙賢芝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법경제학포스너R.A.POSNER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정
Abstract
Traditionally it has been believed that "law is law" in the sense that law is established with the highest ideal of justice, embodied with sublime authority and its own logic.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Tole of law has been increasingly expanded and variegated, and accordingly, state or other governmental authorities are required to intervene affirmatively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and assigning welfares and other social values, it becomes especially inevitable to weigh more heavily on realization of substantive justice and consideration for the fitness to an end of l aw. However, it is difficult to tell only with the conventional abstract conceptual justice theory or legal studies whether law achieves justice in its true sense, or even more fundamentally, what constitutes the concept of justice. Thus, without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arguements frequently made on in the name of justice, such as income distribution, just compensation, equality, tax justice and rational discrimination, and without approaching the problems with an integrated frame of analysis based on this, the result would merely be a juxtaposition of the unconnected aspects and would fail to gain strength in persuasion. Concerning this, R. A. Posner who is a pragmatic jurist and renowned scholar in the field of 'law and economics', casts doubt on the existing methodologies of legal studies and law, seeks for a more scientific method of analysis and a tool for a legal decision and suggests the economic theory of law as a recommandable instrument for it. However, this effort to make legal study more scientific in methodological approaches by adopting economic theory to law which is by nature a normative science is under a crucial criticism that it may disregard justice as its ideal, in spite of the effectiveness in economic analysis of law, On this, he argues back that justice also can be specifically verified through the pragmatic and empirical analytical methods of law and economics with the Principle of "wealth maximization", and insists on the moral implication of law and economics.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to examine his economic approach It law as an analytical model of justice, and the problems of justice by discussing what law is in Posner's jurisprudence, how he comprehends the relation of law and justice, justice and efficiency. For this, focusing on his pragmatic jurisprudence, the basic conception of law as a foundation for the economic analysis of law is discussed. And then his economic approach to law seeking more scientific methodology for legal studies is discussed, emphasizing its rule as an empirical and positive analysis instrument for justice. This thesis, also, aims to review our jurisprudential direction, by which statutory interpretation has only been given weight and to identify its limits through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law and economics and pragmatic jurisprudence, and finally to establish the rational methodology for legal studies which can conform to reality and satisfy requirements for justice.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chapter Ⅰ, the purposes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nd Posner's theory of law underlying his economic analysis of law, which focuses on skeprticism on objectivity and autonomy of law is discussed in chapter Ⅱ. Here he emphasizes the pragmatic jurispredence which denies conventional legal reasoning but supports practical reasoning. Chapel Ⅲ specifically reviews Posner's economic theory of law based on the above arguements. For this, his economic analysis of various kinds of positive laws and its methodological difference with the existing theory of law are discussed. And some criticisms and limits risen from this are mentioned here. In chapter IV, how Posner develops his economic theory of law concerning justice in law and economics, the relation of law and efficiency, the pragmatic significance and the limits of law and economics as a specific, empirical positive analysis instrument for justice is discussed. It is especially argued that his "wealth maximization" principle held as an analytic foundation for justice is not suggested as the sole and highest criterion of value that may substitute justice. According to him, that principle is useful as an analytic tool for legal justice. That's why his principle is a reasonable guidepost for public decision making in spite of its incompleteness. In this context, what law and economics can signify in our legal reality and in the realization of justice is finally discussed. In chapter V, conclusively it is confirmed that the above discussions are not only to reassure the significance of legal justice in practice, but also to promote a new understanding on how economic approach to law and pragmatic jurisprudence can serve for the efficient realization of this justice. And in relation to the incompleteness of law and economics, this thesis proposes to overcome the constraints and limits of Posner's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law and economics as a complete legal methodology by the more study for law and economics in future. In this sense, n few suggestions based on our reality is finally added to the thesis.;전통적으로 법은 '정의'라는 최고 이념 하에 숭고한 권위와 정연한 논리를 간직한 채 '법은 법이다'라고 믿어져온 것이 일반적이다. 즉, 법과 정의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법은 정의를 실현하고 있다는 것이 당연시되어 온 것이다. 특히, 법기능이 확대 다양화되고 국가 기타 공권력이 법을 통해 여러 사회적 가치나 이익의 조정, 배분에 적극적으로 배려하고 개입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실질적 정의의 실현이나 법의 합목적성의 배려에 한층 비중을 두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무엇이 정의인가 법이 진정 정의를 실현하고 있는가에 관해서 기존의 추상적 관념적 정의론이나 법학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들다. 특히 구체적 개별사실에서 정의 관념 하에 논해지는 각종 주장들-가령, 소득분배, 보상, 형평, 조세정의, 합리적 차별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에 기초한 통일적인 분석틀로 문제에 접근하지 않는다면, 그 분석결과들은 단상의 나열에 불과할 뿐 설득력을 갖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실용법학자이자 법경제학자인 R. A. Posner는 기존의 법률과 법학에 의문과 비판을 제기하면서, 보다 과학적인 분석방법과 법적 판단의 도구를 모색하는데, 그 방법으로 제시한 것이 법경제학'이다. 그러나 규범학문인 법학에 경제학을 도입하여 법학을 과학화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그 분석적 효율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법의 이념인 정의가 무시되고 있다는 중대한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오히려 Posner는 '부의 극대화' 원칙을 통해 정의 역시 법경제학의 실증적 경험적 분석방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검증될 수 있다고 하여 법경제학이 갖는 도덕적 함의를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Posner에 있어 과연 법은 무엇이며, 법과 정의, 정의와 효율의 관계는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정의의 분석모형으로서의 그의 법경제학과 정의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법경제학 이론의 바탕이 되는 법에 관한 기본적 인식을 그의 실용주의 법학에 촛점을 맞추어 개괄한 후, 법의 과학성을 모색한 그의 법경제학적 방법론을 특히 정의의 경험적 실증적분석모형으로서의 역할에 촛점을 맞추어 고찰한다. 이로써 실용주의법학 및 법경제학적 법학방법론의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법해석에 치중해온 우리 법학의 위치와 방향을 비춰보고 그 한계를 인식하여 보다 현실과 정의의 요청에 부응할 수 있는 합리적인 법학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함에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제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밝히고, 다음으로 제2장에서는 Posner의 법경제학 이론의 바탕이 되고 있는 그의 법이론을, 법의 객관성과 자율성에 대한 회의주의와, 고유한 법적 추론을 부정하고 실천적 추론을 내세운 실용주의 법학을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개괄한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바탕 위에 세워진 Posner의 법경제학의 내용을 그가 행한 여러 실정법의 경제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핀 후, 기존 법학과의 차이 및 이에 제기되는 여러 가지 비판과 한계를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부의 극대화'를 이용한 그의 법경제학 이론의 전개를 통해 법경제학에서 정의, 정의와 효율의 관계를 검토하고, 정의의 구체적 경험적 실증분석모델로서 법경제학이 갖는 실용주의적 의의와 한계를 고찰한다. 특히 Posner가 정의의 분석적기초로서 사용한 '부의 극대화' 원clr이 정의를 대신할 회고의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계시된 것이 아니며, 사회적 의사결정에 대한 합리적이지만 불완전한 지침이라는 제한적이나마 법적 정의의 분석도구로서의 유용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법경제학이 우리의 법현실과 정의실현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의의를 모색한다. 제5장에서는 끝으로 지금까지의 이러한 논의가, 법적 정의의 실천적 차원에서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하고 법경제학적 방법론과 실용주의 법학이 이러한 정의의 효과적 실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려한 것임을 요약 정리한다. 그리고 법경제학에 남아있는 불완전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그 한계와 비판을 극복하고 보다 완전한 하나의 법학 방법론으로서 자리매김해가는 것이 법경제학의 금후의 과제임을 지적하면서, 이를 위해 우리 현실에 비추어 본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이며 끝맺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